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저가항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우리나라 항공업계현황


2. 대형 항공사와 저가 항공사의 개념


3. 저가항공사의 등장배경


4. 대형항공사와 저가항공사의 비교


5. 저가 항공사의 특성


6. 저가항공사 경쟁 전략 방안


7. 국내 4대 저가 항공사 현황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으로 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성향과 시장변화를 파악하지 쉽고 판촉의 효과 측정이 더욱 편리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모두 마일리지 프로그램의 장점이라 볼 수 있다. 때문에 많은 저가항공사들이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공짜손님이 생겨나더라고 이러한 미일리지 제도의 장점을 포기할 수 없는 것이다.
마일리지 제도를 저가항공사에도 도입하면 고객의 충성도는 더욱 높아지고 상용고객의 수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모회사인 대형항공사와의 마일리지 합산제도를 이용하게 될 경우, 자회사의 이미지가 강해 서비스나 경영의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별돌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국내 4대 저가 항공사 현황
저가항공사가 출범한 이후 국내선 전체 탑승객 3명 중 1명은 저가항공을 탄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월의 한국공항공사의 발표에 따르면 2009년 국내 노선 이용개 1800만명 중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등 LCC 4사를 이용한 승객은 약 500만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164만명보다 무려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LCC가 국내선 시장에서 차지한 비중은 2009년 1분기 20.8%, 2분기 25.8%에 이어 3분기에 처음으로 30%를 넘어섰고, 4분기에는 31.8%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1) 에어부산(구 부산 국제항공)
부산 국제항공은 부산시와 부산 상공인들이 주축이 된 항공사로 2007년 8월 31일 법인을 설립했다. 이후 2008년에 에어부산(주)로 사명을 변경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09년 10월 탑승객 100만명을 돌파하면서 서비스혁신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 이스타항공
아시아나 항공 퇴직 조종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항공사로, 새만금, 군산 경제구역을 중심으로 물류 및 관광객 수요에 대비한 저가항공사이다. 대한민국의 부정기 저가항공사이다. 2008년 8월 7일 국토해양부로부터 부정기 항공운송 사업면허를 취득하였으며, 메리츠종합금융과 합작해 보잉 737-600항공기 1기를 도입했고 보잉 737-700 3기를 임대하였고 1대를 2009년 3/4분기에 추가로 도입하였다. 최저가 항공권으로 김포-제주 노선에서 승객의 예약율이 높다.
(3) 제주항공
양대 항공사의 독과점 및 고비용 구조에서 비롯된 제주도민의 경제적 부담과 관광객 감소에 따른 지역 경제가 가중되면서 제주도가 직접 출자하여 지역 항공사 설립을 추진하기 이른다. 이어 애경 그룹은 2004년 9월 제주도의 항공사업 파트너 공개 모집에 참여 및 제안서 심사등을 거쳐 선정되었고, 2005년 1월 애경그룹(75%)과 제주도(25%)의 공동 출자로 민관 합작법인 형태의 (주)제주항공이 설립되었다. 2005년 8월 정기항공 사업면허를 획득,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에 이어 제 3의 정기항공사로 출범하여 2006년 6월 6일 첫 비행을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첫 저가항공사의 비상이 그렇게 순탄치 못한 것이 비해 저가항공 시대를 이글어가고 있는 항공사로서는 제주항공을 꼽을 수 있다. 제주항공은 관광객 감소를 우려한 제주도가 직접 출자해 설립한 지역 항공사로써 애경그룹과 공동출자한 국내 최초의 민간 합작법인 항공사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제주항공은 2007년 4월에 취항해 10개월 만에 탑승객 50만 명, 취항 1년 5개월만인 11월에는 100만명을 돌파했다.
(4) 진에어
대한항공의 100% 자회사로 출자한 진에어는 2008년 7월 17일 김포~제주 노선을 시작으로 본격운항에 나서면서 기존항공사 대비 80%수준의 항공료를 유지하되, 100% 인터넷 홈페이지 기반으로 항공권 예매가 이루어지도록 했다. 기존항공사들이 운영하는 콜센타를 없애 비용절감을 하였고 탑승 수속시 3개의 구역 중 하나를 배정받아 배정 구역별로 선착순으로 원하는 좌석에 앉도록 해 우리나라 항공사 좌석배정 방식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상당수의 저가항공사가 안전운항을 보장받을 수 없어 쉽사리 국제선에 뛰어들지 못하는 반면 B737-800항공기로 다른 저가항공사들과 차별화되는 항공서비스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중단거리 노선에서 고객층에게 어필하고 있다.
<표2> 항공사별 서비스 현황
구분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에어부산
판매서비스
(예약 및
발권)
지정좌석번호배정
얼리버드운임제도
좌석구역배정(국내선)지정좌석번호배정
(국제선)
기업우대 할인제도
가족운임 할인제도
지정좌석번호배정
초저가 할인운임
제도 전략
지정좌석번호배정
기업우대 프로그램
여행사우대 프로그램
운송서비스
훨체어 및 장애인 에스코트 서비스
키오스크 운영
우선탑승 서비스
(5000원)
특수고객 서비스
(임산부)
투게더 서비스
유모차 대여 서비스
키오스크 운영
기내서비스
생수,오렌지쥬스제공(국내선)
기내지 배치
면세품 판매
JJ팀운영(풍선아트, 사진촬영)
간단한 식사제공
(주먹밥,샌드위치)
생수,냉녹차,오렌지쥬스제공(국내선)
지라스스시 및 샐러드(국제선 3시간이상)
삼각김밥(국제선 3시간이내)
주류유료화
면세품 판매
생수,오렌지쥬스제공(국내선)
사진촬영서비스
기내이벤트
생수,오렌지쥬스제공(국내선/김포-부산구간은 커피도제공)
신문제공(김포부산)
샌드위치제공(국제선)
면세품 판매
기타서비스
JJ클럽 포인트제도
무료셔틀버스제공
(방콕호텔송영서비스)
PSP렌탈서비스
지니포인트제도
제주공항 내 면세점 5% 할인쿠폰 제공
경품이벤트
하트인사
참고문헌
이소진 (2009). 항공사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대형 및 저가 항공사 이용객의 과거경험, 위험지각 요인과 Fishbein&Ajzen의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문상기(2010). 국내 저가 항공사의 브랜드 개성과 서비스품질, 가치 및 만족도의 구조적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유리(2009). 저가항공사와 대형항공사 간의 재무비율 및 부실예측 비교.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구자경(2010). 국내 저가항공사의 서비스 선호도 연구 = A Study on Customers\' Preference about Low Cost Carriers\' Services. 동아대학교 대학원.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3.0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