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용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의학용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행동(行動, Motor Behavior)
2. 언어(言語, Speech)
3. 감정(感情, Emotion)
4. 사고(思考, Thought)
5. 지각(知覺, perception)
6. 의식(意識, Consciousness)
7. 기억(記憶, memory)
8. 주의집중력(attention and concentration)
9. 지능(知能, Intelligence)
10. 판단(判斷, Judgement)
11. 병식(病識, Insight)

본문내용

을 평가해야 한다.
* 말의 빈곤(poverty of speech)
환자가 자발적으로 말하는 말의 양이 줄어든 것. 가장 심한 형태가 함구증(mutism)이다.
* 말 내용의 빈곤(poverty of content of speech)
말은 충분히 하기 때문에 말의 양적인 면에서는 적당하지만 내용이 막연하고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알 수 없는 것이다.
비자발적 언어(nonspontaneous speech)
상대방이 직접적으로 물을 때만 말하고 자신이 먼저 말하지 않는 것.
억양곤란증(dysrosody)
말할 때 운율이 없이 로봇같이 말하는 것.
구음곤란증(dysarthria)
단어나 문법은 정확한데 발음이 불분명한 것.
지나치게 큰 혹은 작은 목소리(excessively loud or soft speech)
음성크기를 정상적인 수준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것.
말더듬증(stuttering)
한 단어의 소리나 음절을 자주 반복하거나 길게 소리내기 때문에 말의 유창성 면에서 심한 장애를 보이는 것.
속화증(cluttering)
말이 갑자기 돌발적으로 빨라지는 등의 리듬이 이상하고 일정하지 않는 것.
말의 산만성(distractible speech)
말하는 도중 주위 자극에 의해 말의 흐름이 방해받는 것.
3. 감정(感情, Emotion)
감정(emotion)이란 정동(affect) 및 기분(mood)과 연관되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복합적인 느낌(feeling)을 말한다.
1) 정동(Affect)
정동이란 타인에 의해 관찰되는 감정상태를 말한다. 정동은 얼굴표정, 신체운동, 제스처, 말의 변화 등에 의해 표현된다.
적절한 정동(appropriate affect)
감정상태가 생각이나 말과 일치하는 것.
부적절한 정동(inappropriate affect)
감정상태가 생각, 사고, 말과 일치하지 않는 것.
둔화된 정동(blunted affect)
감정표현의 정도가 심하게 감소된 상태
제한된 정동(restricted or constricted affect)
둔화된 정동보다는 덜하지만 그래도 정상인에 비해 감정표현의 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
무정동(flat affect)
둔화된 정동보다 더 심한 상태로 감정표현이 거의 없거나 아주 없는 것.
고착된 정동(fixed or immobile affect)
특정한 한 감정만 나타내고 그 외 정동의 범위와 변동이 없는 것.
유동적 정동(labile affect)
외부 자극과는 상관없이 감정표현이 반복적으로, 빨리, 그리고 급작스럽게 변하는 것.
과장된/극적인 정동(exaggerated/dramatic affect)
감정표현의 강도가 상황에 맞지 않게 너무 과장되거나 극적인 것.
무감동(apathy)
냉담하거나 무관심한 듯이 보여지는 둔화된 감정상태. 무감동의 감정적 표현은 특징적으로 둔화된 정동, 운동성 실어증(alogia), 무의욕(avolition)등으로 나타난다.
무의욕(avolition)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 중의 하나. 어떤 것을 하려는 소망은 보이지만 활력이 없고, 욕구가 없고, 관심과 흥미가 결여된 것. 그 결과 환자는 목표 지향적인 활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하지 못하고 끝마칠 수 없게 된다.
2) 기분(Mood)
기분이란 자신에 의해 주관적으로 경험되고 보고되는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감정, 즉 본인이 말하는 감정상태를 의미한다.
기분과 정동은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면에서 다르다. 정동은 시시각각 변하지만 기분은 보다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감정상태를 말한다. 또 정동은 관찰할 수 있지만 기분은 항상 관찰할 수는 없고 본인이 말을 해야 알 수 있다.
정상기분(euthymic mood)
우울하거나 상승된 기분 없이 정상 범위 내의 기분
팽창기분(expansive mood)
자신이 중요하거나 가치가 있다는 생각 때문에 즐거운 기분을 억제하지 못하고 표현하는 것.
들뜬 기분(elated mood)
평소보다 훨씬 즐거워하고 기분이 좋은 상태.
다행감(euphoria)
기분이 병적으로 지나치게 좋은 것. 과대 느낌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심하게 들뜬 기분.
황홀경(ecstasy)
황홀할 정도로 기분이 좋은 것. 종교적이고 신비스러운 요소가 동반.
기분동요(mood swing), 유동적 기분(labile mood)
다행감, 우울, 불안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기분상태.
과민한 기분(irritable mood)
쉽게 화를 내거나 분노를 나타내는 기분 상태.
불쾌한 기분(dysphoric mood, unpleasant mood)
슬픔, 분노, 짜증 등의 복합적인 감정이 지속되는 것.
우울(depression)
슬프다는 감정을 느끼는 것. 일반적으로 우울은 슬픔(sadness), 낙담(dejection), 자책(self-reproach), 무력감(helplessness), 절망(despair), 거부(rejection), 비관(pessimism), 권태(boredom)등의 감정이 포함된 포괄적인 개념.
무쾌감증(anhedonia)
평소 하던 일이나 좋아하던 모든 활동에 흥미를 완전히 잃어버리고 하지 않거나 또는 정상적으로 누구에게나 즐거움을 준다고 여겨지는 활동을 해도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
애도(grief)
상실이나 이별 때문에 발생하는 적절한 슬픔.
감정표현 불능증(alexithymia)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이 어떤지 말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또는 그것을 묘사하거나 자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
불안(anxiety)
어떤 위험을 예견하고 걱정하는 것.
부동성 불안(free-floating anxiety)
뚜렷한 이유없이 막연한 불안이 지속되는 것.
공포(fear)
현실적으로 실체가 있는 위험 때문에 불안을 느끼는 것.
초조(agitation)
심한 불안 때문에 행동적으로 안절부절못하는 것.
긴장(tension)
심리적, 신체적 활동이 불쾌할 정도로 증가하는 것.
공황(panic)
엄청난 공포의 불안이 갑자기 엄습하는 것.
양가감정(ambivalence)
어떤 한 가지 일에 대하여 동시에 두 가지 상반되는 충동이 공존하는 것.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2.29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0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