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강
1) 구강의 구조
2) 구강의 기능
2. 식도
1) 식도의 구조
2) 식도의 기능
1) 구강의 구조
2) 구강의 기능
2. 식도
1) 식도의 구조
2) 식도의 기능
본문내용
lar layer)
b. 외부: 종주층(longitudinal layer)
c. 연동운동과 분절운동을 담당
③ 외막(adventitia)
a. 탄성섬유를 가진 소성결합조직으로 되어 식도와 척추 또는 주위조직을 결 합시킴
b. 앞쪽의 기관과는 강하게 결합되어 있음
(5) 협착부
① 제1(상)협착부(1st narrowing) : 식도 기시부
② 제2(중)협착부(2nd narrowing) : 기관분기부 높이의 부위
③ 제3(하)협착부(3rd narrowing) : 횡격막 관통 부위
2) 식도의 기능
(1) 음식물의 화학적 소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2)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의 통과를 용이하게 함
(3) 인두 후두 부분과 위를 연결하여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로 가는 통로 역할
(4) LES(lower esophageal sphincter : 하부 식도 조임근)
① 식도의 하부에 위치
② 음식물의 식도 역류를 방지하여 식도 점막 보호
※ 참고문헌
1. 문정석 외 (1998), 알기 쉬운 사람 해부학, 현문사
2. 이정수 외 (2003), 해부생리학, 현문사
3. 이한기 외 (2002), 해부생리학, 고문사
4.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b. 외부: 종주층(longitudinal layer)
c. 연동운동과 분절운동을 담당
③ 외막(adventitia)
a. 탄성섬유를 가진 소성결합조직으로 되어 식도와 척추 또는 주위조직을 결 합시킴
b. 앞쪽의 기관과는 강하게 결합되어 있음
(5) 협착부
① 제1(상)협착부(1st narrowing) : 식도 기시부
② 제2(중)협착부(2nd narrowing) : 기관분기부 높이의 부위
③ 제3(하)협착부(3rd narrowing) : 횡격막 관통 부위
2) 식도의 기능
(1) 음식물의 화학적 소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2)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의 통과를 용이하게 함
(3) 인두 후두 부분과 위를 연결하여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로 가는 통로 역할
(4) LES(lower esophageal sphincter : 하부 식도 조임근)
① 식도의 하부에 위치
② 음식물의 식도 역류를 방지하여 식도 점막 보호
※ 참고문헌
1. 문정석 외 (1998), 알기 쉬운 사람 해부학, 현문사
2. 이정수 외 (2003), 해부생리학, 현문사
3. 이한기 외 (2002), 해부생리학, 고문사
4.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