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표준어규정
2.표준어 오용사례
-방송언어의 표준어 오용사례
-아동도서의 표준어 오용사례
-교과서의 표준어 오용사례
-실생활에서 잘 못 쓰이는 말들
3. 표준어 오용실태 해결책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해결책
-앞으로의 해결책
Ⅲ결론
Ⅱ 본론
1. 표준어규정
2.표준어 오용사례
-방송언어의 표준어 오용사례
-아동도서의 표준어 오용사례
-교과서의 표준어 오용사례
-실생활에서 잘 못 쓰이는 말들
3. 표준어 오용실태 해결책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해결책
-앞으로의 해결책
Ⅲ결론
본문내용
아이들 등교길과 하교길 돌보랴, 길 청소하랴, 아파트를
오르내리며 배추 배달하랴, 언제나 분주했습니다.’‘등교길, 하교길’->‘등굣길, 하굣길’
-----------------------------------------------------------------------------------------
초등학교 3-1 [도덕] 5쪽
‘…한 학년을 올라가고 새 친구들을 만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설레입니다.’
‘설레입니다’ -> ‘설렙니다’
-----------------------------------------------------------------------------------------
초등학교 3-1 [읽기] 10쪽
‘두 사람은 함께 너털웃음을 터뜨렸지. 나도 기분이 좋아서 뭉클뭉클 웃었고…’
뭉클뭉클 웃는다는 표현은 없다. ‘뭉클거리다’는 ‘음식이 소화가 안 되어 가슴이 무직 한 것’이고, ‘뭉클뭉클하다’는‘무른 것이 만지면 이리저리 밀려서 미끄러운 것’이다.
또 ‘뭉클하다’는 ‘뭉클거리다’의 뜻과 함께, ‘슬픔이나 격함이 가슴에 맺혀 풀리지 않는 것’ 이므로 뭉클뭉클 웃는다는 표현은 적절치 못하다.
-----------------------------------------------------------------------------------------
초등학교 5-1 [사회과 탐구] ‘창란젓’ -> ‘창난젓’
-----------------------------------------------------------------------------------------
중학교 1-1 [국어] 74쪽
‘자장가처럼 혼자말로 중얼거렸다.’ ‘혼자말’ -> ‘혼잣말’
-----------------------------------------------------------------------------------------
고등학교 국어상 37쪽 ‘이 노래의 노래말 뜻을 다음과 같이…’‘노래말’ -> ‘노랫말’
-----------------------------------------------------------------------------------------
고등학교 국어상 23쪽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대화를 주고받는다.’
‘대화’란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이다. 그러므로 ‘대화’를 다시 ‘주고받 는’다는 표현은 옳지 않다.
-----------------------------------------------------------------------------------------
<실생활에서 잘 못 쓰이는 말들>
(알고 쓰면 유용한 말들)
-------------------------------------------------------------------------♣주루룩(?) / 주르륵
야근하고 돌아오는데 감기에 걸린 때문인지 콧물이 ‘주루룩’ 흘러내렸다
엄마가 나를 물끄러미 바라보셨어요. 처음에는 안 그랬는데 눈물이 조금씩 고이더니 결국 엄마 눈이 가늘게 떨리면서 눈물이 ‘주루룩’ 흘러내렸어요.
주루룩(X)주르륵(ㅇ)
* “비가 주룩주룩 내린다”란 예문에서처럼 ‘굵은 물줄기나 빗물 따위가 빠르게 자꾸 흐르거나 내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을 나타내는 단어인 주룩주룩과 같은 형태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하는 실수.
<주르륵>
① 굵은 물줄기 따위가 빠르게 잠깐 흐르다가 그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② 물건 따위가 비탈진 곳에서 빠르게 잠깐 미끄러져 내리다가 멎는 모양
예) 거울에 비친 눈에서 눈물이 한 줄기 주르륵 흘러내렸다.
높다란 야자나무로부터 새까만 물체가 주르륵 타고 내려오는 걸 그는 보았다.
▷“주르륵대다(거리다) 주르륵하다“라고 쓰이기도 함
-------------------------------------------------------------------------
♣아둥바둥하다(?)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속에서 올림픽 2연패의 주역인 미숙이 생계를 위해 마트에서 아둥바둥하던 모습을 보자 문득 시골에 계신 어머니가 떠올랐다.
선수들의 식생활까지 통제하며 자신의 성공을 위해 아둥바둥하던 앞만 보고 달리는 현대인을 상징한다.
무엇을 이루려고 몹시 애쓰는 모습을 나타낼 때
‘아둥바둥’ 혹은 ‘아동바동’ (x) ⇒ 아등바등 (ㅇ)
*이는 비슷한 표현의 ‘버둥(바동)거리다’와 혼동해 범하는 잘못이다.
예) 최선을 다해 보지 않은 사람은 최고의 순간을 추억할 수 없다. 태안 기름 유출 사고가 터진지 40여 일이 지나면서 삶을 비관한 세 번의 안 좋은 소식도 있었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이 ‘그래도’ ‘만약에’라는 희망에 매달려 고통과 상처를 안은 채 아등바등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 고통에 맞서는 시간이 힘겨울수록 최고의 순간은 가까이 다가와 있다.
-------------------------------------------------------------------------
♣하늘은 온종일 ‘뿌옛다’
소한이자 새해 첫 일요일인 지난 6일 서울의 하늘은 온종일 뿌연 안개로 뒤덮였다. 며칠째 시계가 흐린 탓에 병원마다 천식 이나 감기 환자로 북새통을 이뤘다.
택시는 뿌연 연기를 일으키며 시골 길을 달렸다
대선 정국이 온통 뿌옇다
▣ ‘뿌옇다’를 과거형으로는 어떻게 표기할까?
<뿌옇다>
‘연기나 안개가 낀 것처럼 선명하지 못하고 좀 허옇다. 살갗이나 얼굴 따위가 허옇고 멀겋다.‘는 뜻
“뿌예, 뿌여니, 뿌옇소” 등으로 활용되는 “ㅎ불규칙용언”
◈ ㅎ불규칙용언이란
<어간의 ‘ㅎ’ +어미‘-아/-어’>와 결합할때 : 어간의‘ㅎ’이 떨어져 나가고 어미가 변하는 것
이때, ‘-아/-어‘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린다.
(모음조화 현상 때문이다)
뿌옇다: 뿌옇+어 ⇒ ”뿌예”가 되며 +었(과거시제) ⇒ ‘뿌옛다‘가 된다.
예) - 눈은 차곡차곡 키를 높여 쌓여 가고, 먼 하늘은 은은한 자황색을 띠고 있어 사방이 동트기 직전
처럼 뿌옜다.(김별아 『미실』)
- 환한 불빛이 갑자기 쏟아졌고, 눈앞이 뿌옜다.
※ ‘하얗다’ : ‘하얗 + 아‘ ⇒ “하얘”가 되며 ⇒ 과거형은 “하
오르내리며 배추 배달하랴, 언제나 분주했습니다.’‘등교길, 하교길’->‘등굣길, 하굣길’
-----------------------------------------------------------------------------------------
초등학교 3-1 [도덕] 5쪽
‘…한 학년을 올라가고 새 친구들을 만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설레입니다.’
‘설레입니다’ -> ‘설렙니다’
-----------------------------------------------------------------------------------------
초등학교 3-1 [읽기] 10쪽
‘두 사람은 함께 너털웃음을 터뜨렸지. 나도 기분이 좋아서 뭉클뭉클 웃었고…’
뭉클뭉클 웃는다는 표현은 없다. ‘뭉클거리다’는 ‘음식이 소화가 안 되어 가슴이 무직 한 것’이고, ‘뭉클뭉클하다’는‘무른 것이 만지면 이리저리 밀려서 미끄러운 것’이다.
또 ‘뭉클하다’는 ‘뭉클거리다’의 뜻과 함께, ‘슬픔이나 격함이 가슴에 맺혀 풀리지 않는 것’ 이므로 뭉클뭉클 웃는다는 표현은 적절치 못하다.
-----------------------------------------------------------------------------------------
초등학교 5-1 [사회과 탐구] ‘창란젓’ -> ‘창난젓’
-----------------------------------------------------------------------------------------
중학교 1-1 [국어] 74쪽
‘자장가처럼 혼자말로 중얼거렸다.’ ‘혼자말’ -> ‘혼잣말’
-----------------------------------------------------------------------------------------
고등학교 국어상 37쪽 ‘이 노래의 노래말 뜻을 다음과 같이…’‘노래말’ -> ‘노랫말’
-----------------------------------------------------------------------------------------
고등학교 국어상 23쪽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대화를 주고받는다.’
‘대화’란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이다. 그러므로 ‘대화’를 다시 ‘주고받 는’다는 표현은 옳지 않다.
-----------------------------------------------------------------------------------------
<실생활에서 잘 못 쓰이는 말들>
(알고 쓰면 유용한 말들)
-------------------------------------------------------------------------♣주루룩(?) / 주르륵
야근하고 돌아오는데 감기에 걸린 때문인지 콧물이 ‘주루룩’ 흘러내렸다
엄마가 나를 물끄러미 바라보셨어요. 처음에는 안 그랬는데 눈물이 조금씩 고이더니 결국 엄마 눈이 가늘게 떨리면서 눈물이 ‘주루룩’ 흘러내렸어요.
주루룩(X)주르륵(ㅇ)
* “비가 주룩주룩 내린다”란 예문에서처럼 ‘굵은 물줄기나 빗물 따위가 빠르게 자꾸 흐르거나 내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을 나타내는 단어인 주룩주룩과 같은 형태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하는 실수.
<주르륵>
① 굵은 물줄기 따위가 빠르게 잠깐 흐르다가 그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② 물건 따위가 비탈진 곳에서 빠르게 잠깐 미끄러져 내리다가 멎는 모양
예) 거울에 비친 눈에서 눈물이 한 줄기 주르륵 흘러내렸다.
높다란 야자나무로부터 새까만 물체가 주르륵 타고 내려오는 걸 그는 보았다.
▷“주르륵대다(거리다) 주르륵하다“라고 쓰이기도 함
-------------------------------------------------------------------------
♣아둥바둥하다(?)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속에서 올림픽 2연패의 주역인 미숙이 생계를 위해 마트에서 아둥바둥하던 모습을 보자 문득 시골에 계신 어머니가 떠올랐다.
선수들의 식생활까지 통제하며 자신의 성공을 위해 아둥바둥하던 앞만 보고 달리는 현대인을 상징한다.
무엇을 이루려고 몹시 애쓰는 모습을 나타낼 때
‘아둥바둥’ 혹은 ‘아동바동’ (x) ⇒ 아등바등 (ㅇ)
*이는 비슷한 표현의 ‘버둥(바동)거리다’와 혼동해 범하는 잘못이다.
예) 최선을 다해 보지 않은 사람은 최고의 순간을 추억할 수 없다. 태안 기름 유출 사고가 터진지 40여 일이 지나면서 삶을 비관한 세 번의 안 좋은 소식도 있었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이 ‘그래도’ ‘만약에’라는 희망에 매달려 고통과 상처를 안은 채 아등바등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 고통에 맞서는 시간이 힘겨울수록 최고의 순간은 가까이 다가와 있다.
-------------------------------------------------------------------------
♣하늘은 온종일 ‘뿌옛다’
소한이자 새해 첫 일요일인 지난 6일 서울의 하늘은 온종일 뿌연 안개로 뒤덮였다. 며칠째 시계가 흐린 탓에 병원마다 천식 이나 감기 환자로 북새통을 이뤘다.
택시는 뿌연 연기를 일으키며 시골 길을 달렸다
대선 정국이 온통 뿌옇다
▣ ‘뿌옇다’를 과거형으로는 어떻게 표기할까?
<뿌옇다>
‘연기나 안개가 낀 것처럼 선명하지 못하고 좀 허옇다. 살갗이나 얼굴 따위가 허옇고 멀겋다.‘는 뜻
“뿌예, 뿌여니, 뿌옇소” 등으로 활용되는 “ㅎ불규칙용언”
◈ ㅎ불규칙용언이란
<어간의 ‘ㅎ’ +어미‘-아/-어’>와 결합할때 : 어간의‘ㅎ’이 떨어져 나가고 어미가 변하는 것
이때, ‘-아/-어‘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린다.
(모음조화 현상 때문이다)
뿌옇다: 뿌옇+어 ⇒ ”뿌예”가 되며 +었(과거시제) ⇒ ‘뿌옛다‘가 된다.
예) - 눈은 차곡차곡 키를 높여 쌓여 가고, 먼 하늘은 은은한 자황색을 띠고 있어 사방이 동트기 직전
처럼 뿌옜다.(김별아 『미실』)
- 환한 불빛이 갑자기 쏟아졌고, 눈앞이 뿌옜다.
※ ‘하얗다’ : ‘하얗 + 아‘ ⇒ “하얘”가 되며 ⇒ 과거형은 “하
추천자료
[노사관계론] 연봉제의 문제점과 해결대안 (노사관리 인사관리
라이머(E. Reimer)의 `학교는 죽었다`를 읽고
[지역정보화 정책] ‘경상남도’와 ‘제주도’의 지역정보화 사례
우수학군 선호와 관련한 사회문제
청소년의 성교육
교육의 종말
개인적 의사결정과 집단적 의사결정의 비교
경영사례연구-아웃소싱(outsourcing)
[사회과학] 부동산 컨설팅
경영정보론 - 한국조폐공사의 BSC를 통한 기업 혁신
[인적자원개발론] 국내기업의 HRD사례와 청소년교육의 시사점
재건축주택조합과 관련한 과세제도와 그 개선 방안
[사회복지 정책평가][사회복지 정책평가 요인][사회복지 정책평가 구성][사회복지 정책평가 ...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에 따른 이용조건을 설명하고 문제점을 제시 [노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