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와 병동 레포트 총 모음 (실습일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형외과와 병동 레포트 총 모음 (실습일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 습 일 지
실습장소: OS병동

10/14~10/18
10/21~10/24

10월 14일 ~ 18일
10월 20일 ~ 23일

근골격계의 진단적 검사를 학습하시오.
case 1 OS병동

본문내용

in(통증), pallor(청색증), pulselessness
(무맥), paresthesia(감각이상), paralysis(마비)
*** 님 (Rt femur fx) - bipolar
부종경감위해 베개로 하지를 높이게 함.
foley 제거후 한차례 인공도뇨를 시행하고도 소변 보기가 불편하다고 하시어 notify 하고 self voiding 하시도록 teaching 함. - 환자는 foley 끼워줄 것을 요구하였지만 감염우려 있다고 말씀드리고 교육함
⇒ 2 시간 정도 후 self voiding 하심
처치실 안의 기구, 물품, 드레싱 카, emergency cart
dressing car - H2O2, 포타딘, Alcohol, 보릭, 거즈(2×2, 4×4, 2×2Y, 4×4Y), 포셉, 클린조, 면봉, 설압자, D-set, 글러브, S-P(surgical pad), 소독된 CB, EB, 외과용기구-폴리 젤, 실린지, needle, 밴드, 국소마취제, 칼, 봉합사 등
내가 궁금한 것
현장학습
이론적 근거
▶ bipolar
▶ TLSO
(Brace,orthosis; 보조기)
▶ Cast 의
합병증
hemi-arthroplasty(고관절의 반치환술)
Thoraco-Lumbar-Sacral Orthosis
(흉요천추의 보조기)
별도 첨부
Cast(석고붕대)
반창고나 유리섬유(물에서 활성화 되는 폴리우레탄수지를 여러겹으로 겹쳐서 만든) 붕대로 신체부위의 모양에 따라 굳어져서 부위를 고정시키는 도구
별도 첨부
성인간호학
www.sejinmt.co.kr
www.scoliosis.co.kr
궁금한 내용
학 습 내 용
TLSO
Brace,
orthosis ⇒
보조기
가장 흔히 쓰이는 보조기로서 Boston brace, Dupont Jacket, Miami TLSO, Newington brace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몸에 꼭 맞추기 위해 석고로 상체의 본을 뜬 후 플라스틱으로 최종 제작된다.
몸의 중심축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척추(첨단 척추, apical vertebra)가 제7 혹은 8번 흉추보다 아래일 때 적응이 된다.
보조기 안에서 몸을 바로하려는 환자 본인의 노력과 패드의 압박력이 흉요추보조기의 기본 치료 원리이다.
그러므로 패드의 위치가 중요하며 보조기 착용 후 방사선 촬영을 하여 패드의 위치을 조정해야 한다
<적응증> 골절, 인대 손상 등 외상 뿐 아니라 선천성 기형, 신경 마비 등 질환에도 널리 쓰인다.
척추 영역에서 보조기는 매우 중요하며 외상 혹은 수술 후 척추 고정 및 안정용으로 주로 쓰인다.
특히 척추측만증에는 보조기가 치료의 80% 이상을 담당한다
Cast 목적
및 대상자
간호
석고붕대의 목적
①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 고정시킨다.
② 연조직에 균일한 압박을 가한다.
③ 조기에 움직임을 할수 있게 한다.
④ 기형을 교정, 방지한다.
⑤ 약한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시킨다.
Cast 대상자의 간호
① 체위 - 석고붕대 부분을 늘 거상하여 부종을 예방
발뒤꿈치는 베개나 침요에 닿지 않도록 하고 두꺼운 담요로 발을 덮 지 않는다.
가끔 복위를 취애주어 수족(foot drop)을 예방한다.
발이 외전되지 않도록 정상위치로 유지한다.
② 보행 - 완전히 마른후 체중지탱 가능(적어도 24시간)
처음 일어날 때는 하지에 압박감과 통증을 느낌
보행후에는 침상에서 석고붕대 부분을 베개 위해 올려놓고 휴식한다. ( ⇒ 걷는 동안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하지의 정맥 귀환이 용이 하지만 중 지하면 부종이 생길수 있기 때문 )
③ 운동 - 관절을 가동운동이 필요
특히 부동성 어깨(frozen shoulder)를 예방하기 위해 석고붕대한 팔을 한 손으로 잡고 규칙적으로 운동한다.
장하지석고 대상자 : 둔부와 발가락에 대하여 등척성운동 매시간 시행
⇒ 근육 허약증이나 불용성 위축 예방 , 근육의 긴장도, 내구력을 길 러줌
④ 영양 - 변비예방할 수 있는 섬유소원이 풍부한 음식제공
가스생성음식 피하고 균형식이
실습일
실 습 항 목
실 습 내 용
10/21
(월)
Wound
dressing 관찰
Head nurse 께
간단한 O/T 받음
Nebulizer
apply
수혈시 부작용 관찰
상처부위(더러운 곳)에서부터 바깥쪽(깨끗한 곳)으로 닦아낸다.
입원환자 교육 및 병원시설 안내 직접 수선생님 앞에서 환자에게 하는 것처럼 실습
준비실, 처치실 안의 물품, 기구등 알아오기
*** 님 (ventolin 2cc + pulmicort 2cc + N/S 3cc)
(Dx : COPD, pneumnia)
*** 님 - Hb 9.1 로 낮아서 (정상 12~15) PRC(농축적혈구) 1 pint 수혈 받으심
30분 마다 v/s check - 특이사항 발견되지 않음
내가 궁금한 것
현장학습
이론적 근거
▶ 드레싱 교환의
목적
▶ 수혈시 유의사
항과 부작용
(선생님께서 물어
보심)
①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고, 통증을 감소시켜 안 위를 도모
② 상처를 깨끗하게 하고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 감염을 에방
③ 상처의 혈액과 분비물, 배농액을 흡수
④ 압박을 가하여 부종과 출혈을 막는다.
⑤ 물리적,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상처부위를 보 호한다.
- Normal saline 으로 start
- 18G : 최대의 흐름을 유지하고 적혈구를 손상 시키지 않게 하기 위함
- 15분동안 : 15gtt ⇒ 이후 42gtt로 늘려준다.
- 수혈시간: 2~ 2:30 hr을 넘지 않는다.
- 부작용
① 급성용혈반응 - ABO 혈액형이나 Rh 인자의 부적합으로
② 알러지 반응 - 혈장단백에 과민성이 있거나 대상자가 알러지성 체질일 때 발생
③ 패혈증 반응 - 오염된 혈액제재나 수혈기구 사용시
④ 발열반응 - 저장혈액 중에 세균성 발열인자 존재
⑤ 순환성 과부담 - 과량의 혈액을 급격하게 수혈하여 혈액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
⑥ Citrate 중독 - 혈액보존액으로 사용되는 citrate 에 의해 나타남
⑦ 고칼륨혈증 - 오래된 혈액 사용
실습일
실 습 항 목
실 습 내 용
10/22
(화)
BST 측정
(10:00 Am)
IVP 관찰
특이사항 없었음 ⇒ Nursing 기록지에 charting 함
Lancetas (당뇨 체크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2.02.29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