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VIII. 후천성 판막질환과 간호
1. 승모판 질환
1) 승모판 협착(mitral stenosis; MS)
2) 승모판 폐쇄부전
2. 대동맥판 질환
1)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AS)
2) 대동맥판 폐쇄부전(aortic insufficiency; AI)
3. 삼첨판 질환
4. 심장판막술과 체외 순환 심장수술
1) 심장판막술
2) 체외순환 심장수술
3) 심장이식술
4) 심장수술환자의 간호
1. 승모판 질환
1) 승모판 협착(mitral stenosis; MS)
2) 승모판 폐쇄부전
2. 대동맥판 질환
1)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AS)
2) 대동맥판 폐쇄부전(aortic insufficiency; AI)
3. 삼첨판 질환
4. 심장판막술과 체외 순환 심장수술
1) 심장판막술
2) 체외순환 심장수술
3) 심장이식술
4) 심장수술환자의 간호
본문내용
- 혈구 용혈, 헤파린 사용으로 혈소판 수와 응고요소들 감소하므로 출혈 경향
3) 심장이식술
(1) 수술의 적합성
- 환자의 연령이 60세 미만이 예후가 좋다.
- 제공자와 수혜자간의 세포 조직의 적합성이 좋아야 한다.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폐고혈압 환자는 수술 대상에서 제외된다.
(2) 수술의 종류
① 동소 심장이식술(orthotopic cardiac transplantation)
수혜자의 심장을 적출한 후에 제공자의 심장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현재 널리 사용
② 이소 심장이식술(heterotopic cardiac transplantation)
수혜자의 심장을 적출하지 않고 제공자의 심장을 반대쪽 흉강 내에 이식하는 방법. 수혜자에 비해 제공자의 체격이 작아 제공자의 심장만으로 수혜자에게 요구되는 심장기능을 충분히 할 수 없을 때와 같은 제한된 경우에만 시행
③ 심폐이식술(total transplantation)
수혜자의 양쪽 폐와 심장을 떼어내고 제공자의 심장과 폐를 함께 이식하는 수술방법.
심장이식이 필요한 환자가 심한 폐동맥 고혈압이 있거나 심한 폐질환으로 심부전증이 동반된 경우에 적용
(3) 심장이식술의 문제점
① 심장제공자의 수 부족 ② 이상적인 면역억제제의 개발 필요 ③ 이식된 심장에서 발생하는 관상동맥질환 ④ 경제적 부담
4) 심장수술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 심리 간호 : 환자의 공포심 중재
- 환자교육 : 심호흡과 기침, 관절운동, 인공호흡기의 사용 등 교육
- 안정과 수면 : 반좌위
(2) 수술 후 간호
① 심맥관 상태파악 및 안정을 위한 간호 : 맥박, 체온(직장체온계), 혈압(Swan-Ganz 카테터), 중심 정맥압과 폐모세혈관 쐐기압 측정, 심전도
② 호흡 증진 : 기도내 분비물 제거(기관내 흡인, 흉부물리요법), 밀봉 흉곽 배액(1일 배액량 100ml 이하, 공기의 배출이 없고, 흉부 X-선 촬영상에 폐가 충분히 확장되었다고 인정될 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제거)
③ 수액과 전해질, 영양의 균형 유지 : 수액공급 및 수혈, 식이(연식→보통식이)
④ 신장기능 증진 - 시간당 소변 배설량 30ml 이하일 때는 보고
⑤ 안위를 위한 간호 - 심장수술후의 진통제 사용은 제한
⑥ 신경 기능 증진 - 수술 후 처음 몇 시간 동안은 매시간 동공 관찰
⑦ 수술 후 정신간호
⑧ 조기이상
⑨ 수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 수술 후 환자의 불안해하면 출혈, 쇼크 의심
3) 심장이식술
(1) 수술의 적합성
- 환자의 연령이 60세 미만이 예후가 좋다.
- 제공자와 수혜자간의 세포 조직의 적합성이 좋아야 한다.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폐고혈압 환자는 수술 대상에서 제외된다.
(2) 수술의 종류
① 동소 심장이식술(orthotopic cardiac transplantation)
수혜자의 심장을 적출한 후에 제공자의 심장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현재 널리 사용
② 이소 심장이식술(heterotopic cardiac transplantation)
수혜자의 심장을 적출하지 않고 제공자의 심장을 반대쪽 흉강 내에 이식하는 방법. 수혜자에 비해 제공자의 체격이 작아 제공자의 심장만으로 수혜자에게 요구되는 심장기능을 충분히 할 수 없을 때와 같은 제한된 경우에만 시행
③ 심폐이식술(total transplantation)
수혜자의 양쪽 폐와 심장을 떼어내고 제공자의 심장과 폐를 함께 이식하는 수술방법.
심장이식이 필요한 환자가 심한 폐동맥 고혈압이 있거나 심한 폐질환으로 심부전증이 동반된 경우에 적용
(3) 심장이식술의 문제점
① 심장제공자의 수 부족 ② 이상적인 면역억제제의 개발 필요 ③ 이식된 심장에서 발생하는 관상동맥질환 ④ 경제적 부담
4) 심장수술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 심리 간호 : 환자의 공포심 중재
- 환자교육 : 심호흡과 기침, 관절운동, 인공호흡기의 사용 등 교육
- 안정과 수면 : 반좌위
(2) 수술 후 간호
① 심맥관 상태파악 및 안정을 위한 간호 : 맥박, 체온(직장체온계), 혈압(Swan-Ganz 카테터), 중심 정맥압과 폐모세혈관 쐐기압 측정, 심전도
② 호흡 증진 : 기도내 분비물 제거(기관내 흡인, 흉부물리요법), 밀봉 흉곽 배액(1일 배액량 100ml 이하, 공기의 배출이 없고, 흉부 X-선 촬영상에 폐가 충분히 확장되었다고 인정될 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제거)
③ 수액과 전해질, 영양의 균형 유지 : 수액공급 및 수혈, 식이(연식→보통식이)
④ 신장기능 증진 - 시간당 소변 배설량 30ml 이하일 때는 보고
⑤ 안위를 위한 간호 - 심장수술후의 진통제 사용은 제한
⑥ 신경 기능 증진 - 수술 후 처음 몇 시간 동안은 매시간 동공 관찰
⑦ 수술 후 정신간호
⑧ 조기이상
⑨ 수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 수술 후 환자의 불안해하면 출혈, 쇼크 의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