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공화국의 대북 통일문제에 관한 보도 형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북한․공산권 국가에 대한 보도 요강
3. 정주영 회장 방북 보도의 흑막
4. 문익환 목사 방북 사건
5. 서경원 의원 밀입북

본문내용

기부는 서의원에 대한 수사를 계속 해 오던 중 서의원이 수사망을 감지하고 89년 6월 24일 자수한 것을 안기부가 김대중 총재의 장외투쟁과 때 맞춰 바로한 것이다. 또한 이는 임수경의 평양축전 참가 이틀 전으로 당시 노정권이 처한 위기 국면에서 이를 모면하기 위한 의도적 이슈 제공의 가능성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각 언론사의 서경원 의원 밀입북 사건에 대한 보도 성향은 한겨레의 겨우 당시 밀입북 사건을 계기로 핵심 현안을 피해가려는 정부의 의도를 간파한데 비해, 그 밖의 신문에서는 정부의 의도를 충실히 반영하는 정도를 넘어서 뒤에 사실 무근의 추측기사를 남발하는 등 스스로 여론을 앞질러 반공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 보도 관행을 보여 왔다.
한겨레 신문
▷ ‘방북 충격, 5공청산 실종 위기’, 89년 6월 29일자
▷ ‘사그라들던 공안정국에 기름 붓기’, 6월 29일자
▷ ‘좌경 침투 지목은 민주 탄압’, 6월 30일자
▷ ‘공안정국 회오리, 민생 5공 청산 뒷전’, 7월 5일자
▷ ‘공안정국 틈탄 민정당의 악법 보호’, 7월 19일자
조선일보
▷ ‘서의원 간첩 확증 잡아’, 7월 2일자
▷ ‘서의원 북에 남한 정세보고’, 7월 4일자
▷ ‘김종필-보안법 없애면 나라 결딴난다’, 7월 4일자
▷ 7월 2일자, ‘고금숙씨를 서의원과 내연의 관계이며 이번 밀입부에 관련되어 있는 인물’이라는 인신 공격적, 반윤리적 방식의 보도
중앙일보
▷ 6월 28일자, 1면 톱기사로 ‘입북평민의원 2, 3명 정도 더 있다’, ‘야당보좌관 중 몇 명이 북한의 직접지령을 바고 간첩활동을 하고 있다는 혐의를 잡고 집중 추적 중이다’라 보도
이러한 보도 관행은 단순히 정부의 강제에 의해서 보다는 취재의 경제성, 법적 책임의 회피, 특종에의 집착 등이 관행화된 언론사간의 무분별한 보도 경쟁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고 하겠다.
6공은 ‘서의원의 밀입북 사건’을 발표하면서 전교조의 결성 저지와 평민당의 위축, 임수경의 평양축전 참가로 통일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전대협의 탄압을 목표로 언론의 보도를 조작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전교조에 강경한 조치를 망설이던 정부는 ‘밀입북 사건’ 발표 다음날 전교조 가입 교사들을 새학기전 모두 징계하기로 결정하는 강경 대응을 무리 없이 진행하는 한편, 전교조 사무실을 압수 수색하는 등 일시에 전교조 결성을 막으려는 조치를 취하는데 ‘서의원의 밀입북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18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