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자료수집
간호과정-검사결과 및 신체사정 간호진단등
간호수행및 평가
자료수집
간호과정-검사결과 및 신체사정 간호진단등
간호수행및 평가
본문내용
감염, 로키산 반점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등이 아닌지 검사해야 합니다. 폐렴 환자는 통증, 피로, 호흡곤란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불안이 증가 됩니다.
⑺ 진단 검사
①객담과 혈액검사
객담을 받아 그람염색검사, 배양검사, 민감도 검사를 합니다. 객담은 심호흡과 기침, 흡인을 통해 얻습니다. 흡인중 객담은 객담수집구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혈액 배양검사로 혈류에 세균이 침입하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민감도검사로 각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나 민감성을 알 수 있습니다.
전혈구 검사로 백혈구 증가증을 확인합니다. HIV검사를 할 수도 있으며 폐렴 환자 중 패혈증 환자의 소변검사에서 혈뇨, 농뇨,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는 산소공급이 필요한지를 나타냅니다. 또한 혈청전해질, 혈액요소질소(BUN), 크레이티닌 수준을 측정합니다. 이화작용(catabolism)의 증가와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로 BUN 수치가 증가합니다. 발열과 수분섭취 부족으로 탈수가 생기고, 특히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과 같은 수분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②흉부 X-선 검사
일반적으로 폐렴은 흉부 X-선 검사에서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보입니다. 노인에게는 종종 증상들이 막연하게 나타나므로 흉부 X-선 검사는 폐렴의 조기 진단에 있어 필수 적입니다.
③기타
저산소증을 사정하기 위해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pulese oxymetry)을 합니다. 또한 기관지 흡인, 기관지경 검사, 바늘 흡인천자(direct needle aspiration)등과 같은 침습적인 검사를 통해 하부기도의 검사물을 수집합니다. 늑막삼출액이 있으면 늑막 천자를 시행합니다.
⑻ 치료
폐렴은 적절한 항생제 사용, 수액요법, 침상안정, 진통제, 산소요법 등으로 치료합니다.
혈액, 객담배양 및 항생제 민감성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합니다. 치료과정은 세균의 특성에 따라 최소 5일(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으로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서 최고 21일(면역이 억제된 환자의 경우)까지 이릅니다. 항생제 부작용인 설사, 구토, 오심, 소양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합니다.
기관지 경련이 발생하면, 기관지 확장제, 특히 B2-작용제(Agonists)를 처방합니다. 처음에는 분무기로 투약하고 그 다음부터는 용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로 흡입하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흡입용 steroid는 기관지 천식 또는 호흡부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급성 폐렴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수액은 적어도 3~4일 동안 증가 시킵니다.
2. 자료수집
평가일 : 2009년 11월 18일
이 름 : 김 O O 성별 : 남 / 여
--------------------------------------------------------------------
출생일 : 2008년 9월 13일 (분만형태 : c/s 42주)
출생 시 체중 : 3.2kg (%) - 대한소아과학회 기준()
현재 체중 : 17.1kg (%), 키 : 90cm ( %)
--------------------------------------------------------------------
활력증후 : 체온 36.4℃, 호흡수 20회/분, 심박동수 120회/분
지난기간 혹은 현재 의료적 문제 (수술, 입원, 투약)가 있었습니까? 있음
09년 02월 17일 ~ 09년 2월 20일 Bronchiolitis로 본원 소아청소년과 입원
영양 : 아이가 하루에 먹는 양은 어떻습니까?
①먹는 양이 매우 적다. ②먹는 양이 적은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먹는 양이 많은 편이다. ⑤먹는 양이 매우 많다.
먹는 것에 표 하세요
하루섭취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
자다가 깨서
수유를 하나요?
모유
회
아니요 예( 회)
조제분유
800ml
젖병. 빨대컵, 컵, 기타
아니요 예( 회)
우유
ml
젖병. 빨대컵, 컵, 기타
아니요 예( 회)
두유 ( 어린이용 일반)
ml
젖병. 빨대컵, 컵, 기타
아니요 예( 회)
먹는 것에 표 하세요
하루 섭취
스스로 먹나요
평균적으로 밥먹는데 소요되는 시간?
밥 빵
3 회
예 아니요
25 분 ~ 30 분
먹는 것에 표 하세요
하루 섭취
육류, 생선류, 계란, 치즈 또는 콩제품 (두부,된장)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야채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우유 또는 칼슘강화두유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과일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스낵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시판이유식 또는 시리얼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선식 또는 생식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비타민 또는 영양제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보약 또는 건강보조식품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배설 : 대변( 양상 - 색 노란색 정상변) 1일 2회 ~ 3회
소변( 양상 - 색 약간 노란색 냄새 없음 ) 기저귀 갈아주는 횟수 1일 4회
배변은 규칙적입니까? 규칙적
수면 : 수면시간 - 10 ~ 11시간/일,
수면 패턴이 일정(밤중 수유 없이 긴 밤 10~12 시간과 오후 낮잠 1회)합니까?
예 아니오
수면과 관련된 문제가 있습니까? 없음
안전 : 주위 환경이 아이에게 안전합니까? 특별한 사항 없음
모성의 안녕감 : 엄마가 학교나 직장에 다닙니까? (전업주부 정규직 파트타임
기타) 주로 아기를 돌보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엄마 아기의 할머니나 친척 베이비시터 놀이방 어린이집 기타 학원)
엄마의 건강상태는 어떠합니까? (질병이나 현재 복용하는 약이 있습니까?) 없음
형제 관계에 어떤 어려움이 있습니까? 해당없음
발달 : 붙잡아 주면 계단을 걸어 올라갑니까?(한 계단씩 양발 모아) ○ 수저를 이용해서 밥을 잘 먹을 수 있습니까? 그림책에 나오는 동물의 이름을 말할 수 있습니까? 낙서를 합니까? 직선을 그릴 수 있습니까? 소변이나 대변을 본 후 알려줍니까? ○ 집안일(청소, 전화받기)을 흉내냅니까? ○ 아이가 말할 수 있는 단어는? 숨겨진 물건(공이 어디 있지?)을
⑺ 진단 검사
①객담과 혈액검사
객담을 받아 그람염색검사, 배양검사, 민감도 검사를 합니다. 객담은 심호흡과 기침, 흡인을 통해 얻습니다. 흡인중 객담은 객담수집구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혈액 배양검사로 혈류에 세균이 침입하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민감도검사로 각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나 민감성을 알 수 있습니다.
전혈구 검사로 백혈구 증가증을 확인합니다. HIV검사를 할 수도 있으며 폐렴 환자 중 패혈증 환자의 소변검사에서 혈뇨, 농뇨,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는 산소공급이 필요한지를 나타냅니다. 또한 혈청전해질, 혈액요소질소(BUN), 크레이티닌 수준을 측정합니다. 이화작용(catabolism)의 증가와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로 BUN 수치가 증가합니다. 발열과 수분섭취 부족으로 탈수가 생기고, 특히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과 같은 수분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②흉부 X-선 검사
일반적으로 폐렴은 흉부 X-선 검사에서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보입니다. 노인에게는 종종 증상들이 막연하게 나타나므로 흉부 X-선 검사는 폐렴의 조기 진단에 있어 필수 적입니다.
③기타
저산소증을 사정하기 위해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pulese oxymetry)을 합니다. 또한 기관지 흡인, 기관지경 검사, 바늘 흡인천자(direct needle aspiration)등과 같은 침습적인 검사를 통해 하부기도의 검사물을 수집합니다. 늑막삼출액이 있으면 늑막 천자를 시행합니다.
⑻ 치료
폐렴은 적절한 항생제 사용, 수액요법, 침상안정, 진통제, 산소요법 등으로 치료합니다.
혈액, 객담배양 및 항생제 민감성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합니다. 치료과정은 세균의 특성에 따라 최소 5일(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으로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서 최고 21일(면역이 억제된 환자의 경우)까지 이릅니다. 항생제 부작용인 설사, 구토, 오심, 소양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합니다.
기관지 경련이 발생하면, 기관지 확장제, 특히 B2-작용제(Agonists)를 처방합니다. 처음에는 분무기로 투약하고 그 다음부터는 용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로 흡입하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흡입용 steroid는 기관지 천식 또는 호흡부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급성 폐렴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수액은 적어도 3~4일 동안 증가 시킵니다.
2. 자료수집
평가일 : 2009년 11월 18일
이 름 : 김 O O 성별 : 남 / 여
--------------------------------------------------------------------
출생일 : 2008년 9월 13일 (분만형태 : c/s 42주)
출생 시 체중 : 3.2kg (%) - 대한소아과학회 기준()
현재 체중 : 17.1kg (%), 키 : 90cm ( %)
--------------------------------------------------------------------
활력증후 : 체온 36.4℃, 호흡수 20회/분, 심박동수 120회/분
지난기간 혹은 현재 의료적 문제 (수술, 입원, 투약)가 있었습니까? 있음
09년 02월 17일 ~ 09년 2월 20일 Bronchiolitis로 본원 소아청소년과 입원
영양 : 아이가 하루에 먹는 양은 어떻습니까?
①먹는 양이 매우 적다. ②먹는 양이 적은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먹는 양이 많은 편이다. ⑤먹는 양이 매우 많다.
먹는 것에 표 하세요
하루섭취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
자다가 깨서
수유를 하나요?
모유
회
아니요 예( 회)
조제분유
800ml
젖병. 빨대컵, 컵, 기타
아니요 예( 회)
우유
ml
젖병. 빨대컵, 컵, 기타
아니요 예( 회)
두유 ( 어린이용 일반)
ml
젖병. 빨대컵, 컵, 기타
아니요 예( 회)
먹는 것에 표 하세요
하루 섭취
스스로 먹나요
평균적으로 밥먹는데 소요되는 시간?
밥 빵
3 회
예 아니요
25 분 ~ 30 분
먹는 것에 표 하세요
하루 섭취
육류, 생선류, 계란, 치즈 또는 콩제품 (두부,된장)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야채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우유 또는 칼슘강화두유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과일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스낵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시판이유식 또는 시리얼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선식 또는 생식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비타민 또는 영양제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보약 또는 건강보조식품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배설 : 대변( 양상 - 색 노란색 정상변) 1일 2회 ~ 3회
소변( 양상 - 색 약간 노란색 냄새 없음 ) 기저귀 갈아주는 횟수 1일 4회
배변은 규칙적입니까? 규칙적
수면 : 수면시간 - 10 ~ 11시간/일,
수면 패턴이 일정(밤중 수유 없이 긴 밤 10~12 시간과 오후 낮잠 1회)합니까?
예 아니오
수면과 관련된 문제가 있습니까? 없음
안전 : 주위 환경이 아이에게 안전합니까? 특별한 사항 없음
모성의 안녕감 : 엄마가 학교나 직장에 다닙니까? (전업주부 정규직 파트타임
기타) 주로 아기를 돌보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엄마 아기의 할머니나 친척 베이비시터 놀이방 어린이집 기타 학원)
엄마의 건강상태는 어떠합니까? (질병이나 현재 복용하는 약이 있습니까?) 없음
형제 관계에 어떤 어려움이 있습니까? 해당없음
발달 : 붙잡아 주면 계단을 걸어 올라갑니까?(한 계단씩 양발 모아) ○ 수저를 이용해서 밥을 잘 먹을 수 있습니까? 그림책에 나오는 동물의 이름을 말할 수 있습니까? 낙서를 합니까? 직선을 그릴 수 있습니까? 소변이나 대변을 본 후 알려줍니까? ○ 집안일(청소, 전화받기)을 흉내냅니까? ○ 아이가 말할 수 있는 단어는? 숨겨진 물건(공이 어디 있지?)을
추천자료
아동간호이론가 이론의특징
발달이론-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밥 안먹는 아이 부모교육 보고서 및 교육자료
[아동간호학] 유아의 발달단계와 주요 질병
[아동간호실습]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 (PSGN :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유아의 치아관리(teeth care) - 치아관리에 관한 이해, 발달 단계...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학령전기 성장과 발달의 단계별 특징 -학령전기의 개념, 신체 성장...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유아기 활동(活動)과 휴식(休息) - 발달 단계별 특성(영아기, 유...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의 이해와 분류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과 발달 검사 및 입학 전 준비와 신체검진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유아기의 놀이 - 발달 단계별 특성(영아기, 유아기, 학령전기), ...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심폐소생술 (心肺蘇生法 / CPR) - 심폐소생술의 개념과 목적, 영아...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안전사고(安全事故)의 필요성과 예방(운수사고, 낙상, 골절, 중독, ...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유아 건강 - 건강의 개념, 건강의 영향 요인, 건강 관련 통계, 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