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기업 소개
1) 농심이란
2) 농심의 세계화
3) 농심 연혁

2. 제품 소개 (신라면)
Ⅱ. 본론
1.중국 진출 배경

2. 중국 라면 시장 분석
1) 생산현황
2) 소비동향
3) 경쟁기업


3. 4P
1) 제품 전략 (Product)
2) 가격 전략 (Price)
3) 촉진 전략 (Promotion)
4) 유통 전략 (Place)


Ⅲ. 결론
1. SWOT 분석
2. 견해 (대안책)

본문내용

매울 辛자를 붓글씨체로 강조하여 브랜드가 명확히 노출되는 한편 소비자에게 고급 스러운 이미지로 전달 될 수 있다.
② 현지생산을 통한 비용절감
농심은 현지 생산법인을 설립하고, 중국의 값싼 원자재와 현지의 값싼 노동력을 이 용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③ 차별성
기존의 중국 라면 업체들은 저가전략만을 추구하여 제품의 품질이 낮고 개별제품의 특성이 약하다. 농심은 중국진출 초기에 중국인 입맛에 맞추어 라면스프를 개발판 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실패하였고, 농심은 한국의 맛인 매운맛을 강점으 로 가지고 있는 신라면을 판매하기로 결정하였다.
신라면의 매운맛은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은 중국인들에게 거부감이 느껴질 수 있지 만, 식욕을 돋우는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을 이끌 어 낼 수 있다. 또한 중국 내 기업 제품의 면발이 약하고 잘 끊어지는 반면에 신라 면의 면발은 쫄깃하고 굵다. 이러한 차별성은 신라면을 기존의 제품들과 구별하게 함과 동시에 특별한 지위를 가지게 한다. 또한, 다른 제품의 저가정책에 밀리지 않 는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다.
2) 약점(Weakness)
① 고가정책
‘고가의 제품을 살 수 있는 소비층 VS 그렇지 않은 소비층’
신라면이 타사 제품에 비해 아주 월등히 비싼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막상 소비를 하 다보면, 조금이라도 값이 싼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사람의 심리이다. 신라면을 구매하 는 소비층이 중상류층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② 매운맛의 고수
사천지역 사람들을 제외한 중국인들이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처음부터 매운 맛을 강조한 신라면을 선택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3) 기회(Opportunity)
① 라면시장의 성장 가능성
<표1-1>에 의하면 3개월 동안 라면을 먹어보지 않은 사람이 약 22%로 나타났다. 이는 라면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의 연간 1인당 라면 소비량은 26개로 한국 80개, 일본 50개에 비해 적기 때문에 앞으로 중국의 라면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빈약한 중국 본토의 유통망 때문에 판매망이 주요도시(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에 편중되어 있다. 중국의 인프라가 발달된다면 라면시장도 더불어 커질 것이다.
중국의 성장률이 높은 현재, 상류층 및 중류층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들은‘삶의 질 을 높이는 것’에 대한 욕구가 강하며 구매력 또한 높다. 이는 중고가 가격정책을 취 하고 있는 농심에게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4) 위협(Threat)
① 중국 시장 선점 기업
딩신과 퉁이는 이미 중국 라면 시장에서 각각 40%, 2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선 점효과가 강한 시장에서 후발주자인 농심은 겨우 2%를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중상류 층을 주 고객으로 하고 있는 농심이 시장지배력을 높이는 것은 쉽지 않다.
② 경쟁사들의 모방 제품
신라면 모방사례를 살펴보면, 신라면이 홍콩에서 인기를 끌자 홍콩의 식품무역회사인
‘빌리온스트롱 인더스트리’가 신라면을 모방하는 사건이 1995년도에 발생하였다. 농심
의 과거 로고인 하트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회사 이름도 龍心, 중국식 발음으로 롱신으
로 똑같이 발음되는 것이었다. 제품명도 “신랄(辛辣)향고면, 신랄포채면”으로 하고 제품의 포장 색깔도 빨간색으로 하고 디자인도 비슷하였다.
인도에서는 ‘SAMS FOOD PRODUCTION’이 농심 신라면의 로고, 포장지 색깔, 디자인 등 을 그대로 모방하였다. 모방 제품은 중국이라는 시장에서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사항이 다.
③ 환경 문제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신라면이 봉지면에서 일회용 용기면 까지 시장 확대를 했는데, 중국에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지금보다 증대된다면, 일회용인 용기면의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④ 계속적인 대체식품의 등장
산업화됨에 따라 외식문화가 발전하여 먹거리 문화가 다양해지고, 라면이 아닌 다른 패스트푸드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2. 견해 (대안책)
1) 프리미엄급 제품 출시
: 현재 한국에서 신라면의 프림미엄 급으로 내놓고 있는 신라면 블랙이 있다. 이는 라면이 건강을 해치는 조미료 덩어리가 아니라 스프에 우골 우려낸 양질의 콜라겐 단 백질과 칼슘이 풍부하게 넣고 마늘과 우거지, 단배추 등 야채를 듬뿍 넣어 영양 밸런 스를 맞춰 보양식으로서의 인식을 새로이 심어주고 있다.
중국 사람들도 한국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특히 잘 사 는 사람들일수록 자신의 건강에 더 많이 투자하며, 물건을 구매하는데 있어서도 가격 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는 편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상류층을 겨냥하여 중국에도 신 라면 블랙과 같은 프리미엄급 라면을 내놓는다면 현재 신라면이 중국 라면시장에서 취하고 있는 중`고가 정책에도 반하지 않으며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고 생각한다.
2) 공격적인 마케팅
: 먼저 중국의 인기 드라마 및 영화에 투자 및 스폰서가 되는 것이다. 주인공이 라면 을 맛있게 끓여먹는 장면을 보여준다면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때 유념할 점은 라면 이 신라면이라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라면을 끓이기 전 라면을 뜯을 때 봉 지를 보여주거나, 마트에서 라면을 살 때 신라면을 선택하는 장면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러한 투자 및 스폰서 활동은 신라면의 인지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신규 라면소비자 에게 크게 어필 할 수 있다.
둘째로, 한류열풍을 이용한 스타마케팅을 하는 것이다. 지금보다 더 나은 판매고 달 성과 농심의 브랜드 이미지를 위해 '장나라'와 같은 한류스타를 등장시킨 라면 광고가 필요하다. 준거집단은 소비자 구매 행동에 상당히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준거집단 중 에서도 소비자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연예인, 유명인의 경우, 그들의 행동과 가치를 따 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따라서 연예인을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투입시키면 그 들을 닮고 싶어 하는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어, 유명연예인을 등장시킨 광고는 마 케팅의 하나의 전략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4.0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