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액소성한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개요

2.실험기구

3.실험 방법

4.결과 처리

5.조별 토의 사항

6.오차 및 고찰

본문내용

을 구할 수 있었는데, 직선에 매우 가까운 모양을 얻을 수 있었고, 이것을 통해 유동지수는 평균 -32.24%, 소성지수는 5.25%라는 값도 구할 수 있다는 토의 사항이 있었다.
6.오차 및 고찰
눈으로 보면서 길이를 판단하는 것은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는 매우 부정확한 것이다. 액성한계 시험에서 흙이 전단 파괴되어 무너질 때 갈라진 틈을 눈으로 보면서 그것이 붙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로 그런 것이다. 그 과정에서 타격횟수에 오차가 생겼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특히 소성한계 시험에서도 직경 3mm의 국수 모양이 되었을 때 부셔졌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쉽지가 않고, 사람의 판단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실험에는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3명의 사람이 각각 하나씩 결과를 내었는데 2.48의 표준편차가 나타났다. 이것은 소정한계값의 10%에 해당하는 것으로 작은 값이라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함수비를 산술평균한 소성한계값은 신뢰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점토광물이 존재하는 점성토는 점토광물 주변에서의 흡착수로 인하여 점성토의 모습과 성질이 함수비가 증가함에 따라 완전히 바뀌게 된다. 만일 함수비가 극소량으로 아주 건조한 상태라면 이 흙은 완전 고체일 것이다. 여기에 물을 아주 많이 가하면 흙이 물같이 되어 차라리 액체로 분류하는 것이 나은 상태도 있다. 이처럼 흙에 가해지는 함수비의 증가에 따라 네가지 상태로 변하는데 이를 연경도라 한다.
그 중 액성한계와 소성한계는 흙을 공학적으로 분류하는 데 널리 이용되며, 때로는 세립토의 종류를 판별(흙의 분류)하는 데 쓰여진다. 이 값들이 설계에 직접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설계에 쓰여지는 중요한 계수를 이 값들과 관련시켜 만들어낸 경험공식은 더러 있다. 경험이 많은 기술자는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값만 알아도 그 흙의 공학적 성질을 대략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이 값들을 실험실에서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예를 들면,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압축지수를 구하려면 압밀시험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간편한 방법으로 이것을 추정할 수 있는 경험식이 제안되었다. 액성한계를 기준하여 Terzaghi & Peck (1967)이 발표한 식은 다음과 같다.
교란 시료 :
불교란 시료 :
여기서, : 압축지수
: 액성한계
또한, 소성지수와 점토함량의 기울기를 구하여 점토의 팽창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이는 활성도를 알아볼 수도 있다.
  • 가격1,1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2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