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IT현황과 남북교류방안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IT현황과 남북교류방안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북한의 정보통신 기술 동향
1. 정보기술 정책
2. 하드웨어 현황

III. 소프트웨어 기술 연구 및 제품
1. 연구개발 기관
2. 소프트웨어 제품

IV. 북한의 정보통신망
1. 통신시설 현황
2. 인터넷 현황

V. 남북교류방안

VI. 결론

본문내용

회의에 남북이 모두 참여하여 학문적인 문제를 놓고 허심탄회하게 토론한다.
둘째, 정보기술 분야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학술 대회를 주최한다. 장소는 남한이나 북한이 되면 좋겠으나 처음에 그것이 어려우면 제3국을 택해도 좋다.
셋째, 남북이 공동으로 정보기술 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이다. 남한의 하드웨어 기술과 북한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함께 활용할 수 있고 북의 이론적 연구와 남의 산업화 기술을 접목할 때 더욱 경쟁력 있는 연구개발이 되리라 본다. 또한 국제 프로젝트도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넷째, 정보 과학기술자의 왕래가 이루어져야 한다. 북한의 학자가 남한에 와서 세미나를 하며 남한의 학자가 북한에 가서 강의를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남북이 좀더 원활하게 협력하기 위해 여러가지 고려할 점이 많겠으나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다음 몇 가지가 중요하다고 본다. 1) 서로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2) 인내심을 가지고 협력에 임해야 한다. 3) 바세나르협약, 전략물자수출법 등 저해요소를 가진 규정이나 법률이 새로운 각도에서 정비되어야 한다. 4) 북한에서는 인터넷을 수용하여 사이버공간을 이용한 남북 IT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게 해야한다. 최근 들어 북한에서 인트라넷과 방화벽(Firewall)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점을 고려할 때 인터넷을 수용하기 위한 선행작업이 아닌가 여겨진다. 5) 남한의 기업들은 처음부터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투자개념으로 북한과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게 했으며, 인터넷 등을 통하여 세계를 좁히고 있다. 반면 기술장벽은 높아만 가고 있어 앞으로 국제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첨단 정보기술의 발전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남북이 신뢰성과 동질성을 회복하고 남북 모두의 정보화 사회 조기정착과 통합을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정보기술 분야의 남북 교류와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져야만 하겠다. 정보통신분야야말로 민족과 문화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VI. 결론
7천만 우리민족의 염원인 평화적 남북통일이 언제 우리에게 다가올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남북의 모든 사람이 소원하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이루어지리라 믿으며 이러한 통일에 대비한 정책수립을 미리 마련하고 통일전 협력과 통일후 통합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통일비용의 절감과 통일후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개방화에 알맞은 통일국가의 정보통신 분야 정책을 수립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북한의 정보통신 기술을 보면 소프트웨어 기술은 상당 수준에 올라와 있으나 컴퓨터 하드웨어와 통신기기 및 통신망 분야는 취약하여서 앞으로 정보통신 통합에 난관으로 작용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정책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 한가지는 북한이 아직도 인터넷을 수용하고 있지 않아서 첨단기술의 도입에 지장이 있으며 교육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바다를 항해할 수 없다는 점이 안타깝다. 그러나 중국의 예를 보거나 최근 북한의 동향을 살펴볼 때 머지않아 인터넷이 들어가리라 기대된다. 현재 구축 가동되고 있는 국내 컴퓨터망의 활용은 앞으로 인트라넷 형태로 인터넷과 쉽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고무적이다.
통일에 대비한 정보통신 정책을 마련하는데는 민간차원의 교류가 신뢰성 및 동질성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 단계적 협력 방안을 생각해 본다면 제 3국 주최의 국제학술회의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남북이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주최하며 남북이 공동으로 정보통신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남한의 하드웨어 기술과 북한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시키고 북한의 이론연구와 남한의 산업화 기술을 활용하여 국제경쟁력 있는 상품을 창출하며 국제 프로젝트도 공동으로 수행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남북의 정보통신 기술자가 왕래하면서 강의와 세미나를 할 수 있고 북한의 부족한 컴퓨터 요원 양성에도 협력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국내 문헌>
- 국어정보학회,「특집 ’96 우리말 컴퓨터처리국제학술대회」, 등불 10호, 1996.
- 박찬모 외, 「북한의 정보과학 및 전자공학에 관한 기초조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3.
- 박찬모 외, 「남북한 정보과학 비교 연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4.
- 박찬모 외, 「북한의 정보화 동향 분석」, 한국전산원, 1996, 1997, 1998, 1999.
- 박찬모 외, 「통일대비 북한의 교육정보화 정책연구」, 한국전산원, 1998.
- 북한연구소, 월간「북한」
<북한 문헌>
- 조선과학원, 「과학원통보」
- 조선과학원 프로그람종합연구실, 「프로그람묶음집」 소개서
-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1996, 1997, 1998, 1999.
- 조선콤퓨터쎈터, 「소프트웨어 설명서」
- 평양프로그람쎈터 발간책자 : 「뷸레틴」, 「전자출판체계」, 「창덕 2판 문서편집프로그람 사용설명서」(1994), 「단군 사용설명서」(1996), 「PIC 창립 10주년 제품소개서」(1996).
- 평양 조선화보사, 「The Mangyongdae School Children's Palace」, 1995.
- Bjorner, D.,「UN Mission Report on DPRK」, 1994.
- UNU/IIST, 「MOU between UNU/IIST and SCST, DPRK」, 1993.
- 김정일, 「평양 제1고등중학교를 본보기 학교로 잘 꾸릴데 대하여」, 1984.
- 북한에서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
창덕 I, II, VI판
윈도우 95, 98, NT용 단군

PIC폰트집(3집)
담징
인식
체질과 식사
과학자, 기술자의 벗
은바둑
태권도
조선우표
<인터넷을 통한 자료>
- 조선 중앙통신 웹사이트 (http://www.kcna.co.jp)
- 조선신보 웹사이트 (http://www.korea-np.co.jp)
- 금강산 국제그룹 웹사이트 (http://www.dpr-korea.com)
- 조선 인포뱅크 (http://www.dprkorea.com) 혹은
(http://www.korean-nationals.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1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