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두시언해> 해제
2. 문학적 분석
2. 언어학적 분석
2. 문학적 분석
2. 언어학적 분석
본문내용
분석
1. <두시언해> 해제
<두시언해>의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이다. 이 이름은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 ‘두보’의 시 전편을 52부로 분류하여 훈민정음으로 번역한 시집이라는 뜻이다. <두시언해> 초간본은 세종 25년(1443년)에 착수하여 성종 12년(1481년)에 완성되었다. 원래 활자본으로 모두 25권이 간행되었으나 1, 2, 3, 4권과 11, 12, 13, 14권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두시언해>는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2. 문학적 분석
나라히 破亡니 뫼콰 잇고 國破山河在
잣 보 플와 나모 기펫도다 城春草木深
時節을 感歎호니 고지 므를 리게 코 感時花淚
여희여슈믈 슬후니 새 놀래다 恨別鳥驚心
烽火ㅣ 석 니시니 烽火連三月
지
1. <두시언해> 해제
<두시언해>의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이다. 이 이름은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 ‘두보’의 시 전편을 52부로 분류하여 훈민정음으로 번역한 시집이라는 뜻이다. <두시언해> 초간본은 세종 25년(1443년)에 착수하여 성종 12년(1481년)에 완성되었다. 원래 활자본으로 모두 25권이 간행되었으나 1, 2, 3, 4권과 11, 12, 13, 14권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두시언해>는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2. 문학적 분석
나라히 破亡니 뫼콰 잇고 國破山河在
잣 보 플와 나모 기펫도다 城春草木深
時節을 感歎호니 고지 므를 리게 코 感時花淚
여희여슈믈 슬후니 새 놀래다 恨別鳥驚心
烽火ㅣ 석 니시니 烽火連三月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