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이다’에 대한 여러 의견
2. 서술격 조사
1) 조사
2) 서술어로서의 격 조사
3. 지정사설 (용언설 중의 하나)
4. 서술격 조사설과 지정사설의 비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이다’에 대한 여러 의견
2. 서술격 조사
1) 조사
2) 서술어로서의 격 조사
3. 지정사설 (용언설 중의 하나)
4. 서술격 조사설과 지정사설의 비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가 어렵다.
>>ㄷ 그는 매사에 성실이다.
위의 예는 ‘성실’은 상태성 명사로서 ‘이다’ 대신 접사 ‘하다’를 붙여도 의미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며 따라서 이 때의 ‘이다’는 순수한 서술격 조사와는 거리가 멀다. 남기심고영근(1986),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p96.97
그리고 서술어는 동사, 형용사, 그리고 체언, 또는 체언 구실을 하는 말에 ‘-이다’가 붙어서 이루어진다.
이 또한 예를 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ㄱ 서울이 여기까지입니다. 여기부터는 경기도지요.
>>ㄴ 우리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은 새벽 두 시가 가까워서입니다.
>>ㄷ 다음 빈 칸에 들어갈 말은 ‘새로운’이다
>>ㄹ그거야 땅 짚고 헤엄치기이다.
위의 굵은 글씨들은 체언은 아니지만 체언 구실을 하는 말들에 ‘-이다’가 연결되어 서술어가 된 것들이다. 체언이나 체언구실을 하는 말에 ‘-이다’가 연결된 것 전체는 용언의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서술어는 용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다’는 서술 기능을 가진 말이며 활용을 한다. 따라서 이것은 용언의 한 갈래로 보기도 한다. 지정사 또는 잡음씨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조사는 활용을 하지 않는 것인데 ‘-이다’를 조사의 한 가지로 잡는 것이 옳은 처리라고는 보기 어렵다. 그러나‘-이다’를 서술격조사라고 하여 조사의 한 가지로 취급하는 것은 ‘학교문법통일안’에 따르기 위한 것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p243
이고 하는데 조사설보다는 용언설에 더욱 가까운 것 같은데 왜 학교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지 의문이 생기는 것이다. ‘-이다’의 문법범주 설정을 제1,2,3기로 나누어서 제1기에는 주시경 문법의 견해에 따른 종지사설로 보고 있고 제2기는 최현배와 박승빈의 지정사설이 주도되는 시대이고 제3기는 체언토의 일부로 본 것이 그대로 학교문법에 적용된 것 같다. 이광정(2003), 국어문법연구-품사- 09.‘이다’의 연구사적 고찰
결론적으로 ‘-이다’의 용언적 성격은 형태론적 특성 뿐 아니라 통사론적 특성에서도 입증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다’는 ‘같다’, ‘아니다’등과 같은 형용사로 보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Ⅳ. 참고 문헌
간행위원회 편(2000),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김의수, ‘이다’논의 재검토」월인.
이광정(2003), 국어문법연구Ⅰ-품사, ‘-이다’연구의 사적 고찰, 역락.
남기심·고영근(1986),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한국어학회(1999), 국어의 격과 조사, 「이광정, 전통문법에서의 격연구」,월인.
홍종선 엮음(1998), 근대국어문법의 이해, 박이정.
이희자, 이종희(1998), 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조사의 연구.
최현배(1986),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강길운(1958), 지정사는 설정되어야 할 것인가, 한글 제120호.
목정수(1998), 기능동사 ‘이다’의 구성과 쟁점, 언어학 제22호, 한국언어학회.
임홍빈(2005), 우리말에 대한 성찰1, 태학사.
>>ㄷ 그는 매사에 성실이다.
위의 예는 ‘성실’은 상태성 명사로서 ‘이다’ 대신 접사 ‘하다’를 붙여도 의미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며 따라서 이 때의 ‘이다’는 순수한 서술격 조사와는 거리가 멀다. 남기심고영근(1986),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p96.97
그리고 서술어는 동사, 형용사, 그리고 체언, 또는 체언 구실을 하는 말에 ‘-이다’가 붙어서 이루어진다.
이 또한 예를 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ㄱ 서울이 여기까지입니다. 여기부터는 경기도지요.
>>ㄴ 우리가 목적지에 도착한 것은 새벽 두 시가 가까워서입니다.
>>ㄷ 다음 빈 칸에 들어갈 말은 ‘새로운’이다
>>ㄹ그거야 땅 짚고 헤엄치기이다.
위의 굵은 글씨들은 체언은 아니지만 체언 구실을 하는 말들에 ‘-이다’가 연결되어 서술어가 된 것들이다. 체언이나 체언구실을 하는 말에 ‘-이다’가 연결된 것 전체는 용언의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서술어는 용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다’는 서술 기능을 가진 말이며 활용을 한다. 따라서 이것은 용언의 한 갈래로 보기도 한다. 지정사 또는 잡음씨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조사는 활용을 하지 않는 것인데 ‘-이다’를 조사의 한 가지로 잡는 것이 옳은 처리라고는 보기 어렵다. 그러나‘-이다’를 서술격조사라고 하여 조사의 한 가지로 취급하는 것은 ‘학교문법통일안’에 따르기 위한 것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p243
이고 하는데 조사설보다는 용언설에 더욱 가까운 것 같은데 왜 학교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지 의문이 생기는 것이다. ‘-이다’의 문법범주 설정을 제1,2,3기로 나누어서 제1기에는 주시경 문법의 견해에 따른 종지사설로 보고 있고 제2기는 최현배와 박승빈의 지정사설이 주도되는 시대이고 제3기는 체언토의 일부로 본 것이 그대로 학교문법에 적용된 것 같다. 이광정(2003), 국어문법연구-품사- 09.‘이다’의 연구사적 고찰
결론적으로 ‘-이다’의 용언적 성격은 형태론적 특성 뿐 아니라 통사론적 특성에서도 입증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다’는 ‘같다’, ‘아니다’등과 같은 형용사로 보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Ⅳ. 참고 문헌
간행위원회 편(2000),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김의수, ‘이다’논의 재검토」월인.
이광정(2003), 국어문법연구Ⅰ-품사, ‘-이다’연구의 사적 고찰, 역락.
남기심·고영근(1986),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한국어학회(1999), 국어의 격과 조사, 「이광정, 전통문법에서의 격연구」,월인.
홍종선 엮음(1998), 근대국어문법의 이해, 박이정.
이희자, 이종희(1998), 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조사의 연구.
최현배(1986),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강길운(1958), 지정사는 설정되어야 할 것인가, 한글 제120호.
목정수(1998), 기능동사 ‘이다’의 구성과 쟁점, 언어학 제22호, 한국언어학회.
임홍빈(2005), 우리말에 대한 성찰1, 태학사.
키워드
추천자료
- 특정 신문이 특정 정당을 지지하고 있는가에 대해 연구 분석
- 국어의 구조와 체계
- 이상적인 학교상에 대한 연구
- [과외]중학 사회 중1-1 지역사회 탐구 01
- [마케팅조사]저가 생활용품전문 '다이소(DAISO)' 기업분석 및 마케팅전략(A+리포트)
- [행정학] 진보정당(열린우리당,민주노동당)과 보수정당(한나라당)의 정책비교
- 인터넷 마케팅의 시장조사
- Tesco의 전략을 통해 바라본 우리기업의 발전방향 (테스코 기업조사)
- 정보사회에 따른 동거문화의 변화양상 - 인터넷 동거사이트를 중심으로 -
- [사회적 기업] 국내 사회적 기업 사례조사 (건강을 파는 기업 힌두스탄 유니레버, 네스트 - ...
- 여성전용 주차장_ 여성전용,남녀성차별,남녀불평등,젠더분석
-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분류,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오역,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품사, ...
- [공무원 사기관리] 공무원의 사기조사(morale survey), 공무원 동기부여(동기유발)방법, 사기...
- 호텔 경영 세미나 -영국 호텔 (관광) 산업의 환경정밀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