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본정부의 지역산업발전정책과 변천
1. 전국총합개발계획
(1) 새로운 전국총합개발계획 (1998 이후)
(2) 종합적 평가
(3) 클러스터 정책
1) 산업 클러스터 정책
2) 지적 클러스터 정책
2. 지방산업지역의 발달
(1) 공업 중심의 지역개발 - 오이타현
(2) 패션산업 중심의 지역개발 - 기후지역
• 지방정부의 노력
(3) 의료산업 중심의 지역개발 - 나가사끼현
•지방정부의 노력
(4) 학술, 교육 중심의 지역개발 - 하찌오우지시
•지방정부의 노력
(5) 지방산업지역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나타난 공통점
1) 지방정부 주도형의 ‘官民협력’ 산업발전
2)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산업발전
3) 지방고유의 특색을 살린 산업발전
Ⅱ. 결론
Ⅲ. 한국의 경제개발 5개년 정책과 그 한계
1. 참여정부의 균형발전정책과 그 한계
2. 한국과 일본의 산업지역발전과정의 차이점
3. 일본의 산업지역 형성과 발전을 통해서 본 한국에의 시사점 및 본 조의 제안
1. 전국총합개발계획
(1) 새로운 전국총합개발계획 (1998 이후)
(2) 종합적 평가
(3) 클러스터 정책
1) 산업 클러스터 정책
2) 지적 클러스터 정책
2. 지방산업지역의 발달
(1) 공업 중심의 지역개발 - 오이타현
(2) 패션산업 중심의 지역개발 - 기후지역
• 지방정부의 노력
(3) 의료산업 중심의 지역개발 - 나가사끼현
•지방정부의 노력
(4) 학술, 교육 중심의 지역개발 - 하찌오우지시
•지방정부의 노력
(5) 지방산업지역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나타난 공통점
1) 지방정부 주도형의 ‘官民협력’ 산업발전
2)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산업발전
3) 지방고유의 특색을 살린 산업발전
Ⅱ. 결론
Ⅲ. 한국의 경제개발 5개년 정책과 그 한계
1. 참여정부의 균형발전정책과 그 한계
2. 한국과 일본의 산업지역발전과정의 차이점
3. 일본의 산업지역 형성과 발전을 통해서 본 한국에의 시사점 및 본 조의 제안
본문내용
Ⅰ. 일본정부의 지역산업발전정책과 변천
일본은 제2차세계대전 이후 전후복구를 위하여 기초소재산업인 철강, 석유화학 등에 대하여 집중적인 투자를 하였으며, 철강, 석유화학 등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는 임해형 공업입지패턴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에 따라 동경, 오사카, 나고야, 규슈 등 4대 도시권을 중심으로 한 태평양벨트지역의 산업과 인구가 집중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4대 공업 지역권으로의 집중은 농촌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침체를 가져와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와 같은 지역간 불균형은 1960년대의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더욱 악화되어 대도시권에서는 과밀로 인한 폐해가 격심해졌고, 지방권에서는 급격한 인구유출에 따른 과소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지역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일본 정부는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함과 더불어 지역발전을 위하여 시대별로 [전국총합개발계획]을 수립해나간다.
1980년대 후반, 일본 기업의 국제화로 제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일본의 자본과 설비의 해외 이전은 국내 공장의 폐쇄 혹은 축소로 이어졌고, 지역경제의 쇠퇴와 산업공동화 현상을 초래하여 산업 집적지를 해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같은 상황에 직면하여 지역경제 주체들은 매력적인 기업환경을 조성하여 산업 집적을 촉진시키고 산업공동화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모색해 왔다. 기존의 [국가총합계획]의 연장선상에서 도입한 [테크노폴리스 정책], 그리고 [산업 클러스터정책] 등이 대표적이다. 이 장에서는 거한 일본의 지역산업혁신을 둘러싼 정책들을 검토할 것이다.
1. 전국총합개발계획
일본은 제2차 대전 후 지역의 특색이나 강점을 활용하여 국가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전개해 왔다.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걸친 고도 경제 성장기에는 태평양 공업벨트 지대에 중화학공업을 입지시키는 계획을 추진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석유파동과 엔고현상에 따른 경제위기에 직면하면서 기업경영의 합리화 조치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상품수출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그러한 정책은 다음과 같이 5기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1차 전국총합개발계획기간(1962~1969), 제2차 전국총합개발계획기간(1969~1977), 제3차 전국총합개발계획기간(1977~1987), 제4차 전국총합개발계획 기간 및 3~4차 기간에 걸친 테크노폴리스 정책기간, 새로운 전국총합개발계획 및 산업 클러스터 정책기간(1998년 이후)으로 나누어진다.
(1) 새로운 전국총합개발계획(1998 이후)
신전총은 21세기의 ‘국토 그랜드 디자인’이라는 이름으로 전국을 4개 축으로 나누어, 다축형 국토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4개 축이란 다음과 같다.
① 자연과 공생, 북방권과의 교류를 중시한 ‘북동 국토축’
② 역사와 전통의 연계, 그리고 환일본해 교류를 중시한 ‘일본해 국토축’
③ 산림과 하천 연안의 연계와 아시아, 태평양 교류를 중시한 ‘태평양 국토축’
④ 도시의 주거환경의 재생을 중시한 ‘서일본 국토축’
신전총의 추진을 위해 ‘참여와 연계’를 슬로건으로 네 가지의 개발전략을 채택하였는데 그 전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촌과 대도시, 중핵도시, 중추도시, 지방도시를 연결하는 광역산업생활권의 형성을 위해 다자연(多自然) 거주지역의 창조와 그를 위한 고속교통통신 인프라의 정비.
둘째, 대도시 리노베이션 사업 추진.
셋째, 시-정-촌이 자주적으로 광역적 연계를 추진하도록 하기 위한 지역 연계축의 전개.
넷째, 지방에서 직접 해외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광역 국제교류권의 조성과 그를 위한 공항, 항만, 도로망의 정비 등.
이와 같은 전략에 의해 새로운 국토축에 있어서 인접도시 간 교통 정보통신기반을 토대로 결합되는 도시 네트워크와 아름다운 전원, 삼림, 하천, 연안 등을 통한 자연 네트워크와 아름다운 전원, 삼림, 하천, 연안 등을 통한 자연 네트워크가 공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결과 매력적인 도시와 농산어촌의 연계 속에서 역사와 풍토를 토대로 하는 새로운 생활양식과 문화, 그리고 지적인 고부가가치화를 지향하는 산업지역을 창조하자는 것이다.
한편, 신전총이 종래의 전총과 크게 다른 점은 위와 같은 개발전략을 국고보조금이나
일본은 제2차세계대전 이후 전후복구를 위하여 기초소재산업인 철강, 석유화학 등에 대하여 집중적인 투자를 하였으며, 철강, 석유화학 등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는 임해형 공업입지패턴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에 따라 동경, 오사카, 나고야, 규슈 등 4대 도시권을 중심으로 한 태평양벨트지역의 산업과 인구가 집중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4대 공업 지역권으로의 집중은 농촌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침체를 가져와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와 같은 지역간 불균형은 1960년대의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더욱 악화되어 대도시권에서는 과밀로 인한 폐해가 격심해졌고, 지방권에서는 급격한 인구유출에 따른 과소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지역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일본 정부는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함과 더불어 지역발전을 위하여 시대별로 [전국총합개발계획]을 수립해나간다.
1980년대 후반, 일본 기업의 국제화로 제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일본의 자본과 설비의 해외 이전은 국내 공장의 폐쇄 혹은 축소로 이어졌고, 지역경제의 쇠퇴와 산업공동화 현상을 초래하여 산업 집적지를 해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같은 상황에 직면하여 지역경제 주체들은 매력적인 기업환경을 조성하여 산업 집적을 촉진시키고 산업공동화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모색해 왔다. 기존의 [국가총합계획]의 연장선상에서 도입한 [테크노폴리스 정책], 그리고 [산업 클러스터정책] 등이 대표적이다. 이 장에서는 거한 일본의 지역산업혁신을 둘러싼 정책들을 검토할 것이다.
1. 전국총합개발계획
일본은 제2차 대전 후 지역의 특색이나 강점을 활용하여 국가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전개해 왔다.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걸친 고도 경제 성장기에는 태평양 공업벨트 지대에 중화학공업을 입지시키는 계획을 추진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석유파동과 엔고현상에 따른 경제위기에 직면하면서 기업경영의 합리화 조치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상품수출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그러한 정책은 다음과 같이 5기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1차 전국총합개발계획기간(1962~1969), 제2차 전국총합개발계획기간(1969~1977), 제3차 전국총합개발계획기간(1977~1987), 제4차 전국총합개발계획 기간 및 3~4차 기간에 걸친 테크노폴리스 정책기간, 새로운 전국총합개발계획 및 산업 클러스터 정책기간(1998년 이후)으로 나누어진다.
(1) 새로운 전국총합개발계획(1998 이후)
신전총은 21세기의 ‘국토 그랜드 디자인’이라는 이름으로 전국을 4개 축으로 나누어, 다축형 국토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4개 축이란 다음과 같다.
① 자연과 공생, 북방권과의 교류를 중시한 ‘북동 국토축’
② 역사와 전통의 연계, 그리고 환일본해 교류를 중시한 ‘일본해 국토축’
③ 산림과 하천 연안의 연계와 아시아, 태평양 교류를 중시한 ‘태평양 국토축’
④ 도시의 주거환경의 재생을 중시한 ‘서일본 국토축’
신전총의 추진을 위해 ‘참여와 연계’를 슬로건으로 네 가지의 개발전략을 채택하였는데 그 전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촌과 대도시, 중핵도시, 중추도시, 지방도시를 연결하는 광역산업생활권의 형성을 위해 다자연(多自然) 거주지역의 창조와 그를 위한 고속교통통신 인프라의 정비.
둘째, 대도시 리노베이션 사업 추진.
셋째, 시-정-촌이 자주적으로 광역적 연계를 추진하도록 하기 위한 지역 연계축의 전개.
넷째, 지방에서 직접 해외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광역 국제교류권의 조성과 그를 위한 공항, 항만, 도로망의 정비 등.
이와 같은 전략에 의해 새로운 국토축에 있어서 인접도시 간 교통 정보통신기반을 토대로 결합되는 도시 네트워크와 아름다운 전원, 삼림, 하천, 연안 등을 통한 자연 네트워크와 아름다운 전원, 삼림, 하천, 연안 등을 통한 자연 네트워크가 공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결과 매력적인 도시와 농산어촌의 연계 속에서 역사와 풍토를 토대로 하는 새로운 생활양식과 문화, 그리고 지적인 고부가가치화를 지향하는 산업지역을 창조하자는 것이다.
한편, 신전총이 종래의 전총과 크게 다른 점은 위와 같은 개발전략을 국고보조금이나
추천자료
노인복지와 실버산업
(한국사회문제E형)인구와 경제력 집중을 우려한 수도권집중억제책과 수도권집중억제책 폐기에...
[문화행정][문화정책][문화][선진국 문화행정 벤치마킹 사례]문화행정의 필요성, 문화행정의 ...
선진국들과의 비교를 통한 바람직한 우리나라 정책의 방향(싱가폴, 네덜란드, 스웨덴의 토지(...
[사회복지정책론]일본과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정책 비교 및 조사 - 다문화가정의 증가 배경...
부산국제영화제의 개최배경, 특성 및 부산국제영화제의 발전방안
[관광산업유치]관광산업유치의 카드도입, 관광산업유치의 외국인투자(외국인직접투자, 외투),...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를 위한 외교 전략,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
[위성방송][위성][방송][위성방송 역사][위성방송 발전][위성방송 현황]위성방송의 역사, 위...
한국산업의이해3E) 한국의 조선산업에 관한 논의
[마을 만들기]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사례 ; 마을 만들기의 개념과 필요성 분석
해양관광으로서의 유인도서 유형화를 통한 특성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