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한글 맞춤법 1
1.1. 총칙
1.2. 자모의 차례와 이름
1.3. 모음 ‘ㅖ,ㅢ’의 표기
1.4. 두음 법칙
1.5. 사잇소리
1.6. 의문형 어미
1.7. 부사형 어미
제2장 띄어쓰기 11
2.1. 고유명사
2.2. 숫자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2.3. 의존명사
제3장 문장부호 14
3.1. 쌍점 (:)
3.2. 큰따옴표(“ ”)/⟪⟫
3.3. 작은 따옴표(‘ ’)/< >
3.4. 묶음표( )〔 〕{ }
제4장 표준 발음법 19
4.1. 총칙
4.2. ‘ㅚ, ㅟ’의 발음
4.3. ‘ㅢ’발음
4.4. ‘ㅖ’의 발음
4.5. 받침 ‘ㄼ’의 발음
4.6. ‘맛있다, 멋있다’의 발음
4.7. 설측음화와 설측음의 비음화
제5장 남북한 어문규범 통일 방안 30
5.1.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5.2. 남북한 띄어쓰기 통일 방안
5.3. 남북한 문장 부호 통일 방안
5.4. 남북한 표준 발음법 통일 방안
1.1. 총칙
1.2. 자모의 차례와 이름
1.3. 모음 ‘ㅖ,ㅢ’의 표기
1.4. 두음 법칙
1.5. 사잇소리
1.6. 의문형 어미
1.7. 부사형 어미
제2장 띄어쓰기 11
2.1. 고유명사
2.2. 숫자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2.3. 의존명사
제3장 문장부호 14
3.1. 쌍점 (:)
3.2. 큰따옴표(“ ”)/⟪⟫
3.3. 작은 따옴표(‘ ’)/< >
3.4. 묶음표( )〔 〕{ }
제4장 표준 발음법 19
4.1. 총칙
4.2. ‘ㅚ, ㅟ’의 발음
4.3. ‘ㅢ’발음
4.4. ‘ㅖ’의 발음
4.5. 받침 ‘ㄼ’의 발음
4.6. ‘맛있다, 멋있다’의 발음
4.7. 설측음화와 설측음의 비음화
제5장 남북한 어문규범 통일 방안 30
5.1.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5.2. 남북한 띄어쓰기 통일 방안
5.3. 남북한 문장 부호 통일 방안
5.4. 남북한 표준 발음법 통일 방안
본문내용
제1장 한글 맞춤법
남북한의 어문 규정은 그 구성 내용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어문 규정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남한의 경우 어문 규정의 일부인 <한글 맞춤법>이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띄여쓰기’와 ‘문장부호법’을 맞춤법과 별도로 대등하게 규정하고 있다. 즉 북한의 <조선말규범집>의 ‘맞춤법’은 총칙과 본문 7장 27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한에서 맞춤법 규정에 포함시키고 있는 ‘띄여쓰기’의 총칙과 본문 5장 22항, ‘문장부호법’의 총칙과 본문 20항은 맞춤법과 대등하게 별도로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남한의 ‘맞춤법’에 대응하는 북한의 규범은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이고, 남한의 ‘표준어 규정’에 대응되는 것은 ‘문화어발음법’이다.
총칙
<북> 조선말 맞춤법은 단어에서 뜻을 가지는 매개 부분을 언제나 같게 적는 원칙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경우 소리나는대로 적거나 관습을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남>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자모의 수
<북> 40자
<남> 24자
자모의 이름
<북> ㄱ(기윽) ㄴ(니은) ㄷ(디
남북한의 어문 규정은 그 구성 내용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어문 규정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남한의 경우 어문 규정의 일부인 <한글 맞춤법>이 ‘띄어쓰기’와 ‘문장부호’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띄여쓰기’와 ‘문장부호법’을 맞춤법과 별도로 대등하게 규정하고 있다. 즉 북한의 <조선말규범집>의 ‘맞춤법’은 총칙과 본문 7장 27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한에서 맞춤법 규정에 포함시키고 있는 ‘띄여쓰기’의 총칙과 본문 5장 22항, ‘문장부호법’의 총칙과 본문 20항은 맞춤법과 대등하게 별도로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남한의 ‘맞춤법’에 대응하는 북한의 규범은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이고, 남한의 ‘표준어 규정’에 대응되는 것은 ‘문화어발음법’이다.
총칙
<북> 조선말 맞춤법은 단어에서 뜻을 가지는 매개 부분을 언제나 같게 적는 원칙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경우 소리나는대로 적거나 관습을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남>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자모의 수
<북> 40자
<남> 24자
자모의 이름
<북> ㄱ(기윽) ㄴ(니은) ㄷ(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