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법학] 애착,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조건 [독후감/서평/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범/법학] 애착,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조건 [독후감/서평/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3편-애착,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조건

에인즈워즈의 낯선상황 실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일날 초대하고 싶은 친구를 적어 내라고 했을 때 초대받은 것과 애착과의 관계실험

불안정한 시설의 아이

한번 불안정은 영원한 불안정 인가?

<애착>

애착 발달 단계

애착이 주는 효과

애착의 질

애착의 중요성: Bowlby의 애착 연구

엄마와 아이가 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

본문내용

않고 기어다니면서 능동적으로 애착대상자를 추적하기도 한다. 즉 부모가 어디에 있는지 보아두었다가 떠나려고 하면 재빨리 따라가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두 팔을 벌리고 안아달라고 하며 이때 부모가 아기를 안아주면 아기는 안심한다.
④ 동반자적 반응 단계 (3세 이후)
3세 이후가 되면 아동은 양육자의 의도, 감정, 입장을 이해하며 자기의 행동을 양육자에게 맞추기 시작한다. 이제 아동은 어느 정도 부모의 계획을 이해하여 부모가 없는 동안에도 안정된 상태로 지낼 수 있다.
즉 부모는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부모가 보이지 않더라도 부모의 행동을 상상하며 부모가 자기를 떠나는 것을 심리적으로 허용하게 되는 동반자의 관계로 행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것은 유아가 부모와 기본적인 신뢰감이 형성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애착이 주는 효과
안정되게 애착이 되면.......
-유아는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는다
-주위환경에 대한 탐색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사물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서 인지적 발달을 이룬다
-자신감과 유능감, 자율감, 문제해결력이 증가한다.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를 적극적이고 안정되게 형성 해나갈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친숙한 사람이나 물건은 아이의 격리불안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집에 아이가 자기의 베개나 담요 또는 인형 등의 애정어린 물건을 가지고 오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허용하여 주고, 교사 또한 그 물건들을 소중히 다뤄주어야 한다.
애착의 질
①안정적 애착
②불안정-회피 애착
③불안정-저항 애착
④대리 양육자와의 애착
아동이 부모와 어떤 애착의 질을 갖든지 상관없이 대리양육자와 아동 간에는 독립적인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갖고있는 아동도 대리양육자와는 안정되게 애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리양육자가 여러 명의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데에 있어서도 애착 유형은 독립적이다. 즉 한 아동이 교사와 안정된 애착관계에 있다고 하여도 다른 아동은 같은 교사와 불안정된 애착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이 든 대리양육자 보다는 오히려 젊은 대리양육자가 유아와 더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였는데 이는 경험의 많고 적음보다 아동의 신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안정된 애착을 위하여는 대리양육자가 어떤 사람이냐가 가장 중요하지만 그 밖에도 보육의 조건들 즉 어린이집을 자주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30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