목차
1. 감탄사의 개념과 특징
2. 감탄사의 유형
2. 1. 감정 감탄사
2. 2. 의지 감탄사
2. 3. 입버릇 및 더듬거림 감탄사
2. 4. 감탄사의 형성
2. 감탄사의 유형
2. 1. 감정 감탄사
2. 2. 의지 감탄사
2. 3. 입버릇 및 더듬거림 감탄사
2. 4. 감탄사의 형성
본문내용
는 뭐 잘 모르겠습니다.
ㄴ. 저어,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8)의 ‘뭐’와 ‘저어’는 해야 할 말이 언뜻 떠오르지 않아서 발화 준비를 위한 시간을 벌 때 사용하는 첨가어이거나 습관적으로 쓰는 군말이다. 이런 감탄사들은 음성으로 발화되기는 했지만 듣는 이의 입장에서 보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기에 잉여 표현 혹은 군더더기 표현으로 처리한다.(나찬연 2009:285)
2. 4. 감탄사의 형성
감탄사는 형성되는 방법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아이고’, ‘에구머니’ 등과 같은 고유한 감탄사이다. 둘째, ‘만세’, ‘뭐’, ‘이런/그런/저런’ 등과 같이 품사 통용을 해서 감탄사로 쓰이는 경우이다. 대명사(뭐), 명사(명사), 부사(허허) 등 그 경우도 다양하다. 셋째, ‘옳소’, ‘그래’ 등과 같이 용언의 활용형이 감탄사로 된 경우도 있다. 넷째, ‘천만에’와 같이 ‘체언+의’의 구성이 감탄사로 굳은 경우도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문법 교사용 지도서』, 2010, 두산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7, 탑출판사
ㄴ. 저어,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8)의 ‘뭐’와 ‘저어’는 해야 할 말이 언뜻 떠오르지 않아서 발화 준비를 위한 시간을 벌 때 사용하는 첨가어이거나 습관적으로 쓰는 군말이다. 이런 감탄사들은 음성으로 발화되기는 했지만 듣는 이의 입장에서 보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기에 잉여 표현 혹은 군더더기 표현으로 처리한다.(나찬연 2009:285)
2. 4. 감탄사의 형성
감탄사는 형성되는 방법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아이고’, ‘에구머니’ 등과 같은 고유한 감탄사이다. 둘째, ‘만세’, ‘뭐’, ‘이런/그런/저런’ 등과 같이 품사 통용을 해서 감탄사로 쓰이는 경우이다. 대명사(뭐), 명사(명사), 부사(허허) 등 그 경우도 다양하다. 셋째, ‘옳소’, ‘그래’ 등과 같이 용언의 활용형이 감탄사로 된 경우도 있다. 넷째, ‘천만에’와 같이 ‘체언+의’의 구성이 감탄사로 굳은 경우도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문법 교사용 지도서』, 2010, 두산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7, 탑출판사
추천자료
[독후감/서평]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를 읽고 [자연과학]
꿈의 도시 꾸리지바 감상문
백범일지를 읽고 느낀 바대로 솔직 담백하게 작성
향가 10수 설명
한국 미술사
[영화감상문]8미리
한국어의 품사
미래의 물결을 읽고난 느낌과 감상
백범일지 감상평
[A+평가독후감]정의란 무엇인가 독후감,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Carl F. H. Henry
W 서울 워커힐 호텔 (W seoul walkerhill)
[독후감] 이별에도 예의가 필요하다
[독후감] 『웹 2.0 이노베이션 (WEB 2.0 INNOVATION)』_ 오가와 히로시 (小川 浩) & 고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