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1) 조사목적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발견점요약
(4) 제 안
2. 본 론
(1) 시장현황
(2) 자사소개
(3) 경쟁사소개
(4) 설문지
(5) 결론도출
3. 결 론
(1) 마케팅제안
(2) 출처 및 참고자료
(1) 조사목적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발견점요약
(4) 제 안
2. 본 론
(1) 시장현황
(2) 자사소개
(3) 경쟁사소개
(4) 설문지
(5) 결론도출
3. 결 론
(1) 마케팅제안
(2)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르 의 4강 체제
- 2011년 상위 4개사 매출액
파리크라상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
신라명과
total
매출액
1조
6480억
717억
394억
- 2011년 상위 4개사 점포 현황 (단위 : 개)
파리크라상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
신라명과
total
점포수
2270
1352
390
122
- 2011년 상위 4개사 당기순이익 (단위 : 억)
파리크라상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
신라명과
total
당기순이익
315
38
39
3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3사 연도별 매출 현황 (년, 억원)
- 크라운베이커리의 쇠퇴 이유
1) 포지셔닝의 일관성 부족, 브랜드 이미지 부재
모델의 잦은 변경(7년동안 11명의 광고모델 등장
자주변하는 광고 카피
2)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함
빵의 트렌드 변화
카페베이커리의 등장 : 뚜레쥬르, 파리크라상 등은 이미 카페 베이커리화 성공
3) 소극적인 시장 공략 : 기업차원에서 마케팅 의지박약
- 신라명과의 쇠퇴 이유
1) 신라명과만의 차별화 된 이미지 부재
2) 소극적인 마케팅으로 인한 낮은 인지도
3) 외환위기 직후 긴축경영으로 성장기회를 놓쳐 정체됨
- 이미지 조사
뚜레쥬르는 젊은 연령층에게 감성적으로 소구하기 위하여 젊은 연예인인 조인성, 구혜선을 등장시킨 일련의 광고들을 통해 브랜드 자체의 이미지를 젊은 이미지로 확립하는 데 성공하였다.
- 이용 브랜드 만족도 분석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브랜드는 파리바게트가 67.8%로 뚜레쥬르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메뉴 만족도, 혜택 만족도, 이벤트 만족도 부분에서도 모두 파리바게트가 뚜레쥬르보다 높게 나타났다.
- 제품 이미지 현황
- 시장의 최근현황 및 전망
1) 새로운 경쟁사의 등장으로 인한 위협
베이커리 시장에 웰빙이 합쳐져 고급화로 바뀌면서 고급스러운 소비자의 입맛을 겨냥해 호텔의 기존 시스템을 호텔 밖으로 선보이는 호텔 베이커리의 대두와 크리스피크림 도넛의 시장 진출, 스타벅스의 베이커리 강화, 샌드위치 카페 오픈 등은 베이커리 업계에 또 다른 위협으로 작용될 것으로 보여 치밀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2) 베이커리 업체들의 고급화와 사업다각화
카페베이커리 : 단순히 빵을 사서 집에서 먹는 것이 아니라 커피와 빵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변화되어 기존 베이커리 형태를 카페형태로 업그레이드. ex) 까페뚜레쥬르
고급브랜드 매장 : 기존 베이커리 제품들과 커피, 음료, 샌드위치를 함께 취급하면서 매장의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춤. ex) CJ의 투썸플레이스와 파리크라상의 파리크라상
3)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 추구
파리바게트 : 가맹점 운영에 주력하기보다는 점포관리를 내실화 -> 매출과 수익성 제고 ex) 고급 선물용 제품의 활성화를 통해 객단가 상승시킴
뚜레쥬르 : 점포 모델을 입지별로 차별 적용 -> 중대형 점포위주의 새로운 베이커리 문화를 형성 마케팅 전문 인력을 추가 보강, CJ그룹 차원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적극 활용 -> 매출과 수익성 제고
크라운베이커리 : 40%대의 냉동 생지 비율을 늘리고 주력 제품의 질적 향상 -> 제품의 고급화, 매장 모니터링을 도입 하고 매장마다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부여해 선의의 경쟁 유도 -> 매장의 경쟁력 강화
신라명과 : 커피, 핸드메이드 초콜릿, 샌드위치, 생과일 주스 중 몇 가지씩을 지역 특성에 맞게 입지별로 접목 -> 멀티형 점포 개점을 늘림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존 로드샵들의 인테리어 리뉴얼을 단행 -> 브랜드 고급 이미지 구축, 홍익회 매장에 머핀 등 단품을 적용 -> 전문화
4) 웰빙 트렌드 강화 및 확대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 제품에 대한 선호가 계속 되며 앞으로는 전문 매장 뿐 아니라 일반 베이커리 숍에서도 건강 소재를 사용한 제품군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5) 국내외 시장 개척 전망
한정된 베이커리 시장에서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시장 공략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전국 매장이 1200여 개나 되는 파리크라상의 경우 해외 매장을 늘리고 국내에서는 매장 확대를 이루기보다는 내실을 다지기에 주력하지만 나머지 다른 업체들은 매장 확대에 힘쏟을 전망
파리크라상 : 2004년 중국 상하이에서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외국인 집단 거주 지역인 상하이 창닝구 수이청난루 12호에 구베이 1호점을 개점하였고, 오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세계 박람회를 기점으로 상하이와 베이징, 광저우 등 중국 전역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포수를 500여개로 늘릴 방침
뚜레쥬르 : 미국과 중국에 적극적 진출, 투썸플레이스를 포함하여 국내 100여 개의 매장을 열 예정
크라운베이커리 : 전국적인 매장 확장에 주력
신라명과 : 멀티숍 형태의 매장을 개점하면서 기존의 매장도 멀티숍으로 바꿔나갈 예정
(2) 자사소개
- 브랜드 개요
뚜레쥬르는 1997년 9월 1호점인 구리교문점을 오픈하면서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시장에 진출했다. 뚜레쥬르의 론칭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데, 그중 핵심은 대기업(당시 제일제당)이 제빵 시장에 본격 진출한 첫 사례라는 점과, IMF 이후 퇴직한 삼성 계열사 직원들이 제2의 인생을 위한 생계수단으로 시작했다는 점이다. 1호점부터 29호점까지는 삼성 퇴직자가 운영했고, 1998년 9월부터 일반인 대상 가맹사업을 벌였다. 뚜레쥬르 역시 밀가루, 설탕 등을 보유한 제일제당과의 시너지와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단숨에 업계 2위로 올라섰다.
CJ푸드빌의 뚜레쥬르는 매장 수나 매출 면에선 파리바게트보다 뒤처진다. 매장 수는 2010년 현재 약 1400여 개점이고(파리바게트 2600여개), 매출액은 2009년 기준 3000억 원으로 파리바게트의 3분의 1 수준이다.
- 연 혁
1996.
CJ내 B-Project팀 발족
냉동반죽 사업 참여 결정
브랜드 네임 확정(뚜레쥬르-프랑스어로 매일매일)
1997.
BI도입 유럽 전원풍의 신선하고 친근한 이미지
9월 뚜레쥬르 1호점을 구리 교문점에 오픈
11월 냉동반죽 공장 준공-대량생신&점포공급시작
1998.
9월 일반인 대상 가맹 사업 시작
1999.
99년 프랜차이즈 우수 브랜드 (한국 능률협회)
100호점 오픈
케
- 2011년 상위 4개사 매출액
파리크라상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
신라명과
total
매출액
1조
6480억
717억
394억
- 2011년 상위 4개사 점포 현황 (단위 : 개)
파리크라상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
신라명과
total
점포수
2270
1352
390
122
- 2011년 상위 4개사 당기순이익 (단위 : 억)
파리크라상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
신라명과
total
당기순이익
315
38
39
3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3사 연도별 매출 현황 (년, 억원)
- 크라운베이커리의 쇠퇴 이유
1) 포지셔닝의 일관성 부족, 브랜드 이미지 부재
모델의 잦은 변경(7년동안 11명의 광고모델 등장
자주변하는 광고 카피
2)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함
빵의 트렌드 변화
카페베이커리의 등장 : 뚜레쥬르, 파리크라상 등은 이미 카페 베이커리화 성공
3) 소극적인 시장 공략 : 기업차원에서 마케팅 의지박약
- 신라명과의 쇠퇴 이유
1) 신라명과만의 차별화 된 이미지 부재
2) 소극적인 마케팅으로 인한 낮은 인지도
3) 외환위기 직후 긴축경영으로 성장기회를 놓쳐 정체됨
- 이미지 조사
뚜레쥬르는 젊은 연령층에게 감성적으로 소구하기 위하여 젊은 연예인인 조인성, 구혜선을 등장시킨 일련의 광고들을 통해 브랜드 자체의 이미지를 젊은 이미지로 확립하는 데 성공하였다.
- 이용 브랜드 만족도 분석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브랜드는 파리바게트가 67.8%로 뚜레쥬르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메뉴 만족도, 혜택 만족도, 이벤트 만족도 부분에서도 모두 파리바게트가 뚜레쥬르보다 높게 나타났다.
- 제품 이미지 현황
- 시장의 최근현황 및 전망
1) 새로운 경쟁사의 등장으로 인한 위협
베이커리 시장에 웰빙이 합쳐져 고급화로 바뀌면서 고급스러운 소비자의 입맛을 겨냥해 호텔의 기존 시스템을 호텔 밖으로 선보이는 호텔 베이커리의 대두와 크리스피크림 도넛의 시장 진출, 스타벅스의 베이커리 강화, 샌드위치 카페 오픈 등은 베이커리 업계에 또 다른 위협으로 작용될 것으로 보여 치밀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2) 베이커리 업체들의 고급화와 사업다각화
카페베이커리 : 단순히 빵을 사서 집에서 먹는 것이 아니라 커피와 빵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변화되어 기존 베이커리 형태를 카페형태로 업그레이드. ex) 까페뚜레쥬르
고급브랜드 매장 : 기존 베이커리 제품들과 커피, 음료, 샌드위치를 함께 취급하면서 매장의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춤. ex) CJ의 투썸플레이스와 파리크라상의 파리크라상
3)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 추구
파리바게트 : 가맹점 운영에 주력하기보다는 점포관리를 내실화 -> 매출과 수익성 제고 ex) 고급 선물용 제품의 활성화를 통해 객단가 상승시킴
뚜레쥬르 : 점포 모델을 입지별로 차별 적용 -> 중대형 점포위주의 새로운 베이커리 문화를 형성 마케팅 전문 인력을 추가 보강, CJ그룹 차원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적극 활용 -> 매출과 수익성 제고
크라운베이커리 : 40%대의 냉동 생지 비율을 늘리고 주력 제품의 질적 향상 -> 제품의 고급화, 매장 모니터링을 도입 하고 매장마다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부여해 선의의 경쟁 유도 -> 매장의 경쟁력 강화
신라명과 : 커피, 핸드메이드 초콜릿, 샌드위치, 생과일 주스 중 몇 가지씩을 지역 특성에 맞게 입지별로 접목 -> 멀티형 점포 개점을 늘림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존 로드샵들의 인테리어 리뉴얼을 단행 -> 브랜드 고급 이미지 구축, 홍익회 매장에 머핀 등 단품을 적용 -> 전문화
4) 웰빙 트렌드 강화 및 확대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 제품에 대한 선호가 계속 되며 앞으로는 전문 매장 뿐 아니라 일반 베이커리 숍에서도 건강 소재를 사용한 제품군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5) 국내외 시장 개척 전망
한정된 베이커리 시장에서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시장 공략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전국 매장이 1200여 개나 되는 파리크라상의 경우 해외 매장을 늘리고 국내에서는 매장 확대를 이루기보다는 내실을 다지기에 주력하지만 나머지 다른 업체들은 매장 확대에 힘쏟을 전망
파리크라상 : 2004년 중국 상하이에서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외국인 집단 거주 지역인 상하이 창닝구 수이청난루 12호에 구베이 1호점을 개점하였고, 오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세계 박람회를 기점으로 상하이와 베이징, 광저우 등 중국 전역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포수를 500여개로 늘릴 방침
뚜레쥬르 : 미국과 중국에 적극적 진출, 투썸플레이스를 포함하여 국내 100여 개의 매장을 열 예정
크라운베이커리 : 전국적인 매장 확장에 주력
신라명과 : 멀티숍 형태의 매장을 개점하면서 기존의 매장도 멀티숍으로 바꿔나갈 예정
(2) 자사소개
- 브랜드 개요
뚜레쥬르는 1997년 9월 1호점인 구리교문점을 오픈하면서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시장에 진출했다. 뚜레쥬르의 론칭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데, 그중 핵심은 대기업(당시 제일제당)이 제빵 시장에 본격 진출한 첫 사례라는 점과, IMF 이후 퇴직한 삼성 계열사 직원들이 제2의 인생을 위한 생계수단으로 시작했다는 점이다. 1호점부터 29호점까지는 삼성 퇴직자가 운영했고, 1998년 9월부터 일반인 대상 가맹사업을 벌였다. 뚜레쥬르 역시 밀가루, 설탕 등을 보유한 제일제당과의 시너지와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단숨에 업계 2위로 올라섰다.
CJ푸드빌의 뚜레쥬르는 매장 수나 매출 면에선 파리바게트보다 뒤처진다. 매장 수는 2010년 현재 약 1400여 개점이고(파리바게트 2600여개), 매출액은 2009년 기준 3000억 원으로 파리바게트의 3분의 1 수준이다.
- 연 혁
1996.
CJ내 B-Project팀 발족
냉동반죽 사업 참여 결정
브랜드 네임 확정(뚜레쥬르-프랑스어로 매일매일)
1997.
BI도입 유럽 전원풍의 신선하고 친근한 이미지
9월 뚜레쥬르 1호점을 구리 교문점에 오픈
11월 냉동반죽 공장 준공-대량생신&점포공급시작
1998.
9월 일반인 대상 가맹 사업 시작
1999.
99년 프랜차이즈 우수 브랜드 (한국 능률협회)
100호점 오픈
케
추천자료
IBM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신한카드서비스마케팅-SWOT분석
닥터유_swot_stp
인적자원관리 혁신사례 - GE (General Electric)
MCM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MCM 해외진출 마케팅 4P,STP전략 기획과 MCM 향후 글로벌전략 제...
미네워터 제품분석과 SWOT분석,마케팅전략 사례/ 미네워터 문제점과 개선방안제안/ 미네워터 ...
SONY 소니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SONY 소니 마케팅전략과 글로벌 경영전략사례분석및 SONY ...
(세븐일레븐 기업전략연구) 세븐일레븐 기업현황,SWOT분석및 세븐일레븐 경영전략,물류전략,S...
[더페이스샵 마케팅사례] 더페이스샵 브랜드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더페이스샵...
유니클로 기업분석과 유니클로 마케팅전략 (4P,STP,SWOT)분석및 유니클로 미래전략제언 PPT
[국민은행 마케팅전략] KB국민은행 기업분석,SWOT분석및 KB국민은행 마케팅,경영전략분석과 ...
CESCO 세스코 성공요인과 세스코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세스코 미래전략제언 PPT
하나투어 마케팅기업전략 연구- 하나투어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마케팅기업전략분석과 하나...
LG패션 LF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LG패션 마케팅전략분석과 생산 SCM전략분석및 LG패션 향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