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국어의 어휘 변화
Ⅱ.1.고유어
Ⅱ.2. 차용어
Ⅱ.3. 신조어
Ⅲ. 현대국어의 어휘 변화
Ⅲ.1. 차용어
Ⅲ.2. 신조어
Ⅳ. 맺음말
[참고문헌]
Ⅱ. 근대국어의 어휘 변화
Ⅱ.1.고유어
Ⅱ.2. 차용어
Ⅱ.3. 신조어
Ⅲ. 현대국어의 어휘 변화
Ⅲ.1. 차용어
Ⅲ.2. 신조어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휘의 변화 (근대, 현대)
Ⅰ. 머리말
우리는 국어로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또 남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며 국어를 통하여 조상이 이룩한 문화를 이어받고, 우리가 이룩한 바를 후세에 전한다. 하지만, \'용비어천가‘를 읽어 본 사람이라면 국어가 많은 변화를 보여 왔다는 것을 누구나 깨달을 수 있다.
언어는 단어의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라 음운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공고한 체계이며 변화는 그 체계 전체에서 일어나는 것이다.(이기문, 1986) 또, 언어의 변화는 돌발적이 아니고 어느 기간에 걸쳐 일어나며, 수백 년을 두고 보면 그 변화가 자못 현격한 것이 보통이다.
어휘는 음운이나 문법과는 달리 그 시대의 다양한 특징적 상황들이 반영된다. 따라서, 우리말의 어휘가 변화해 온 양상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인 변화 양상까지도 읽을 수가 있다.
여기서는 어느 시기보다도 사회적, 문화적 변화가 매우 켰던 때인 근대 이후부터의 어휘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Ⅱ. 근대국어의 어휘 변화
근대국어의 시기는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 3세기 동안을 일컫는다.(국립국어연구원: 1997) 김형주(1996)는 18~19세기까지의 2세기 동안을 근대국어 시기로 봄.
이때는 임·병 양란을 겪고 나서 양반 계층의 권위가 떨어지고, 평민계층의 발흥으로 형식에서 실질로, 권위보다는 실리에로 사회의 변모를 가져왔던 시대이다. 18세기에 들어 와서 이러한 기운은 실사구시의 학풍이 학문을 융성하게 하는 토양이 되었으며, 천주교의 전래로 서구문명의 새로운 세계와 접하게 되었으며, 과학지식과 고도의 물질문명 앞에 정신적으로 커다란 각성의 시대를 맞이한 때였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학문적 변화를 촉진시키는 배경 요인으로 작용하여 어휘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Ⅱ.1.고유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는 변화한다. ‘마(四十)’의 반치음 ‘ㅿ’음가를 상실하여 「마>마은」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마은」은 다시 「마흔」으로 변한다. 이는 「설흔」의 「흔」에 유추(類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제 마 ㅣ로다(于今四十年) <두시언해 중간 4:1>
올해 마은이요(今年四十也) <노박집람 하64>
마흔(四十) <동문유해 하 20)
「마 > 마 > 마은 > 마흔」으로 어형변화가 이루어진 예이다.(김형주:1996)
중세국어에서 관형사와 대명사로 두루 쓰이던 「므스, 므슴, 므슷」이 근대 국어 후기 이후에 관형사 「무순」과 대명사 「무엇」으로 분화되어 어형변화한 것이며, 형용사에서 파생된 명사 「
Ⅰ. 머리말
우리는 국어로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또 남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며 국어를 통하여 조상이 이룩한 문화를 이어받고, 우리가 이룩한 바를 후세에 전한다. 하지만, \'용비어천가‘를 읽어 본 사람이라면 국어가 많은 변화를 보여 왔다는 것을 누구나 깨달을 수 있다.
언어는 단어의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라 음운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공고한 체계이며 변화는 그 체계 전체에서 일어나는 것이다.(이기문, 1986) 또, 언어의 변화는 돌발적이 아니고 어느 기간에 걸쳐 일어나며, 수백 년을 두고 보면 그 변화가 자못 현격한 것이 보통이다.
어휘는 음운이나 문법과는 달리 그 시대의 다양한 특징적 상황들이 반영된다. 따라서, 우리말의 어휘가 변화해 온 양상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인 변화 양상까지도 읽을 수가 있다.
여기서는 어느 시기보다도 사회적, 문화적 변화가 매우 켰던 때인 근대 이후부터의 어휘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Ⅱ. 근대국어의 어휘 변화
근대국어의 시기는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 3세기 동안을 일컫는다.(국립국어연구원: 1997) 김형주(1996)는 18~19세기까지의 2세기 동안을 근대국어 시기로 봄.
이때는 임·병 양란을 겪고 나서 양반 계층의 권위가 떨어지고, 평민계층의 발흥으로 형식에서 실질로, 권위보다는 실리에로 사회의 변모를 가져왔던 시대이다. 18세기에 들어 와서 이러한 기운은 실사구시의 학풍이 학문을 융성하게 하는 토양이 되었으며, 천주교의 전래로 서구문명의 새로운 세계와 접하게 되었으며, 과학지식과 고도의 물질문명 앞에 정신적으로 커다란 각성의 시대를 맞이한 때였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학문적 변화를 촉진시키는 배경 요인으로 작용하여 어휘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Ⅱ.1.고유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는 변화한다. ‘마(四十)’의 반치음 ‘ㅿ’음가를 상실하여 「마>마은」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마은」은 다시 「마흔」으로 변한다. 이는 「설흔」의 「흔」에 유추(類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제 마 ㅣ로다(于今四十年) <두시언해 중간 4:1>
올해 마은이요(今年四十也) <노박집람 하64>
마흔(四十) <동문유해 하 20)
「마 > 마 > 마은 > 마흔」으로 어형변화가 이루어진 예이다.(김형주:1996)
중세국어에서 관형사와 대명사로 두루 쓰이던 「므스, 므슴, 므슷」이 근대 국어 후기 이후에 관형사 「무순」과 대명사 「무엇」으로 분화되어 어형변화한 것이며, 형용사에서 파생된 명사 「
추천자료
통신언어 사용에 관한 표현상 어휘상 문법상의 실태에 관한 보고서
영어토익 문법및 어휘문제와 해설
명사 문법 어휘요약
[북한의 언어] 북한의 신문을 통해 살펴 본 북한 언어의 문법 어휘적 특징과 남북한 비교 (20...
북한의 신문을 통해 살펴 본 북한언어의 어휘 문법적 특징과 남북한의 언어 이질화 (2007년 ...
[남북 언어정책][남북 어휘][남북 규범문법][남북 언어통일]남북한 언어정책의 비교, 남북한 ...
[문법교육A+]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및 의미변화
영어(영어문법)의 어휘, 영어(영어문법) 절, 영어(영어문법) 음탈락현상, 영어(영어문법) 음...
남성과 여성의 대화, 의사소통, 언어적 차이(일반적, 음성적, 문법적, 어휘적, 화용적 차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