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21세기와 목재 타이핑 자료 입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남대> 21세기와 목재 타이핑 자료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이오매스의 생성
2 목재자원의 용도
3 목재자원의 1차 산업
4 목재자원의 1차 산업
5 목재자원의 1차 산업
6 목재자원의 1차 산업
7 목재자원의 2차 산업
9 목재의 화학적구성성분
10 목재성분의 가수분해
11 셀룰로오즈 유도체 산업
12 목재자원의 3차 산업
13 목재자원의 3차 산업
14 21세기 산업에서의 목재이용

본문내용

프를
사용
은행권 및 문서용지 : 고급의 영구 보존용으로 보통 넝마를 원료로 사용
성경용지 : 넝마나 화학 펄프로 제조된 경량 고충전지
증권, 장부용지 : 편지지 및 기록지로 사용하기 위한 고급지, 원료는 넝마 및 화학
펄프
필묵지류 : 외관이 좋고 비교적 유연하며, 밀도가 낮은 종이. 보통 화학 펄프를
원료로 사용하나, 고품질의 경우에는 넝마를 사용
- 산업용지급
지대용지 : 강도가 높은 종이로 보통 고해를 많이 한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로 제조.
라이너판지 : 골판 상자 원지의 표층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량 판지.
포장 용지로도 사용, 인쇄를 할 수 있는 품질이 양호한 표층 라이너로
사용할 경우 고수율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로 제조
골심원지 : 골판 상자 윈지의 골을 만드는 내부층으로 사용, 보통 고수율 반화학
펄프를 사용하여 9포인트의 두께로 제조
공작용지 : 근본적으로 신문 용지형 시트로 중량 및 부피가 크다. 주로 유야 공작용
으로 많이 쓰인다.
내 지 지 : 고해를 많이 한 아황산 펄프로 제조한 밀도가 높은 무공성 종이
글라신지 : 내지지를 추긴 다음 초광택기에서 높은 압력을 가하여 제조.
광택이 있고 투명한 종이.
특별한 보호 목적으로 포장 할 때, 또는 밀랍지 제조용으로 사용.
- 박 엽 지 류
위생용 박엽지 : 화장지(섬유천), 욕실 화장지, 위생 용품 및 테이블 넵킨 등을
포함. 특성은 유연성과 흡수성이 있고, 가볍게 고해한 화학 펄프의
구성 비율이 높다.
콘덴서용 박엽지 : 고해를 많이 행한 크라프트 펄프로 만든 지합이 양호한 경량
박엽지로 콘덴서 절연체로 사용.
근본적으로 탄소지 및 습강 처리한 차 봉지와 같은 원료를 사용
타월 : 가볍게 고해한 크라프트 펄프에 기계 펄프를 섞어서 만든 주름이 잡힌
흡습지, 빠른 흡수와 보수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가끔 습윤으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습강용 수지로 처리.
포장용 박엽지 : 상품을 싸거나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각종 박엽지, 강도, 지합이
양호해야 하고, 결함이 없어야 한다.
평량이 16~28g/m2 범위
- 기타 특수지
잉크젯전용지 : 고도의 표면성에 고광택을 갖춘 사진 인화지 품질의 잉크젯 용지
(인화지에 가까운 잉크젯 전용지 나오는 중)
Non-Carbon지 : 카본지 없이도 적당한 압력에 여러장이 복사되도록 고안한 용지
(예 : 세금계산서용지, 각종전표용지)
컴퓨터 용지 : 표면 강도가 강하여 신축발생이 없는 용지
(예 : 지하철 Ticket, 고속도로 통행권 용지, 항공권 용지등)
감열용지 : 열을 받으면 인지하여 각종 반응색을 나타내는 용지.
(예 fax용지, 잉크젯용지 등)
각종 벽지원지 : 주택 사무실 등의 건축물 벽에 붙이는 벽지의 용도.
(예 : Tri Pine Dull, Tri Pine Artnouveau 등)
기타 木質板狀製品 (MDF)
ⓐ 파티클 보드
▶제조방법 : -원목에서 각재나 판재를 제조하고 남은 나무조각, 폐 잡재를 잘게 부수어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잘 건조시킴
-목재 분말에 접착제를 섞음. 형틀에 넣어 열과 압력을 가해 만듦.
▶특징: 나무 결 방향에 따른 강도나 변형의 차이가 없음
소리를 잘 흡수하고, 넓은 면적의 판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음
▶용도 : 가구, 악기, 전자 제품의 케이스 등에 널리 사용됨
ⓑ 집성목(Composite wood) : 얇은 목질 사이에 접착제로 접착 성형.
(두꺼운 목질제품 만들 수 있다.)
(아파트, 사무실 바닥재)
오늘날 접착제의 발달로 목질접착제의 접착성능이 목질자체의 물리적 강도이상으로
우수하여 목질폐재에 이러한 접착성능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목질판상제품을 집성목 또는 Composite wood라 한다. 이 집성목의 특징은 매우 큰
목재의 물리적 강도를 지니는 거대한 원목과 같은 역할을 이 자투리 목질폐제로 제조한 집성목도 가능하다는 것 이다.
▶집성목 만드는 과정(중국)
1) 로그: 집성목을 만들기 위해 목재를 벌목 집재한다.
2) 제재 : 원목을 건조 및 가공할 수 있도록 제재하는 과정
3) 건조 : 목재를 건조 시키는 과정, 건조는 목재 활용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
4) 재단 : 집성을 하기 위해선 일정한 크기로 재단을 하여야한다.
5) 핑거조인트: 재단된 목재를 지그재그 모양의 톱니 모양으로 가공하여 끼워 접착하는공정
6) 몰더가공: 일정크기로 재단하여 핑거조인트한 목재라 할지라도 약간의 크기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몰더기로 한번 더 가공하여 일정한 크기로 만든다.
7) 본드도포: 이제 준비된 목재로 접착을 하기 위해 본드를 도포한다.
8) 라미네이팅 콜드프레스: 본드 도포 후 집성목 제작을 위한 라미네이팅 작업, 길게 제작 된 집성목을 기계에 넣어 접착하는 과정
9) 보수작업: 라미네이팅 작업을 마친 제품은 제품의 하자 및 손상도 정도에 따라 보수작업을 한다.
10) 와일드센더: 보수작업을 마친 제품은 마지막 공정인 와일드 샌더기에 들어가게 되며, 샌딩을 통한 마감처리가 이루어진다.
11) 완료 및 포장: 와일드 샌딩 작업이 끝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며, 적절한 포장을 통해 출고하게 된다.
ⓒ Compreg wood (비중 0.8~1.5) (도시락 케이스, 일회용 젓가락, 고급자동차내장제)
목질재료의 또 다른 특징은 해부학적 구조에 있어 많은 세포내공-OH(극성물진, 습기나 습도 빨아들이는 성질 이 강하다)을 지녀 비중이 1.0보다 훨씬 작은 목질재료가 대다수라는 점이다.
이 세포내공이 결국 목질재료가 지니고 있는 단점, 즉 목질 재료의 수분에 의한 수축, 팽윤, 부후 등을
고분자 수지와 여러 종류의 채색재료를 흡입 시켜, 목질재료의 고유질감과 완벽한 방부,
방충성 뿐만 아니라 목질재료의 수축, 팽윤에 따른 이 판상제품의 뒤틀림 현상도 제거한 매우 고가의 목질 판상 제품.
ⓓ 섬유판 (MDF) (비중 0.4~0.8) -파티클보다 우수
습식 압축법, 건식압축법에 의해 제조 ( 실내장식, 가구)
#특징 : 방향성이 없다 - 뒤틀림, 갈라짐이 없음
조직이 비교적 치밀
표면이 평활
가공성 용이 (가볍고 재질이 경함)
*목재의 최대결점 : 잘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1.12.04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