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게 되는 순간 이미 객곽적인 행위의 기준으로 주어지는 것이고, 따라서 그렇게 행하도록 의무로 규정되기 때문에, 동양을 대표하는 학자들이 중용의 덕을 강조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중용이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비록 상대적이라 하여도, 선과 악은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고, 아무리 어려워도 선을 위해 악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선과 악 사이를 배회하는 것은 바람직한 삶이 아니고, 적당주의적 면모를 드러내는 것일 수가 있다. 그리고 우리의 주변에는 혼란과 무질서한 삶을 살며, 자기가 누군지도 모르는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수이다. 그리고 자신의 분수를 모르고 정의를 부르짖는 이기주의자들로 득실댄다. 그러나 이럴 때 우리가 어디로 가야만 하는지를 가늠할 때라고 본다. 이러할 때 요구 되는 것이 바로 중용이다. 우리가 짐승이 아니고 신도 아닌 합리적인 이유를 제시하기 때문에, 의무와
행복추구인 동기주의와 결과주의의 윤리학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는데 오히려 중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칸트의 동기주의는 인간의 이성적 측면만을 너무 강조했고, 밀의 결과주의는 인간의 구체적 쾌락을 많이 의식해서 그 진짜 가치를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을 강조하였고, 중용의 덕은 이러한 인간관과 일관된 윤리설이라고 본다. 그러나 우리가 합리적인 차원에서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 문제이고, 중용이론은 이것들의 해결에 도움을 줬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우리의 능력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시작한다면, 문제점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싶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2.25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