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 헌장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계획 헌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도시계획헌장
1. 헌장의 의의
2. 아테네 헌장
3. 마추피추 헌장
4. 메가드리드 헌장
5. 뉴어바니즘 헌장

II. 도시패러다임
1. 스마트성장 (Smart Griwth)
2. 컴팩트시티(compact City)
3. 뉴어바니즘(New Urbanism)
4.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III. 기타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빛 소나타’를 비롯해 소통을 주제로 한 한젬마의 가로등 설치작품, 철의 작가 최태훈의 거대한 부케, 최정화의 플라워 트리 등 유명작가 23명의 대표작이 단지 내에 조화롭게 배치됐다.
3) 뉴어바니즘(New Urbanism)
뉴어바니즘은 미국의 도시가 자동차 중심의 사회로 전환되기 이전인 제2차 세계대전이전의 도시 개발패턴으로 돌아가야한다는 계획및 설계원리이다. 신고전적인 건축가 및 도시설계가들이 중심이 되어 1991년에 발표한 아와니(Ahwahnee) 원칙에서 찾을 수 있다. 거주성이 높은 지역사회를 조성하고 교통체계와 토지이용 그리고 환경을 연계 통합하며,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계획을 추구한다.
뉴어바니즘은 뉴어바니즘 27조를 통하여 계획및 설계원리를 제시하고 있다.(Congrees for New Urbanism, 200) 주요 원리는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보행도로 조성, 차도 및 보해공간의 연결성 확보, 복합적이고 다양한 토지이용, 다양한 기능및 형태의 주거 단지 조성, 건축물 및 도시설계의 질적 향상, 지역공동체를 위한 거점공간의 마련, 효율을 고려한 토지이용 밀
도의 조정, 친근한 보행공간 설계 및 보행공간간의 네트워크 형성, 생태계를 고려한 지속간으성의 고려 및 삶의 질적 향상도모 등을 들 수 있다.
뉴어바니즘은 도시 맥락속에서 특정 구조물의 설계 및 용도들의 상호 관계를 정립하고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설계지침으로 중심에서 경계까지 1/4마일 이내에 있는 근린의 규모 설정, 광장, 공공녹지, 상징성을 가진 공공공간이 있는 근린중심, 보행자에게 편리하며, 격자형 등으로 상호연결된 가로, 근린 상호간을 원활히 연계하는 대중교통수단, 주민이 접근가능한 오픈스페이스 등을 제시하고 있다.
\"북미의 개발원칙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1993년 10월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서의 모임에서 비롯되었다.
공공정책, 개발행위, 도시계획과 설계를 이끌고자 하는 뉴어바니즘 헌장(27개조)에서 기본원칙을 알 수 있는데 크게 3가지의 권역(대도시권 및 시가지규모차원, 근린주구차원, 개별건축물차원)으로 나눠 접근하고 있다.
기본적인 원칙사항으로서 근린주구는 용도와 인구에 있어서 다양하여야 하며, 커뮤니티 설계에 있어서 보행자와 대중교통을 중요하게 다루며,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도시와 타운은 어디서든지 접근이 가능하면서 물리적으로는 공공공간과 커뮤니티 시설에 의해 형태를 갖추면서 도시적 장소는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지역적 특성과 관행을 존중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뉴어바니즘의 운동을 체계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하여 순수 전문가 조직체가 아닌 서로 다른 분야의 설계전문가와 공공 및 민간의 정책결정권자, 도시설계나 도시계획에 관심을 가지는 시민들의 연합체로서의 뉴어버니즘 협회도 구성되어 있다.
■ 신도시주의(New Urbanism)의 개요
배경
1980년대 미국에서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에 대한 도시개발 방법으로 나타남
등장 배경 : 교외화에 따른 기존 도심의 쇠퇴, “개구리 뜀뛰기”식(leap frog)개발, 인종간 및 소득계층간 공간 분리(spatial segregation), 무분별한 교외지역의 난개발, 대기 및 수질오염, 농업용 토지 및 동식물 서식지 상실 등의 사회문제가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인식 하에 도시개발에 대한 접근법을 바꿈으로써 사회문제를 해결하자는 주장
개념 : 새로운 개념의 토지이용계획 접근방법을 통하여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지역사회, 혹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의 건설을 지향하는 도시계획가들이 주도. 20세기에 들어 폭발적으로 보급된 승용차에 의한 도시활동 패턴에서 탈피하여 승용차가 없던 시절의 생활패턴으로 회귀하되 도보, 대중교통수단 등으로도 충분히 현대문명의 혜택을 수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건설을 지향한다. 신전통계획(neo-traditional planning), 대중교통위주의 설계(transit-oriented design)라고도 불림
※ 어바니즘(urbanism)이라 하면 ‘도시성(都市性)’ 또는, ‘도시적 삶의 내용’임
주요내용
미국의 도시가 자동차에 점령당하기 전인 2차 세계대전 이전의 도시개발패턴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계획 및 설계원리
신고전적(Neotraditional) 건축가, 도시설계사들이 중심이 되어 1991년 발표한 아와니(Ahwahnee)원리에서 기본원칙을 발견
거주성이 높은 지역사회 조성, 교통체계와 토지이용, 환경을 연계통합하며,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계획을 추구
뉴어바니즘 27조를 통하여 계획 및 설게원리 제시
- 효율적이며 친환경적 보행도로 조성
- 차도 및 보행공간의 연결성 확보
- 복합적이고 다양한 토지이용
- 다양한 기능 및 형태의 주거단지 조성
- 건축물 및 도시설계의 질적 향상
- 지역공동체를 위한 거점공간의 마련
- 효율을 고려한 토지이용 밀도의 조정
- 친근한 보행공간 설계 및 보행공간간의 네트워크 형성
- 생태계를 고려한 지속가능성의 고려
- 삶의 질적 향상 도모 등
도시맥락 속에서 특정 구조물의 설계 및 용도들의 상호관계 정립, 구체적인 해결책 제시하는데 초점
설계지침
- 중심에서 경계까지 1/4마일 이내에 있는 근린의 규모 설정
- 광장, 공공녹지, 상징성을 가진 공공공간이 있는 근린중심
- 보행자에게 편리하며, 격자형 등으로 상호연계된 가로
- 근린 상호간을 원활히 연계하는 대중교통수단
- 주민이 접근 가능한 오픈스페이스 등 제시
4)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영국으 도심부의 쇠퇴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이미 시작되었지만 특히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되어 맨체스터 등에서는 인구가 절정기의 절반수준에 머무를 정도로 비참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처 정권은 대도시 재생을 위해 각지에 도시개발공사를 설립해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영국의 주요 도시재생사업은 지자체와 EP,국가, EU의 파트너십 및 민간자본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경우가 많다. 보수당 정권시설에는 ‘시티 챌린지’, ‘블레이어 정권시설에 ;어반 르네상스’로 불리는 정책이 도시재생사업을 지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12.1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