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키의 각 부위 명칭
2. 그 외 스키를 타는데 필요한 장비들
3. 스키의 기술의 종류
4. 기술 익히기
5. 스키 부상 원인과 예방법
2. 그 외 스키를 타는데 필요한 장비들
3. 스키의 기술의 종류
4. 기술 익히기
5. 스키 부상 원인과 예방법
본문내용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V자 턴(herringbone turn)
- 이 기술은 경사진 설면을 V자 등행으로 올라가다가 스키의 방향을 90도 변경하여 사등행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앞 넓힌 스타 턴과 같이 옆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것은 같지만 스키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항상 엣지를 가하여야 한다.
ⓒ 킥 턴(kick turn)
- 슬로프 위에 서서 미끄러지지 않고 180도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 기술은 유연성과 균형 감각이 많이 필요하며 세 개의 지지점이 확보되어야 한다. 즉, 두개의 폴과 하나의 다리로 지지하고 발을 옮길 때는 가급적 빨리 움직여야 한다.
■ 킥 턴을 실시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계곡쪽 스키부터 방향을 바꾼다.
-등은 산 정상 쪽으로 향하고 턴한다.
-스키를 옮길 때 스키가 폴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폴을 약간 멀리 짚는다.
⑤ 활강의 자세
-직활강이란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 폴 라인 방향으로 똑바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이 때의 자세는 스키를 약간 벌려 나란히 놓고 체중을 두 스키에 나누어 실어 스키 바닥이 모두 눈과 닿게 한다. 무릎은 약간 구부려 앞으로 내밀고 상체의 긴장을 풀고 어깨와 팔을 아래로 자연스럽게 둔다. 고개를 들고 전방을 주시하며, 전체적으로 몸을 약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한다.
경사가 급해지거나 완만해지는 등 지형 변화가 있을 때는 직활강 자세에서 몸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업 다운동작을 실시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경사가 급해지는 지형에서는 급경사 지역을 지나가기 직전에 몸을 구부려 중심을 낮추고 동시에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이와 같은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관성에 의하여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는 몸이 뒤로 기울어 넘어지게 된다.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직활강으로 지날 때는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 스키 앞 부분이 뒷 부분보다 설면으로부터 압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직활강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스키 앞 부분이 제동을 받아 앞으로 넘어지게 된다. 이 때의 올바른 자세는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통과하기 직전에 업동작을 실시하여 스키 앞 부분이 설면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⑥ 프르그 화렌과 보겐
- 스키에 있어서 갓난아기가 기어 다니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술이 바로 프르그 화렌과 보겐이다. 즉, 아기가 두 무릎과 두 팔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중심공간을 많이 확보하여 균형을 잡고 있듯 스키도 스키의 모양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자신만의 중심공간을 많이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스키의 모양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삼각형을 줄이면 속도가 증가하고 넓히면 속도가 감속된다. 이것이 익숙해지면 턴을 하기 위해 연습하는 것이 프르그 보겐이다. 따라서 남들은 스키를 나란하게 하여 잘 탄다고 부러워만 할 것이 아니라 프르그 보겐의 기술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습 하는 것이 자신의 실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겠다. 스키는 체중으로 스키를 누름으로써 스키를 휘게하여 턴을 유도하는 것으로 부츠의 앞부분을 정강이로 눌러 스키를 휘게 한다. 이렇게 하면 스키가 회전하는데 이를 위해서 초보자들은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⑦ 페러럴 턴
\"페러렐\"이란 말 그대로 두 개의 스키를 평행으로 놓고 턴을 시작부터 끝까지 마무리하는 스킹을 말한다. 페러렐은 기초 페러렐과 익스퍼트 페러렐로 나눌 수 있다.
기초 페러렐은 페러렐을 하기전 스키어에게 가장 중요한 이정표이며 초-중급자 스키어가 상급 스키어로 올라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앞 단계(보겐, 슈템)와 달리 단지 타이밍과 부드러움을 위하여 폴 플랜(체킹)을 하고 턴의 중간부분이 \'A\'자가 아닌 두 스키를 나란히 놓고 시작을 하는 것만 다르다. 이것을 빠르고 아름다우며 리드미컬하게 만들었을 때, 우리는 이를 \'익스퍼트 페러렐\'이라고 부른다.
슈템 턴을 통해 눈과 친숙해진 여러분은 양 발을 11자로 놓고 출발을 하는 페러렐을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회전 법을 익혀야 한다. 처음 페러렐을 입문하는 스키어는 처음에는 몇 번의 턴을 완성을 시킨 후 이를 계속 턴의 숫자를 늘려나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똑 같은 것을 계속해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스키모양을 일자(평행하게 유지하면서) 턴 도입부에 무릎의 구부림(다운)으로 인해 스키의 스키딩(스키가 눈에 옆으로 미끄러지면서)으로 속도 제어 및 회전을 하게 하는 기술이다.
⑧ 카빙턴
- 카빙턴 부터는 아주 고급기술에 들어간다. 이 기술은 레이싱 기술에서 도입이 되었는데 스키의 회전시 속도를 줄이지 않고 스키자체의 옆 틀림(사이드컷)으로 인해 회전을 하는 것을 말한다.
3. 스키 부상과 상해 예방법
- 모든 스포츠는 어쩔 수 없이 \'원초적 위험\'에 노출 되어있다. 어느 정도의 부상 위험성을 감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곳곳에 부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스포츠에서 근본적으로 부상을 피하는 길은 안 하는 방법 밖에 없음을 알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스포츠를 즐기는 것은 스포츠 행위가 이제는 기본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스포츠 부상을 예방하려는 노력은 \'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고 \'몰라서 다치는 일을 줄이자\'는 개념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스키 역시 별다른 보호 장구 없이 변화무쌍한 자연에서 벌어지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부상의 위험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검증된 내용들을 몸으로 익혀 미리 조심한다면 많은 수의 부상을 줄일 수 있다.
1) 스키 부상의 종류
여러 가지 종류의 스키 부상이 일어나지만 현재 가장 문제가 되는 부상은 \'경골 골절과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있다.
① 경골 골절
- 스킹 중 발생하는 경골 골절은 직접적으로 바인딩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 바인딩은 스프링과 캠을 이용한 구조로서, 정상 스킹 중에는 스키판을 잡아주다가 한계 이상의 힘이 다리에 가해지면 스키화를 스키판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골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뒤 바인딩의 창에 표시되어 있는 \'DIN\'이라고 불리는 \'이탈 계수\'를 신체 조건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 수치를 정하는 표는 각 스키
ⓑ V자 턴(herringbone turn)
- 이 기술은 경사진 설면을 V자 등행으로 올라가다가 스키의 방향을 90도 변경하여 사등행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앞 넓힌 스타 턴과 같이 옆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것은 같지만 스키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항상 엣지를 가하여야 한다.
ⓒ 킥 턴(kick turn)
- 슬로프 위에 서서 미끄러지지 않고 180도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 기술은 유연성과 균형 감각이 많이 필요하며 세 개의 지지점이 확보되어야 한다. 즉, 두개의 폴과 하나의 다리로 지지하고 발을 옮길 때는 가급적 빨리 움직여야 한다.
■ 킥 턴을 실시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계곡쪽 스키부터 방향을 바꾼다.
-등은 산 정상 쪽으로 향하고 턴한다.
-스키를 옮길 때 스키가 폴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폴을 약간 멀리 짚는다.
⑤ 활강의 자세
-직활강이란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 폴 라인 방향으로 똑바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이 때의 자세는 스키를 약간 벌려 나란히 놓고 체중을 두 스키에 나누어 실어 스키 바닥이 모두 눈과 닿게 한다. 무릎은 약간 구부려 앞으로 내밀고 상체의 긴장을 풀고 어깨와 팔을 아래로 자연스럽게 둔다. 고개를 들고 전방을 주시하며, 전체적으로 몸을 약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한다.
경사가 급해지거나 완만해지는 등 지형 변화가 있을 때는 직활강 자세에서 몸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업 다운동작을 실시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경사가 급해지는 지형에서는 급경사 지역을 지나가기 직전에 몸을 구부려 중심을 낮추고 동시에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이와 같은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관성에 의하여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는 몸이 뒤로 기울어 넘어지게 된다.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직활강으로 지날 때는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 스키 앞 부분이 뒷 부분보다 설면으로부터 압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직활강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스키 앞 부분이 제동을 받아 앞으로 넘어지게 된다. 이 때의 올바른 자세는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통과하기 직전에 업동작을 실시하여 스키 앞 부분이 설면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⑥ 프르그 화렌과 보겐
- 스키에 있어서 갓난아기가 기어 다니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술이 바로 프르그 화렌과 보겐이다. 즉, 아기가 두 무릎과 두 팔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중심공간을 많이 확보하여 균형을 잡고 있듯 스키도 스키의 모양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자신만의 중심공간을 많이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스키의 모양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삼각형을 줄이면 속도가 증가하고 넓히면 속도가 감속된다. 이것이 익숙해지면 턴을 하기 위해 연습하는 것이 프르그 보겐이다. 따라서 남들은 스키를 나란하게 하여 잘 탄다고 부러워만 할 것이 아니라 프르그 보겐의 기술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습 하는 것이 자신의 실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겠다. 스키는 체중으로 스키를 누름으로써 스키를 휘게하여 턴을 유도하는 것으로 부츠의 앞부분을 정강이로 눌러 스키를 휘게 한다. 이렇게 하면 스키가 회전하는데 이를 위해서 초보자들은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⑦ 페러럴 턴
\"페러렐\"이란 말 그대로 두 개의 스키를 평행으로 놓고 턴을 시작부터 끝까지 마무리하는 스킹을 말한다. 페러렐은 기초 페러렐과 익스퍼트 페러렐로 나눌 수 있다.
기초 페러렐은 페러렐을 하기전 스키어에게 가장 중요한 이정표이며 초-중급자 스키어가 상급 스키어로 올라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앞 단계(보겐, 슈템)와 달리 단지 타이밍과 부드러움을 위하여 폴 플랜(체킹)을 하고 턴의 중간부분이 \'A\'자가 아닌 두 스키를 나란히 놓고 시작을 하는 것만 다르다. 이것을 빠르고 아름다우며 리드미컬하게 만들었을 때, 우리는 이를 \'익스퍼트 페러렐\'이라고 부른다.
슈템 턴을 통해 눈과 친숙해진 여러분은 양 발을 11자로 놓고 출발을 하는 페러렐을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회전 법을 익혀야 한다. 처음 페러렐을 입문하는 스키어는 처음에는 몇 번의 턴을 완성을 시킨 후 이를 계속 턴의 숫자를 늘려나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똑 같은 것을 계속해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스키모양을 일자(평행하게 유지하면서) 턴 도입부에 무릎의 구부림(다운)으로 인해 스키의 스키딩(스키가 눈에 옆으로 미끄러지면서)으로 속도 제어 및 회전을 하게 하는 기술이다.
⑧ 카빙턴
- 카빙턴 부터는 아주 고급기술에 들어간다. 이 기술은 레이싱 기술에서 도입이 되었는데 스키의 회전시 속도를 줄이지 않고 스키자체의 옆 틀림(사이드컷)으로 인해 회전을 하는 것을 말한다.
3. 스키 부상과 상해 예방법
- 모든 스포츠는 어쩔 수 없이 \'원초적 위험\'에 노출 되어있다. 어느 정도의 부상 위험성을 감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곳곳에 부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스포츠에서 근본적으로 부상을 피하는 길은 안 하는 방법 밖에 없음을 알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스포츠를 즐기는 것은 스포츠 행위가 이제는 기본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스포츠 부상을 예방하려는 노력은 \'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고 \'몰라서 다치는 일을 줄이자\'는 개념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스키 역시 별다른 보호 장구 없이 변화무쌍한 자연에서 벌어지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부상의 위험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검증된 내용들을 몸으로 익혀 미리 조심한다면 많은 수의 부상을 줄일 수 있다.
1) 스키 부상의 종류
여러 가지 종류의 스키 부상이 일어나지만 현재 가장 문제가 되는 부상은 \'경골 골절과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있다.
① 경골 골절
- 스킹 중 발생하는 경골 골절은 직접적으로 바인딩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 바인딩은 스프링과 캠을 이용한 구조로서, 정상 스킹 중에는 스키판을 잡아주다가 한계 이상의 힘이 다리에 가해지면 스키화를 스키판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골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뒤 바인딩의 창에 표시되어 있는 \'DIN\'이라고 불리는 \'이탈 계수\'를 신체 조건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 수치를 정하는 표는 각 스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