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폐증의 정의
Ⅱ. 자폐증의 증상 및 특성
Ⅲ. 자폐증의 원인
Ⅳ. 진단기준
Ⅴ. 자폐증의 진단 시기
Ⅵ. 치료방법과 예후
Ⅶ. 자폐 증후군의 분류
<참고문헌>
Ⅱ. 자폐증의 증상 및 특성
Ⅲ. 자폐증의 원인
Ⅳ. 진단기준
Ⅴ. 자폐증의 진단 시기
Ⅵ. 치료방법과 예후
Ⅶ. 자폐 증후군의 분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에서 이들이 모두 MMR을 접종한 뒤에 자폐증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알려지지 않은 장 질환이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폐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BBC News,1998) 이 연구 결과는 수 많은 부모들에게 MMR 접종을 기피하게 만들었으며 큰 혼란을 가져왔었다. 그러나 최근 덴마크에서의 연구 결과에서는 MMR과 자폐증상은 관계가 없다는 보고가 나왔다. 지난 1991-1998년까지 태어난 537,000명의 아동들의 기록을 조사해본 결과 MMR 접종과 자폐증 발병 비율에는 아무 상관관계가 없음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국제아동자료센타의 브레드스트리트(Dr. Jeff Bradstreet)소장도 MMR 접종과 자폐증 발병에는 관계가 없으나 이미 잠재해 있는 자폐증을 악화 시킬 수는 있을지 모른다고 설명하였다.(Time. Nov. 18 2002)
임신 기간 중 풍진을 앓은 자손에게서 자폐아동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풍진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다른 선천성 기형을 일으키는 것을 볼때 뇌막염, 뇌염, 결절 경화증, PKU등과 같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이 자폐적 행동유형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ess, 1971: Paluszny, 1993)
6. 초기애착형성이론
베니(Verny, 1987)는 연대감이란 어머니와 아이 사이를 이어 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심리적이며 정서적인 끈과 같은 것으로 연대감 형성은 출생전 3개월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2개월 사이에 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연대감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시기가 있어서 그 시기가 지나도 연대감이 형성되지 않으면 모자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말하였다.(자폐아동을 위한 표현예술치료 P36-46)
자폐아 어머니들은 아이를 늦게 낳았거나 임신중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등 출생전 요인의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텔레손 아동건강연구소의 엠마 글래슨 박사는 ‘일반정신병 회보’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자폐아 465명, 이들의 형제자매 481명, 정상아 1천313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이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한 것으로 헬슨데이 뉴스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글래슨 박사는 우선 자폐아 어머니들은 정상아 어머니들에 비해 아이를 낳은 나이가 훨씬 많았으며 그것도 첫 출산인 경구가 적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밖에 자폐아 어머니는 임신 20주 이내에 유산징후가 나타나는 절박유산, 경막외미추마취,유도진통, 진통시간 1시간 미만 등의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태아가 스트레스를 겪고 응급 제왕절개 분만으로 출생하거나 출생후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아프가 지수(Apgar score)가 6미만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글래슨 박사는 말했다.
글래슨 박사는 이 중에서 자폐아와 연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출산 연령과 절박유산이었다고 밝히고 그러나 이중 어떤 단일 요인이 자폐아 출산과 연관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덧붙였다(기쁨터-자료 게시판, 자폐아 어머니 공통점 있다)
Ⅳ. 진단기준
정신장애진단편람(DSM-IV)에 나타난 진단기준
자폐스팩트럼장애를 진단하는 기준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미국 정신의학협회에서 발행한 정신장애진단편람(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ourth Edition)에 나타난 기준이다. 최근까지는 진단편람 제4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기준들을 제시하면 다음 내용들과 같다.
1. 자폐성 장애
A.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상상놀이의 손상이 만 3세 이전에 나타남. 상동적인 행동, 관심, 활동 등에서 아래 제시된 1, 2, 3에서 총 6개(또는 그 이상) 항목과 관련이 있어야 하고,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qualitative) 장애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최소한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사회적 상호 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맞춤,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현저한 장애가 있음.
(b)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이나 관심, 성공감을 나누지 못함 (예: 관심의 대상을 보여 주거나, 가져오거나, 지각하지 못함).
(d)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받는 상호 교류가 결여 됨.
2) 질적인 의사 소통 장애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최소한 1개 항목에 해당된다:
(a) 표현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몸짓이나 흉내내기와 같은 대체의사소통의 방법에 의한 보상적 시도가 수반되지 않음.
(b) 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에 현저한 장애가 발견됨.
(c) 언어의 사용이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이며, 일탈적인 언어를 사용함.
(d) 연령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기능 결함이 있음.
3)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최소한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강도나 초점 맞추기에 있어 비정상적이며,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착
(b) 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예: 손이나 손가락으로 딱딱 때리기나 틀기, 또는 복잡한 몸 전체 움직임)이 있음.
B. 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 특성을 보이며, 3세 이전에 시작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일탈
(2) 사회적인 의사 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일탈
(3) 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영역에서의 일탈
C. 장애가 레트 장애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Ⅴ. 자폐증의 진단 시기
전형적인 자폐증은 이러한 증상들이 30개월 이전에 나타난다. 나타나는 양상을 보면 많은 경우에 낳을 때 느끼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옹알이를 안 한다거나, 눈을
임신 기간 중 풍진을 앓은 자손에게서 자폐아동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풍진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다른 선천성 기형을 일으키는 것을 볼때 뇌막염, 뇌염, 결절 경화증, PKU등과 같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이 자폐적 행동유형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ess, 1971: Paluszny, 1993)
6. 초기애착형성이론
베니(Verny, 1987)는 연대감이란 어머니와 아이 사이를 이어 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심리적이며 정서적인 끈과 같은 것으로 연대감 형성은 출생전 3개월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2개월 사이에 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연대감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시기가 있어서 그 시기가 지나도 연대감이 형성되지 않으면 모자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말하였다.(자폐아동을 위한 표현예술치료 P36-46)
자폐아 어머니들은 아이를 늦게 낳았거나 임신중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등 출생전 요인의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텔레손 아동건강연구소의 엠마 글래슨 박사는 ‘일반정신병 회보’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자폐아 465명, 이들의 형제자매 481명, 정상아 1천313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이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한 것으로 헬슨데이 뉴스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글래슨 박사는 우선 자폐아 어머니들은 정상아 어머니들에 비해 아이를 낳은 나이가 훨씬 많았으며 그것도 첫 출산인 경구가 적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밖에 자폐아 어머니는 임신 20주 이내에 유산징후가 나타나는 절박유산, 경막외미추마취,유도진통, 진통시간 1시간 미만 등의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태아가 스트레스를 겪고 응급 제왕절개 분만으로 출생하거나 출생후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아프가 지수(Apgar score)가 6미만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글래슨 박사는 말했다.
글래슨 박사는 이 중에서 자폐아와 연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출산 연령과 절박유산이었다고 밝히고 그러나 이중 어떤 단일 요인이 자폐아 출산과 연관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덧붙였다(기쁨터-자료 게시판, 자폐아 어머니 공통점 있다)
Ⅳ. 진단기준
정신장애진단편람(DSM-IV)에 나타난 진단기준
자폐스팩트럼장애를 진단하는 기준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미국 정신의학협회에서 발행한 정신장애진단편람(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ourth Edition)에 나타난 기준이다. 최근까지는 진단편람 제4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기준들을 제시하면 다음 내용들과 같다.
1. 자폐성 장애
A.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상상놀이의 손상이 만 3세 이전에 나타남. 상동적인 행동, 관심, 활동 등에서 아래 제시된 1, 2, 3에서 총 6개(또는 그 이상) 항목과 관련이 있어야 하고,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qualitative) 장애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최소한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사회적 상호 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맞춤,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현저한 장애가 있음.
(b)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이나 관심, 성공감을 나누지 못함 (예: 관심의 대상을 보여 주거나, 가져오거나, 지각하지 못함).
(d)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받는 상호 교류가 결여 됨.
2) 질적인 의사 소통 장애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최소한 1개 항목에 해당된다:
(a) 표현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몸짓이나 흉내내기와 같은 대체의사소통의 방법에 의한 보상적 시도가 수반되지 않음.
(b) 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에 현저한 장애가 발견됨.
(c) 언어의 사용이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이며, 일탈적인 언어를 사용함.
(d) 연령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기능 결함이 있음.
3)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최소한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강도나 초점 맞추기에 있어 비정상적이며,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착
(b) 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예: 손이나 손가락으로 딱딱 때리기나 틀기, 또는 복잡한 몸 전체 움직임)이 있음.
B. 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 특성을 보이며, 3세 이전에 시작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일탈
(2) 사회적인 의사 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일탈
(3) 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영역에서의 일탈
C. 장애가 레트 장애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Ⅴ. 자폐증의 진단 시기
전형적인 자폐증은 이러한 증상들이 30개월 이전에 나타난다. 나타나는 양상을 보면 많은 경우에 낳을 때 느끼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옹알이를 안 한다거나, 눈을
추천자료
자폐아 및 발달장애아를 위한 약물요법
자폐아의 자해행동(Self-Injuriour Behavior)의 치료
자폐아의 문제행동이 갖는 의미
[사범/법학] 자폐아의 특징
발달장애(자폐아)의 원인과 치료방법 문제점 및 부모 교사의 역할
발달장애 - 자폐아동
자폐에 대한 정의, 원인, 특성, 치료방법 및 자폐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한국의 자폐증 아동...
놀이치료를 통한 자폐아의 언어지도에 대한 연구
아동발달레포트-자폐아관련
뇌성마비아 근력강화기능훈련 사례, 자폐아동 의사소통기능훈련 사례, 자폐아동 모방놀이기능...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 자폐증)의 특징, 인지, 자폐(전반...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 자폐성 장애)의 의미, 특성, 부모와 가정, 의사소통, 전반적 발달장...
특수 교육학개론-‘자폐아는 특별한 재능이 있다’ 독후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