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31장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사의 내용과 관련 고사(古事)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대상으로 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이에 비해 허웅(1975:662)에서의 처리는 다르다. 허웅은 <용비어천가>는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이고,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돌아가신 왕후에게 올리는 글이다. 따라서 상대 높임을 해야 하는 문체이다. 그런데 <용비어천가> 각 장마다 ‘-다’를 사용하는 것은 너무 단조롭기 때문에 대부분 이것을 생략했다고 한다. 그리고 일부 장에는 ‘-다’를 사용하여 상대 높임을 나타내면서 노래의 단조로움을 깨뜨린다고 설명한다. 그런데 여기서는 ‘-가’를 사용하여 상대 높임을 나타내고 있다. 여섯째, ‘리’, ‘버늘’을 통해 받침이 있는 체언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면, 일반적으로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기를 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음소적 표기법은 ‘:니미어시니’와 같이 용언의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도 적용되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2.1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