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본문내용
사람들이 조직(공식/비공식적 집단)을 구성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지역사회옹호
- 주민의 조직화가 초점: 공통의 관심사/문제/가치를 가진 사람들을 조직화
- 개인적으로 불가능했던 목표의 공동 달성을 위해
- 지역사회(주민들)를 스스로가 혹은 다른 사람들(사회운동가, 사회복지사)이 옹호할 수 있음.
- 핵심 기술 = 조직화 기술 (“~~”를 돕기 위한 “~~” 캠프, 모임)
- ex, 장애인의 편의시설 설치를 위한 일일캠프, 소지역파티, 건강달리기 모임, 재활용 모임 등
5) 정치옹호/정책옹호
- 입법, 행정, 사법 영역에서 정책의 수립 혹은 억제를 위한 옹호활동
- ex, 대표적인 것이 입법영역의 옹호: 특정 법안의 통과 vs 통과저지를 위한 옹호
6) 체제변환적 옹호
- 넓고 근본적인 제도상의 변화를 위한 옹호로서 사회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고용체계, 의료체계, 대중매체체계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권리확보를 위한 주민조직 활동
- ex, 여성운동, 이주노동자 운동
- 이주노동자 운동: 시저 차베스(Cesar Chavez)가 켈리포니아의 산호세 지역에서 벌인 멕시칸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조직화 운동
3. 거시적 실천 수준에서의 옹호
1) 사회복지분야에서 옹호의 현황과 기회
- 전문직이 옹호를 중요한 임무와 기술로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옹호 노력이 미약함
- 사회복지기관은 주로 직접적 서비스 제공에 초점
- 거시적 옹호는 주로 시민단체 사회운동 수준에서 진행: ex, 외국인 노동자 보호, 보육서비스 확대, 성차별 폐지, 성매매여성에 대한 사회적 보호, 장애인 차별 철폐
- 옹호의 노력을 확대하고 그에 대한 동기부여 필요
2) 거시적 수준에서의 옹호의 원칙
- 서비스의 접근성을 증대시킬 것(서비스 제공 시간, 거리, 장애인에 불편한 건물구조 등): 서비스가 있어도 이것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다
- C't의 존엄성을 지키도록: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할 것 (대기 시간, 공간 쾌적성, 프라이버시 등)
- 서비스에 대해 동등한 접근을 보장할 것: 자격을 가진 사람들이 동등하게 이용하도록 할 것.
- 기관의 위치, 대중교통 수단, 서비스 비용으로 인해 이용상의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3) 거시적 옹호를 위한 지침 - 생략
4. 옹호의 기술
1) 설득
- 의미: 변화대상인 표적체계가 새로운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추가 정보를 제공
- 특정 C't나 대의(cause)에 대해 유리한 해석을 촉구하는 작업
- 세가지 방법(Hoffman & Sallee, 1994) -- 생략가능
① 유도질문 (inductive questioning): 표적체계(지배층)로 하여금 당초의 계획을 제고하도록 질문
- ex,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이 되었다는 증거가 있을 때
- 표적체계가 구두로 말하는 그 정보를 공식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가를 묻고
- 구두로 말하는 정보와 공식기록의 일치여부를 확인했는지를 물을 수 있다.
② 해당 쟁점에 대해 상반된 주장을 함께 제기함 -- 표적체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실과 견해에 더하여 그에 반대되는 옹호자의 견해를 함께 제시
③ 집요성: 저항에 부딪혀도 계속 설득
- 설득의 주요 원칙
① 원하는 바를 분명히
② 사실자료들을 파악하고 활용할 것
③ 활용할 권력의 원천에 대해 이해하라
④ 연습하라
⑤ 통상적이고 편안한 복장
⑥ 분명하고 단순하며 시각적 이미지 활용
⑦ 감정과 논리에 호소
⑧ 시선을 맞추라
2) 대변(representation)
- 스스로 문제를 처리할 능력(지식)이 없을 때 이끌어 주는 작업. 취약집단의 이익을 대신 표출,
- 대변 요청을 받은 사람이 동의하고, 요청한 자-요청받은 자 간 관계의 성격이 결정되면 시작
- 요청한 사람의 관점을 취함
- 의사소통, C't의 욕구 발견(C't가 판단한 욕구, W'er가 판단한 것이 아님), C't로 하여금 대변의 과정에 지원하도록 가르치고 동기화 시켜야 함
- 대변의 원칙
① 문제의 당사자 외에 누군가가 관여될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하라
② 대변자가 아는 바를 C't와 공유하라 --> C't의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③ C't가 바라는 바를 확인하라
④ 선택 대안들을 제시하고 C't로 하여금 우선순위를 매기고 선택하도록 하라
⑤ 특수한 상황에 대해 파악하라
⑥ 추진과정의 공식화 수준을 결정하라
⑦ (C't와) 서로 조정하라
⑧ 분할 통치 전술에 대비하라
⑨ 대변자에 대한 채용과 해고의 권한을 C't에게 주라
3) 청문(hearing), 고충처리(grievance), 이의신청(complaints)
- 수급자격이 있으나 혜택/권리를 누리지 못해온 C't에게 공평하게 처우받을수 있도록 하는 행정절차
- 청문: 외부 조사관에 의해, 기관이 C't에 대해 내리는 의사결정이 정당한가를 판단하기 위해 이해당사자(C't vs 기관)의 의견을 듣는 절차
- 고충처리: 직원이나 C't의 불만/고충을 수리하는 기관내부의 절차. 쌍방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들로 고충처리위원회를 구성. 직원/C't가 신고한 고충의 타당성을 협의하고 조치사항과 결과를 직원/C't에게 통보
- 이의신청: 기관의 결정/서비스에 대해 위법 또는 부당한 처분을 이유로 이에 대한 구제나 재심사를 청구하는 것
※ 우리나라의 행정절차법: 청문, 공청회, 의견제출 규정
- 청문: 행정청이 어떤 처분을 하기에 앞서 당사자들의 의견을 듣고 증거 조사
- 공청회: 행정청이 공개적 토론을 통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직접 튿고 증거를 조사하는 절차
- 의견제출: 행정청이 행정작용에 앞서 당사자들이 의견을 제시하는 절차
4) 변화의 표적을 궁지에 몰기
- 표적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
- 피케팅, 전단배포, 연좌, 시위 등을 이용
5) 정치적 압력
-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정치적 수단(의원, 메스컴, 토론회, 위원회, 증언)을 통해 압력 행사
- 새로운 법의 통과,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새로운 정책의 개발과 시행 촉구하는 일
6) 청원: 특정 조직이나 기관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치해줄 것을 요청하는 다수인의 서명지 전달.
참고
지역사회 복지론 감 정기외 나남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나눔의 집 편
보건복지부
4) 지역사회옹호
- 주민의 조직화가 초점: 공통의 관심사/문제/가치를 가진 사람들을 조직화
- 개인적으로 불가능했던 목표의 공동 달성을 위해
- 지역사회(주민들)를 스스로가 혹은 다른 사람들(사회운동가, 사회복지사)이 옹호할 수 있음.
- 핵심 기술 = 조직화 기술 (“~~”를 돕기 위한 “~~” 캠프, 모임)
- ex, 장애인의 편의시설 설치를 위한 일일캠프, 소지역파티, 건강달리기 모임, 재활용 모임 등
5) 정치옹호/정책옹호
- 입법, 행정, 사법 영역에서 정책의 수립 혹은 억제를 위한 옹호활동
- ex, 대표적인 것이 입법영역의 옹호: 특정 법안의 통과 vs 통과저지를 위한 옹호
6) 체제변환적 옹호
- 넓고 근본적인 제도상의 변화를 위한 옹호로서 사회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고용체계, 의료체계, 대중매체체계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권리확보를 위한 주민조직 활동
- ex, 여성운동, 이주노동자 운동
- 이주노동자 운동: 시저 차베스(Cesar Chavez)가 켈리포니아의 산호세 지역에서 벌인 멕시칸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조직화 운동
3. 거시적 실천 수준에서의 옹호
1) 사회복지분야에서 옹호의 현황과 기회
- 전문직이 옹호를 중요한 임무와 기술로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옹호 노력이 미약함
- 사회복지기관은 주로 직접적 서비스 제공에 초점
- 거시적 옹호는 주로 시민단체 사회운동 수준에서 진행: ex, 외국인 노동자 보호, 보육서비스 확대, 성차별 폐지, 성매매여성에 대한 사회적 보호, 장애인 차별 철폐
- 옹호의 노력을 확대하고 그에 대한 동기부여 필요
2) 거시적 수준에서의 옹호의 원칙
- 서비스의 접근성을 증대시킬 것(서비스 제공 시간, 거리, 장애인에 불편한 건물구조 등): 서비스가 있어도 이것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다
- C't의 존엄성을 지키도록: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할 것 (대기 시간, 공간 쾌적성, 프라이버시 등)
- 서비스에 대해 동등한 접근을 보장할 것: 자격을 가진 사람들이 동등하게 이용하도록 할 것.
- 기관의 위치, 대중교통 수단, 서비스 비용으로 인해 이용상의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3) 거시적 옹호를 위한 지침 - 생략
4. 옹호의 기술
1) 설득
- 의미: 변화대상인 표적체계가 새로운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추가 정보를 제공
- 특정 C't나 대의(cause)에 대해 유리한 해석을 촉구하는 작업
- 세가지 방법(Hoffman & Sallee, 1994) -- 생략가능
① 유도질문 (inductive questioning): 표적체계(지배층)로 하여금 당초의 계획을 제고하도록 질문
- ex,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이 되었다는 증거가 있을 때
- 표적체계가 구두로 말하는 그 정보를 공식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가를 묻고
- 구두로 말하는 정보와 공식기록의 일치여부를 확인했는지를 물을 수 있다.
② 해당 쟁점에 대해 상반된 주장을 함께 제기함 -- 표적체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실과 견해에 더하여 그에 반대되는 옹호자의 견해를 함께 제시
③ 집요성: 저항에 부딪혀도 계속 설득
- 설득의 주요 원칙
① 원하는 바를 분명히
② 사실자료들을 파악하고 활용할 것
③ 활용할 권력의 원천에 대해 이해하라
④ 연습하라
⑤ 통상적이고 편안한 복장
⑥ 분명하고 단순하며 시각적 이미지 활용
⑦ 감정과 논리에 호소
⑧ 시선을 맞추라
2) 대변(representation)
- 스스로 문제를 처리할 능력(지식)이 없을 때 이끌어 주는 작업. 취약집단의 이익을 대신 표출,
- 대변 요청을 받은 사람이 동의하고, 요청한 자-요청받은 자 간 관계의 성격이 결정되면 시작
- 요청한 사람의 관점을 취함
- 의사소통, C't의 욕구 발견(C't가 판단한 욕구, W'er가 판단한 것이 아님), C't로 하여금 대변의 과정에 지원하도록 가르치고 동기화 시켜야 함
- 대변의 원칙
① 문제의 당사자 외에 누군가가 관여될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하라
② 대변자가 아는 바를 C't와 공유하라 --> C't의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③ C't가 바라는 바를 확인하라
④ 선택 대안들을 제시하고 C't로 하여금 우선순위를 매기고 선택하도록 하라
⑤ 특수한 상황에 대해 파악하라
⑥ 추진과정의 공식화 수준을 결정하라
⑦ (C't와) 서로 조정하라
⑧ 분할 통치 전술에 대비하라
⑨ 대변자에 대한 채용과 해고의 권한을 C't에게 주라
3) 청문(hearing), 고충처리(grievance), 이의신청(complaints)
- 수급자격이 있으나 혜택/권리를 누리지 못해온 C't에게 공평하게 처우받을수 있도록 하는 행정절차
- 청문: 외부 조사관에 의해, 기관이 C't에 대해 내리는 의사결정이 정당한가를 판단하기 위해 이해당사자(C't vs 기관)의 의견을 듣는 절차
- 고충처리: 직원이나 C't의 불만/고충을 수리하는 기관내부의 절차. 쌍방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들로 고충처리위원회를 구성. 직원/C't가 신고한 고충의 타당성을 협의하고 조치사항과 결과를 직원/C't에게 통보
- 이의신청: 기관의 결정/서비스에 대해 위법 또는 부당한 처분을 이유로 이에 대한 구제나 재심사를 청구하는 것
※ 우리나라의 행정절차법: 청문, 공청회, 의견제출 규정
- 청문: 행정청이 어떤 처분을 하기에 앞서 당사자들의 의견을 듣고 증거 조사
- 공청회: 행정청이 공개적 토론을 통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직접 튿고 증거를 조사하는 절차
- 의견제출: 행정청이 행정작용에 앞서 당사자들이 의견을 제시하는 절차
4) 변화의 표적을 궁지에 몰기
- 표적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
- 피케팅, 전단배포, 연좌, 시위 등을 이용
5) 정치적 압력
-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정치적 수단(의원, 메스컴, 토론회, 위원회, 증언)을 통해 압력 행사
- 새로운 법의 통과,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새로운 정책의 개발과 시행 촉구하는 일
6) 청원: 특정 조직이나 기관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치해줄 것을 요청하는 다수인의 서명지 전달.
참고
지역사회 복지론 감 정기외 나남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나눔의 집 편
보건복지부
추천자료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해소방안
청소년 문화와 복지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A+]미국,영국,한국의 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종합적인 고찰에 관한 보고서
지역화폐운동
사회복지기관의 홍보(Public Relations) 에 대하여
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읽고
[노인복지]노인복지중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 현황, 문제점 및 해결방안과 재가노인복지 프로...
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감상문
사회복지의 역사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리자는 어떠한 홍보전략을 수립해야 하는지 홍보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에...
사회복지행정의역사를 설명하고 짧은 이유를 간단히 서술하시오
생태학적 접근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에서 생태학적 접근의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
지역정책이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지 논의해보시오. : 지역개발론 ...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조직 활동에 대해 논하시오 [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