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960년대 광고의 특징(제품개념시대)
◉1970년대 광고의 특징
◉1980년대 광고의 특징 (마케팅개념 시대)
◉1990년대 광고의 특징
◉2000년대 광고의 특징
3. 결론
-참고자료
2. 본론
◉1960년대 광고의 특징(제품개념시대)
◉1970년대 광고의 특징
◉1980년대 광고의 특징 (마케팅개념 시대)
◉1990년대 광고의 특징
◉2000년대 광고의 특징
3.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 권투선수 홍수환씨가 "엄마 나 챔피언 먹었어"를 외치는 삼성전자 기업광고, "우리 심심한데 뽀뽀나 한번..."이란 대사와 함께 60년대 청춘영화를 본딴 OB라거, 국민체조음악을 배경으로 한 케토톱 광고 등이 대표적인 예였다. "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가요", "맛동산 먹고 즐거운 파티" 등 옛CM송이 다시 부활한 것도 이같은 경향을 반영한 결과였다. 한편, 국가위기상황과, 혹독한 구조조정이라는 시련기에, 기업이미지 광고는 절대적인 양은 줄었지만, 좌절에 빠진 국민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기 위한 소재들이 간간히 시도되었는데, LPGA에서 우승한 박세리를 모델로 한 삼성의 '할수 있다는 믿음' 광고, LG의 'LG의 비즈니스는 사랑'은 좌절과 절망에 빠진 국민들에게 용기를 불러일으킨 광고라 할 수 있다.
또 한편 위의 광고와 같이 우리 국가 경제가 최대의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0년대 후반 유난히 유머소구(humor appeal) 광고가 눈에 띈다.
사실 셀 수도 없이 많은 유머광고들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유난히 돋보이는 광고가 있다면 바로 김국진, 송혜교가 출연한 현대 멀티캡 컴퓨터의 광고다. 톱스타 송혜교의 CF 데뷔작이기도 한 이 광고는 풋풋하고 어린 송혜교가 밤새도록 컴퓨터에 푹 빠져 도둑(김국진)이 온 줄도 모르고 함께 컴퓨터를 즐긴다는 내용이다. 마지막 김국진의 한마디 “밤새지 마~라 말이야” 는 당시 최고의 유행어로 급부상하기도 했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에서 웃음은 곧 호감을 형성시키고, 광고에서 역시 - 소비자와 광고주의 커뮤니케이션이므로 - 웃음은 곧 브랜드 혹은 기업에 대한 호감을 불러온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를 진심으로 웃게 만드는 것이 아마 광고를 만드는 사람들의 최대의 과제거리 이다. 물론 그 웃음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며 그것은 정말 유머러스한 상황에서 웃는 폭소 일 수도 있고 공감과 함께 이어지는 미소일 수도 있다. 문제는 단지 웃기기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웃음과 함께 그 무언가를 동반해야한다는 것이다. 그 무언가라는 것은 소비자와의 공감 혹은 교감 정도가 일 것이다.
90년대 후반 광고들은 아날로그 제작에서 디지털 제작으로 국내 제작에서 해외제작 붐으로까지 이어진다.
2000년대 광고의 특징
2000년대 무역지수의 전례 없는 흑자를 기록하고 PC의 발전역시 S사의 업적으로 메모리부분에서 빛을 발하게 됐다. 따라서 소득수준이 향상되었고 그러면서 소비자들의 눈 또한 높아졌다. 소비자들의 니즈는 더 이상 싸고 많은 제품이 아니라 가격은 다소 비싸더라도 질 좋은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또한, 웰빙 열풍이 불어 닥치면서 칼로리 1/2제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부터 이전과는 볼 수 없던 색 달고 자극적이면서 신선한 광고도 등장하게 되는 그 시발점은 다름아닌 CF스타들의 등장에서 비롯됐다. 이나영, 임은경등 유명한 CF스타들의 등장으로 광고는 우리의 눈을 자극하기에 부족하지 않았다. 1999년, 한 작은 소녀의 CF가 대한민국에 작은 파란을 가져왔다. 당시에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파격적인 티저광고다. 그 주인공은 SK텔레콤이 10대와 20대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출시한 브랜드인 TTL 이었다. 이 광고는 지금까지도 SK텔레콤의 대표적인 광고로 기억되고 있으며 이 광고로 무명의 소녀를 단숨에 스타덤에 올려놓게 한 광고이다.
3.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고는 그 시대적 환경의 흐름을 잘 반영하여 나타내고 있다. 특히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지금의 광고형태의 틀을 잡아준 시대였다고 말할 수 있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광고의 질이 급격하게 달라지는데 한 줄의 카피로 사람을 사로잡고 소비자의 심리를 읽는가 하면 초대형 스타가 등장해 드라마 같은 CF를 찍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2000년대부터는 톡톡 튀는 상품만큼이나 튀는 아이디어의 공고가 등장하게 된다.
21세기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기술의 메가트렌드나 고객의 니즈는 현재의 진행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변할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광고 역시나 시대적 환경의 흐름에 맞춰 앞으로도 계속해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참고자료 : ·http://blog.naver.com/ekeun?Redirect=Log&logNo=50032092100
·http://assywhy.tistory.com/139
·http://blog.naver.com/stussy9505?Redirect=Log&logNo=60049414865
또 한편 위의 광고와 같이 우리 국가 경제가 최대의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0년대 후반 유난히 유머소구(humor appeal) 광고가 눈에 띈다.
사실 셀 수도 없이 많은 유머광고들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유난히 돋보이는 광고가 있다면 바로 김국진, 송혜교가 출연한 현대 멀티캡 컴퓨터의 광고다. 톱스타 송혜교의 CF 데뷔작이기도 한 이 광고는 풋풋하고 어린 송혜교가 밤새도록 컴퓨터에 푹 빠져 도둑(김국진)이 온 줄도 모르고 함께 컴퓨터를 즐긴다는 내용이다. 마지막 김국진의 한마디 “밤새지 마~라 말이야” 는 당시 최고의 유행어로 급부상하기도 했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에서 웃음은 곧 호감을 형성시키고, 광고에서 역시 - 소비자와 광고주의 커뮤니케이션이므로 - 웃음은 곧 브랜드 혹은 기업에 대한 호감을 불러온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를 진심으로 웃게 만드는 것이 아마 광고를 만드는 사람들의 최대의 과제거리 이다. 물론 그 웃음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며 그것은 정말 유머러스한 상황에서 웃는 폭소 일 수도 있고 공감과 함께 이어지는 미소일 수도 있다. 문제는 단지 웃기기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웃음과 함께 그 무언가를 동반해야한다는 것이다. 그 무언가라는 것은 소비자와의 공감 혹은 교감 정도가 일 것이다.
90년대 후반 광고들은 아날로그 제작에서 디지털 제작으로 국내 제작에서 해외제작 붐으로까지 이어진다.
2000년대 광고의 특징
2000년대 무역지수의 전례 없는 흑자를 기록하고 PC의 발전역시 S사의 업적으로 메모리부분에서 빛을 발하게 됐다. 따라서 소득수준이 향상되었고 그러면서 소비자들의 눈 또한 높아졌다. 소비자들의 니즈는 더 이상 싸고 많은 제품이 아니라 가격은 다소 비싸더라도 질 좋은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또한, 웰빙 열풍이 불어 닥치면서 칼로리 1/2제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부터 이전과는 볼 수 없던 색 달고 자극적이면서 신선한 광고도 등장하게 되는 그 시발점은 다름아닌 CF스타들의 등장에서 비롯됐다. 이나영, 임은경등 유명한 CF스타들의 등장으로 광고는 우리의 눈을 자극하기에 부족하지 않았다. 1999년, 한 작은 소녀의 CF가 대한민국에 작은 파란을 가져왔다. 당시에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파격적인 티저광고다. 그 주인공은 SK텔레콤이 10대와 20대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출시한 브랜드인 TTL 이었다. 이 광고는 지금까지도 SK텔레콤의 대표적인 광고로 기억되고 있으며 이 광고로 무명의 소녀를 단숨에 스타덤에 올려놓게 한 광고이다.
3.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고는 그 시대적 환경의 흐름을 잘 반영하여 나타내고 있다. 특히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지금의 광고형태의 틀을 잡아준 시대였다고 말할 수 있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광고의 질이 급격하게 달라지는데 한 줄의 카피로 사람을 사로잡고 소비자의 심리를 읽는가 하면 초대형 스타가 등장해 드라마 같은 CF를 찍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2000년대부터는 톡톡 튀는 상품만큼이나 튀는 아이디어의 공고가 등장하게 된다.
21세기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기술의 메가트렌드나 고객의 니즈는 현재의 진행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변할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광고 역시나 시대적 환경의 흐름에 맞춰 앞으로도 계속해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참고자료 : ·http://blog.naver.com/ekeun?Redirect=Log&logNo=50032092100
·http://assywhy.tistory.com/139
·http://blog.naver.com/stussy9505?Redirect=Log&logNo=60049414865
키워드
추천자료
- 유럽배낭여행발표(발표용자료)
- 일본의 캐릭터 문화 정리 자료
- 프랜차이즈 둘둘치킨 신대방점 조사 분석
- 대중문화와 코미디의변화
- 대중매체를 통해 본 퓨전 국악의 현재와 미래
- 소비자 보호운동 (consumerism)
- 한국경제론, 재벌
- 식품과 문화에 대한 이해와 고찰
- 청소년 아르바이트-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와 문제점 고찰
- 6)사회-우리국토의 모습과 생활-우리나라의 인구
- [★★드라마 속 불륜, 양극화문제, 도덕성 문제, 성문제★★] 드라마 속 사회문제 실태와 원인 및...
- [영화자막][영화][자막][영화자막 특징][영화자막 방식][영화자막 현황][향후 영화자막 제고...
- 식품과 문화에 대한 이해와 고찰 - 식품문화 (식문화 개념과 특성, 식문화 비교, 식문화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