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독일
1주차 1교시
1주차 2교시
2주차 1교시
2주차 2교시
3주차 1교시 (독일의 표현주의 영화와 뉴 저먼 시네마)
3주차 2교시 (베를린 영화제, 독일 영화의 최근 흐름, 그리고 영화로 보는 독일 통일 - 「굿바이 레닌」(2003))
4주차 1교시
4주차 2교시
5주차 1교시
러시아
5주자 2교시 러시아란 어떤나라인가
6주차 1교시 러시아 정교회와 민간신앙
6주차 2교시 러시아 생활문화
7주차 1교시 모스크바
7주차 2교시 쌍뜨 뻬쩨르부르그
9주차 1교시 러시아의 음악
9주차 2교시 러시아 발레
10주차 1교시 러시아미술
10주차 2교시 러시아 영화
일본
11주차 1교시 일본이 생각하고 있는 이상적 나라는 무엇인가?
11주차 2교시 일본의 지리 자연적 환경
12주차 1교시 일본 역사와 문화 유적
12주차 2교시 일본의 근현대사
13주차 1교시 일본인과 천황
13주차 2교시. 일본인의 정신세계와 천황제
14주차 1교시, 일본인의 일상생활과 천황제
14주차 2교시 일본인의 일생과 천황제
15주차 1교시 일본 우익 세력과 천황제
15주차 2교시 일본 우익 세력이 꿈꾸는 일본의 미래
1주차 1교시
1주차 2교시
2주차 1교시
2주차 2교시
3주차 1교시 (독일의 표현주의 영화와 뉴 저먼 시네마)
3주차 2교시 (베를린 영화제, 독일 영화의 최근 흐름, 그리고 영화로 보는 독일 통일 - 「굿바이 레닌」(2003))
4주차 1교시
4주차 2교시
5주차 1교시
러시아
5주자 2교시 러시아란 어떤나라인가
6주차 1교시 러시아 정교회와 민간신앙
6주차 2교시 러시아 생활문화
7주차 1교시 모스크바
7주차 2교시 쌍뜨 뻬쩨르부르그
9주차 1교시 러시아의 음악
9주차 2교시 러시아 발레
10주차 1교시 러시아미술
10주차 2교시 러시아 영화
일본
11주차 1교시 일본이 생각하고 있는 이상적 나라는 무엇인가?
11주차 2교시 일본의 지리 자연적 환경
12주차 1교시 일본 역사와 문화 유적
12주차 2교시 일본의 근현대사
13주차 1교시 일본인과 천황
13주차 2교시. 일본인의 정신세계와 천황제
14주차 1교시, 일본인의 일상생활과 천황제
14주차 2교시 일본인의 일생과 천황제
15주차 1교시 일본 우익 세력과 천황제
15주차 2교시 일본 우익 세력이 꿈꾸는 일본의 미래
본문내용
틴 전통 유지로 인한 정교 분리의 원칙 존재하지 않음 ⇒ 서방으로부터의 고립 지속)
교회 분열 : 17세기 초 총주교 니꼰의 전례문과 전례방식 개혁이 발단 ⇒ 정교회에서 고(古)의식파(구교도), 분리파 이탈
1700년 이후 총주교 선출 금지
(3) 제정 러시아와 임시정부 시기(1613-1917)
1721년 총주교제도 폐지. 신성종무원(宗務院) 설치 ⇒ 교회는 국가의 한 기관으로 전락
1917년 초 임시정부시절 총주교제 부활
(4) 소비에뜨 러시아 시기로부터 현재까지(1918-현재)
1918년 볼셰비끼의 종교 탄압 : 건물을 포함한 교회의 모든 자산 국유화 (‘구세주 그리스도 교회’ 파괴)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잠깐의 종교적 해빙기 도래 ⇒ 애국심 고취 일환
195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까지 흐루시쵸프와 브레주네프 시대 : 반종교 선전이 한층 강화됨
1988년 러시아 정교회 1000년제 ⇒ 종교적 자유에 대한 허가의 징후
1990년 소비에뜨 입법부 ‘종교의 자유에 관한 법률안’ 통과
1990년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로 알렉시 2세 선출(2008년 타계)
1997년 ‘구세주 교회’(Храм Христа Спасителя) 재건축
2009년 키릴 총대주교 즉위
2. 러시아 정교회의 상징들
(1) 십자가의 형태와 상징적 의미
모양 : 라틴식 십자가에 횡축과 경사진 나무가 더 붙어 있음
각 부분의 상징 : 위로부터 그리스도의 머리, 못 박힌 그리스도의 두 팔, 두 발을 상징
맨 아래쪽 횡목 : 십자가에 못 박혔던 두 강도를 상징 ⇒ 오른쪽은 긍정적인 의미를, 왼쪽은 부정적인 의미를 지님
(2) 성호 긋기의 상징적 의미와 긋는 순서
성호 긋기 의미 : 예수 그리스도와 성삼위일체에 대한 사람들의 신앙과 주님의 뜻에 대한 순종
성호 긋기 순서 : 세 손가락으로 이마(성부) → 배(성자) → 오른쪽 어깨(성자들) → 왼쪽 어깨(성령)
손가락 모양의 의미 : 세 손가락은 성삼위일체를, 두 손가락은 그리스도가 지닌 신성과 인성을 각각 상징
(3) 정교회 사원의 모양과 구성
사원의 모양 : 바실리까(방주형), 로똔다(원형), 십자가형
사원 내부의 구성 : 세부분으로 구성됨 (1) 쁘리드보르(교회로 들어가는 출입구), (2) 회중석(신자들이 예배를 드리는 곳), (3) 지성소(제단이 있는 곳)
※ 성화벽(이코노스타스)
(4) 교회 지붕 모양과 상징적 의미
꾸뽈(둥근 지붕) : 정교회 사원의 황금빛 양파머리 지붕의 명칭. 불타는 촛불 모양으로 성령의 불꽃을 상징
꾸뽈 수에 따른 상징적 의미 : 1개(하나님의 유일함), 2개(그리스도의 신성, 인성), 3개(성삼위일체), 4개(사복음서), 5개(그리스도와 네 명의 복음서 저자들), 7개(교회의 칠성례와 7차례의 공의회)
탑의 종소리
(5) 정교의 사제들
구분 : 결혼한 ‘백승’과 독신 수도사인 ‘흑승’으로 구분
성직 등급 : 크게 ‘주교’(主敎), ‘사제’(司祭), ‘보제’(補祭)로 분류
일반 정교회 사제들은 대부분 백승이며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독신인 경우가 많음
주교 같은 고위 성직에는 독신 사제만이 교구회의 선출에 의해 임명됨
(6) 러시아 정교회 12 대축일
※ 개신교가 크리스마스를 최대의 축일로 간주하는 데 반해, 러시아 정교회는 부활절을 최대의 축일로 간주함.
3. 러시아인의 민간신앙(이교신앙)
(1) 고대 루시인들의 신 : 980년 블라지미르 대공의 만신전(萬神殿)의 주요 신
뻬룬(Perun) : 천둥과 번개의 신
볼로스(Volos) : 가축과 부의 신
스뜨리보그(Stribog) : 바람과 날씨의 신
다쥐보그(Dazh\'bog) : 태양의 신으로 축복을 가져다주는 신. <이고리 원정기>에 러시아인을 다쥐보그의 손자로 기록함
호르스(Khors) : 태양의 신 (‘둥글다’, ‘빛난다’라는 이란어에서 파생됨)
시마르글(Semargl) : 종자와 파종의 신
모꼬쉬(Mokosh\') : 만신전에 올라있는 유일한 여성 신. ‘어머니인 축축한 대지’가 의인화된 대지모신(大地母神)
(2) 그 외의 신격
스바로그(Svarog) : 슬라브인의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불의 신
야릴로(Jarilo) : 사랑과 번식의 신
라다(Lada) : 사랑과 아름다움의 여신
어머니인 축축한 대지(Mat\'-syra zemlja) : 모꼬쉬와 같은 여신으로 알려진 슬라브 여성신격 중 의인화가 되지 않은 신격. 러시아인의 대지 숭배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됨. 정교수용 이후 대지숭배는 성모로 전이됨.
(3) 민중들의 정령(인간의 감정이 의인화된 상상적 존재물)
레쉬(Leshij) : 숲의 정령
뽈레보이(Polevoj) : 들판의 정령
보쟈노이(Vodjanoj) : 물의 정령
루살까(Rusalka) : 물의 요정. 결혼하기 전의 젊은 처녀가 익사하면 루살까가 된다고 믿음
도모보이(Domovoj) : 집의 정령. 이사할 경우 함께 가기도 함
끼끼모라(Kikimora) : 도모보이의 아내로도 알려져 있는 집안의 여성 정령
바바-야가(Baba-jaga) : 슬라브의 설화나 민간 신앙, 구전 동화 등에 자주 등장하는 숲속의 노파
그 외에 인색한 부자이며 악의 상징인 ‘꼬쉬체이’(Koshchej), 악한의 상징인 ‘두견새-강도’(Solovej-razbojnik), 목욕탕의 정령인 ‘반니끄\'(Vannik), 헛간의 정령인 ‘구멘니끄’(Gumennik), 둔갑하는 ‘오보로β’(Oboroten\'), 백설공주인 ‘스네구로츠까’(Snegurochka)등이 있다.
※ 기독교 수용이후에도 정령들은 러시아인들의 의식구조 속에서 지속적으로 힘을 발휘
6주차 2교시 러시아 생활문화
1.러시아인의 음식문화
(1) 코스 요리 : 전채(前菜) → 스프 → 주 요리 → 후식 순으로 구성됨
전채 : 캐비아, 청어절임, 각종 냉육, 야채샐러드, 포도주, 보드카
수프 : 쉬(양배추 스프), 보르쉬(쉬+토마토+비트), 쏠랸까(고기생선식초절임 양배추로 만드는 요리), 우하(생선 스프), 오끄로쉬까(차가운 스프) 등
주 요리 : 고기(비프 스트로가노프, 샤슐
교회 분열 : 17세기 초 총주교 니꼰의 전례문과 전례방식 개혁이 발단 ⇒ 정교회에서 고(古)의식파(구교도), 분리파 이탈
1700년 이후 총주교 선출 금지
(3) 제정 러시아와 임시정부 시기(1613-1917)
1721년 총주교제도 폐지. 신성종무원(宗務院) 설치 ⇒ 교회는 국가의 한 기관으로 전락
1917년 초 임시정부시절 총주교제 부활
(4) 소비에뜨 러시아 시기로부터 현재까지(1918-현재)
1918년 볼셰비끼의 종교 탄압 : 건물을 포함한 교회의 모든 자산 국유화 (‘구세주 그리스도 교회’ 파괴)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잠깐의 종교적 해빙기 도래 ⇒ 애국심 고취 일환
195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까지 흐루시쵸프와 브레주네프 시대 : 반종교 선전이 한층 강화됨
1988년 러시아 정교회 1000년제 ⇒ 종교적 자유에 대한 허가의 징후
1990년 소비에뜨 입법부 ‘종교의 자유에 관한 법률안’ 통과
1990년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로 알렉시 2세 선출(2008년 타계)
1997년 ‘구세주 교회’(Храм Христа Спасителя) 재건축
2009년 키릴 총대주교 즉위
2. 러시아 정교회의 상징들
(1) 십자가의 형태와 상징적 의미
모양 : 라틴식 십자가에 횡축과 경사진 나무가 더 붙어 있음
각 부분의 상징 : 위로부터 그리스도의 머리, 못 박힌 그리스도의 두 팔, 두 발을 상징
맨 아래쪽 횡목 : 십자가에 못 박혔던 두 강도를 상징 ⇒ 오른쪽은 긍정적인 의미를, 왼쪽은 부정적인 의미를 지님
(2) 성호 긋기의 상징적 의미와 긋는 순서
성호 긋기 의미 : 예수 그리스도와 성삼위일체에 대한 사람들의 신앙과 주님의 뜻에 대한 순종
성호 긋기 순서 : 세 손가락으로 이마(성부) → 배(성자) → 오른쪽 어깨(성자들) → 왼쪽 어깨(성령)
손가락 모양의 의미 : 세 손가락은 성삼위일체를, 두 손가락은 그리스도가 지닌 신성과 인성을 각각 상징
(3) 정교회 사원의 모양과 구성
사원의 모양 : 바실리까(방주형), 로똔다(원형), 십자가형
사원 내부의 구성 : 세부분으로 구성됨 (1) 쁘리드보르(교회로 들어가는 출입구), (2) 회중석(신자들이 예배를 드리는 곳), (3) 지성소(제단이 있는 곳)
※ 성화벽(이코노스타스)
(4) 교회 지붕 모양과 상징적 의미
꾸뽈(둥근 지붕) : 정교회 사원의 황금빛 양파머리 지붕의 명칭. 불타는 촛불 모양으로 성령의 불꽃을 상징
꾸뽈 수에 따른 상징적 의미 : 1개(하나님의 유일함), 2개(그리스도의 신성, 인성), 3개(성삼위일체), 4개(사복음서), 5개(그리스도와 네 명의 복음서 저자들), 7개(교회의 칠성례와 7차례의 공의회)
탑의 종소리
(5) 정교의 사제들
구분 : 결혼한 ‘백승’과 독신 수도사인 ‘흑승’으로 구분
성직 등급 : 크게 ‘주교’(主敎), ‘사제’(司祭), ‘보제’(補祭)로 분류
일반 정교회 사제들은 대부분 백승이며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독신인 경우가 많음
주교 같은 고위 성직에는 독신 사제만이 교구회의 선출에 의해 임명됨
(6) 러시아 정교회 12 대축일
※ 개신교가 크리스마스를 최대의 축일로 간주하는 데 반해, 러시아 정교회는 부활절을 최대의 축일로 간주함.
3. 러시아인의 민간신앙(이교신앙)
(1) 고대 루시인들의 신 : 980년 블라지미르 대공의 만신전(萬神殿)의 주요 신
뻬룬(Perun) : 천둥과 번개의 신
볼로스(Volos) : 가축과 부의 신
스뜨리보그(Stribog) : 바람과 날씨의 신
다쥐보그(Dazh\'bog) : 태양의 신으로 축복을 가져다주는 신. <이고리 원정기>에 러시아인을 다쥐보그의 손자로 기록함
호르스(Khors) : 태양의 신 (‘둥글다’, ‘빛난다’라는 이란어에서 파생됨)
시마르글(Semargl) : 종자와 파종의 신
모꼬쉬(Mokosh\') : 만신전에 올라있는 유일한 여성 신. ‘어머니인 축축한 대지’가 의인화된 대지모신(大地母神)
(2) 그 외의 신격
스바로그(Svarog) : 슬라브인의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불의 신
야릴로(Jarilo) : 사랑과 번식의 신
라다(Lada) : 사랑과 아름다움의 여신
어머니인 축축한 대지(Mat\'-syra zemlja) : 모꼬쉬와 같은 여신으로 알려진 슬라브 여성신격 중 의인화가 되지 않은 신격. 러시아인의 대지 숭배 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됨. 정교수용 이후 대지숭배는 성모로 전이됨.
(3) 민중들의 정령(인간의 감정이 의인화된 상상적 존재물)
레쉬(Leshij) : 숲의 정령
뽈레보이(Polevoj) : 들판의 정령
보쟈노이(Vodjanoj) : 물의 정령
루살까(Rusalka) : 물의 요정. 결혼하기 전의 젊은 처녀가 익사하면 루살까가 된다고 믿음
도모보이(Domovoj) : 집의 정령. 이사할 경우 함께 가기도 함
끼끼모라(Kikimora) : 도모보이의 아내로도 알려져 있는 집안의 여성 정령
바바-야가(Baba-jaga) : 슬라브의 설화나 민간 신앙, 구전 동화 등에 자주 등장하는 숲속의 노파
그 외에 인색한 부자이며 악의 상징인 ‘꼬쉬체이’(Koshchej), 악한의 상징인 ‘두견새-강도’(Solovej-razbojnik), 목욕탕의 정령인 ‘반니끄\'(Vannik), 헛간의 정령인 ‘구멘니끄’(Gumennik), 둔갑하는 ‘오보로β’(Oboroten\'), 백설공주인 ‘스네구로츠까’(Snegurochka)등이 있다.
※ 기독교 수용이후에도 정령들은 러시아인들의 의식구조 속에서 지속적으로 힘을 발휘
6주차 2교시 러시아 생활문화
1.러시아인의 음식문화
(1) 코스 요리 : 전채(前菜) → 스프 → 주 요리 → 후식 순으로 구성됨
전채 : 캐비아, 청어절임, 각종 냉육, 야채샐러드, 포도주, 보드카
수프 : 쉬(양배추 스프), 보르쉬(쉬+토마토+비트), 쏠랸까(고기생선식초절임 양배추로 만드는 요리), 우하(생선 스프), 오끄로쉬까(차가운 스프) 등
주 요리 : 고기(비프 스트로가노프, 샤슐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 (노인복지) 의 발전방향 - [A+대박자료]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문제에 대하여
독일과 일본, 한국에서의 형법전상 명예훼손의 위법성조각사유 비교분석
독일과 일본의 행정체제를 비교설명하시오.
[사회복지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
한국,미국,독일, 프랑스, 일본의 교과서 채택제도
미국 일본 독일 시장경제사회 모델분석
[자연주의 문학][자연주의 문학의 작가][자연주의 문학의 일본문학]자연주의 문학의 가치, 자...
각국의 중소기업의 현황 및 실태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태리]
해외버스제도 사례분석 - 독일, 미국, 영국, 일본
일본소설과 한국소설의 차이점
장기요양 보험 제도
외국의 사회복지와 환경사례(독일, 영국, 뉴질랜드, 일본, 환경사례)
다문화 학생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인식개선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