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하지 않으면서 압력을 제거한다.
6) 계속적으로 누워 있게 되므로 환자의 등부분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3. 핀 부위의 감염방지
1) 활력징후를 모니터 한다.
2)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를 주의깊게 관찰한다.(삼출물, 통증,발열, 발적, 열감)
4. 조직관류 증진
1) 압박을 받을 만한 특정신경의 운동성과 감각 기능을 사정한다.
2) 적절한 순환이 되는지를 측정한다.(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말단의 색깔이나 체온, 움직임, 모세혈관 재충전속도)
3) 신경혈관 상태에 변화가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정형외과 수술
1. 합병증
- 구획증후군, 쇼크, 무기폐, 폐렴, 골수염, 상처감염, 혈전색전증, 지방색전
2. 간호진단
1) 출혈로 인한 체액부족 위험성
2) 마취나 진통제, 부동 등으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부종으로 인한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4) 수술로 인한 통증
5) 수술로 인한 감염 위험성
6) 부종과 통증으로 인한 운동장애
▶ 간호중재
1. 쇼크와 출혈 모니터
1) V/S 수시 측정
2) 출혈 모니터 - H/Vac등의 흡입기 사용시 양을 측정한다.
상처의 삼출물 양이 증가하거나 수술부위의 통증이 계속적으로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3) 수액이나 혈액을 처방된 대로 투여한다.
2. 효과적인 호흡양상 증진
1) 되도록 적은 양의 호흡억제 약물을 투여하거나 피한다.
2) 매 2시간마다 자세를 바꾸어 준다 - 객담의 이동과 기관지 폐쇄방지
3) 2시간마다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4) 폐허탈과 객담정체가 있는지 살피기 위해 폐를 청진한다.
3. 말초신경 혈관 상태 모니터
1) Cast나 Splint를 댄 부위의 말초순환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2) 혈액이나 신경전달을 방해 할 수 있는 위축을 방지한다.
3) 수술한 부위는 올려주고 지시된 대로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4) 발가락과 손가락의 색깔이 건강한지 수시로 검사한다.
5) 수술한 부위의 박동을 검사한다. - 다른 부위와 비교
6) 피부온도를 검사한다.
◎ 간호시 유의점 :
신경혈관 상태에 문제가 발견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고 Cast나 Dressing을 느슨하게 하도록 한다.
4. 통증 완화
1) 처방된 대로 통증 완화 방법을 수행한다.
2) 근육경련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한다.
3) 환자간호의 기준에 따라 PCA를 사용한다.
4) 수술부위나 부종이 있는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5. 감염 방지
1) 절제부위의 발적, 온감, 부종, 결절이 없는지를 검사한다.
2) 삼출물의 성격을 검사한다.
3) 통증호소가 반복되거나 증가하는지를 평가한다.
4)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5) 드레싱을 할때나 상처간호시 무균술을 지키도록 한다.
6.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1) 수술 후 가능한 한 빨리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손가락과 발가락을 정규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3) 활동적인 움직임이 금기라면 근육준비 운동(사두근 준비)을 제안한다.
4) 처방된 대로 혈전방지용 스타킹을 신게 한다.
6) 계속적으로 누워 있게 되므로 환자의 등부분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3. 핀 부위의 감염방지
1) 활력징후를 모니터 한다.
2)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를 주의깊게 관찰한다.(삼출물, 통증,발열, 발적, 열감)
4. 조직관류 증진
1) 압박을 받을 만한 특정신경의 운동성과 감각 기능을 사정한다.
2) 적절한 순환이 되는지를 측정한다.(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말단의 색깔이나 체온, 움직임, 모세혈관 재충전속도)
3) 신경혈관 상태에 변화가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정형외과 수술
1. 합병증
- 구획증후군, 쇼크, 무기폐, 폐렴, 골수염, 상처감염, 혈전색전증, 지방색전
2. 간호진단
1) 출혈로 인한 체액부족 위험성
2) 마취나 진통제, 부동 등으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부종으로 인한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4) 수술로 인한 통증
5) 수술로 인한 감염 위험성
6) 부종과 통증으로 인한 운동장애
▶ 간호중재
1. 쇼크와 출혈 모니터
1) V/S 수시 측정
2) 출혈 모니터 - H/Vac등의 흡입기 사용시 양을 측정한다.
상처의 삼출물 양이 증가하거나 수술부위의 통증이 계속적으로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3) 수액이나 혈액을 처방된 대로 투여한다.
2. 효과적인 호흡양상 증진
1) 되도록 적은 양의 호흡억제 약물을 투여하거나 피한다.
2) 매 2시간마다 자세를 바꾸어 준다 - 객담의 이동과 기관지 폐쇄방지
3) 2시간마다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4) 폐허탈과 객담정체가 있는지 살피기 위해 폐를 청진한다.
3. 말초신경 혈관 상태 모니터
1) Cast나 Splint를 댄 부위의 말초순환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2) 혈액이나 신경전달을 방해 할 수 있는 위축을 방지한다.
3) 수술한 부위는 올려주고 지시된 대로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4) 발가락과 손가락의 색깔이 건강한지 수시로 검사한다.
5) 수술한 부위의 박동을 검사한다. - 다른 부위와 비교
6) 피부온도를 검사한다.
◎ 간호시 유의점 :
신경혈관 상태에 문제가 발견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고 Cast나 Dressing을 느슨하게 하도록 한다.
4. 통증 완화
1) 처방된 대로 통증 완화 방법을 수행한다.
2) 근육경련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한다.
3) 환자간호의 기준에 따라 PCA를 사용한다.
4) 수술부위나 부종이 있는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5. 감염 방지
1) 절제부위의 발적, 온감, 부종, 결절이 없는지를 검사한다.
2) 삼출물의 성격을 검사한다.
3) 통증호소가 반복되거나 증가하는지를 평가한다.
4)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5) 드레싱을 할때나 상처간호시 무균술을 지키도록 한다.
6.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1) 수술 후 가능한 한 빨리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손가락과 발가락을 정규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3) 활동적인 움직임이 금기라면 근육준비 운동(사두근 준비)을 제안한다.
4) 처방된 대로 혈전방지용 스타킹을 신게 한다.
추천자료
간호학 실습 - 신경외과 뇌수종(수두증) 대상자 실습 리포트
신경외과 실습 case study 간호과정 포함
간호학)성인케이스, 골절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외과 실습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골절 (Fracture) 개방성 경골, 비골 골절(T...
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늑골골절, 다발성 골절, 폐쇄성 골절, ...
A++++대퇴골 전자간 골절(femur intertrochantertic fx)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
[성인간호학] 흉곽외상 (늑골골절, 연가양흉곽)
Closed pertrochanteric fracture 폐쇄성 대퇴 전자부 골절 A+ ( 폐쇄성 대퇴 전자부 골절 케...
[간호학] 내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
[간호학] 신체부위별 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