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소셜 커머스의 정의
2. 소셜 커머스의 국내 현황
Ⅱ 본론
1. 소셜 커머스의 구현 방식
1) 온라인 플랫폼을 SNS 플랫폼과 결합하기
2) SNS안에 상거래 플랫폼 구축하기
3) 오프라인 플랫폼과 SNS 결합하기
2. 비즈니스 모델
1) 비즈니스 모델 분석
2) 비즈니스 모델 유형
3. 소셜 커머스의 동향
1) 소셜 커머스 1.0 - 국내 소셜커머스의 시작
2) 소셜 커머스 2.0 - 메타 사이트 등장
3) 대자본의 공습으로 시작된소셜커머스 3.0
Ⅲ 결론
1) 소셜 커머스의 향후 트렌드
2) 결론
1. 소셜 커머스의 정의
2. 소셜 커머스의 국내 현황
Ⅱ 본론
1. 소셜 커머스의 구현 방식
1) 온라인 플랫폼을 SNS 플랫폼과 결합하기
2) SNS안에 상거래 플랫폼 구축하기
3) 오프라인 플랫폼과 SNS 결합하기
2. 비즈니스 모델
1) 비즈니스 모델 분석
2) 비즈니스 모델 유형
3. 소셜 커머스의 동향
1) 소셜 커머스 1.0 - 국내 소셜커머스의 시작
2) 소셜 커머스 2.0 - 메타 사이트 등장
3) 대자본의 공습으로 시작된소셜커머스 3.0
Ⅲ 결론
1) 소셜 커머스의 향후 트렌드
2) 결론
본문내용
스에 기반한 ‘올레샵’으로 통합했다. 올레샵은 아이폰과 주변 액세서리를 포함해 KT의 유무선 통신 상품과 관련 기기들을 한곳에서 판매하는 쇼핑몰이다.
상품페이지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으로 상품정보를 옮길 수 있는 ‘SNS 버튼 묶음’이나 SNS계정으로 간단한 댓글을 다는 ‘소셜댓글’ 기능이 구현돼 있다. 소셜댓글은 참여자의 SNS 계정을 노출하기 때문데, 글의 신뢰가 담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올레샵은 소셜댓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이 올레샵 안에만 글을 등록할 수 있는 옵션을 마련해 상업적인 정보가 SNS에 자동으로 게시되는 일이 없도록 했다.
올레샵의 이런 시도는 기존 소셜쇼핑 사이트에서 흔히 보던 방식과 다르지 않지만 자신들이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상품을 팔 목적으로 소셜커머스 기반의 쇼핑몰을 구축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아직은 SNS 연동방식이 초보적인 수준이지만, 그동안 국내 소셜커머스는 주로 소셜쇼핑 업체들, 즉 SNS와 연동한 공동구매 서비스들이 주도했는데, 이번 KT의 소셜커머스 진출을 계기로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소셜커머스를 구현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 질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대와 함께 모바일이 가진 즉시성과 실시간성을 활용한 소셜커머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55%가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모바일 커머스 활용비율도 36%에 달해 모바일 기반의 소셜커머스에 대한 잠재력은 충분할 것으로 분석된다.
Ⅲ. 결론
현재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소셜 커머스를 살펴보았을 때 앞 서 강조한 것과 같이 상거래를 위한 SNS를 활용하면 모두 소셜 커머스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커머스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사실 소셜 커머스는 전에 없던 전혀 새로운 상거래 방식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SNS과 연계되고 SNS의 방대한 유저기반을 판매자가 활용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상거래 플랫폼이 진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셜커머스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관계변화이다. 소셜 커머스 시장에서는 소비자가 단순히 소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발적으로 구전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즉, 기업이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만큼 소비자들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진행하면서 수차례 강조한 것은 소셜 커머스의 광범위성과 다양성이다, 위의 본문에서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이 소셜 커머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대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소셜 커머스는 구현방식, 플랫폼의 종류,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많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과 해외의 소셜 커머스가 다양한 형태를 띠고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소셜 커머스는 아직까지 ‘소셜쇼핑’에 국한되고 있다. 그래도 최근 들어 뉴스기사에서 프라이빗 쇼핑클럽과 같은 새로운 소셜 커머스의 형태가 생겨나고 있다는 소식은 반갑지 않을 수 없다.
소셜 커머스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핵심 동인은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와 모바일이다. 소셜 커머스는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의 소통 방식과 구조의 틀을 벗어나기 힘들고, 모바일 기술이 지원해 주는 범위 내에서만 오프라인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얘기다. 즉, 현재의 소셜 커머스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일부 SNS와 스마트폰의 초보적인 기술 안에서만 구현된 것들이다. 따라서 기존 SNS들의 진화, 새로운 형태의 SNS들의 등장, 그리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셜커 머스는 앞으로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해지며, 더욱 깊숙이 일상 속으로 파고들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앞으로 나타나게 될 소셜커머스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1. 단순하게 버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SNS와 연동하는 것은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별한 개발 이슈가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커머스 사업자들이 소셜커머스를 시도하게 된다. 소셜쇼핑과 프라이밋쇼핑클럽에서 판매하는 상품 품목이 가전제품, 자동차 등 공산품으로 확대될 것이다.
2. 대형업체들이 소셜커머스 진출로 대형업체들과 규모의 경쟁을 벌이기 위한 소셜쇼핑 업체들간의 합종연횡이 치열할 것이다. 대형업체들은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해, 중소업체들은 마케팅과 고객 채널 확보를 위해 서로에게 손을 내밀것이고, 고비용 구조를 감당하지 못하는 영세 소셜쇼핑 업체들이 M&A 시장에 매물로 쏟아져 나올 가능성도 높다. 티켓몬스터의 딜즈온 인수는 이러한 흐름의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다.
3. 공동구매나 쇼핑클럽 외에도 리뷰 사이트,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 엔터테인먼트콘텐츠 유통 플랫폼 등과 같은 여타의 비즈니스 영역들이 소셜미디어와 결합하면서 블루오션 비즈니스로 진화할 것이다.
4. 소셜커머스 B2B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많아질 것이다.
1) 기존 커머스에 소셜네트워크를 연동해주는웹 개발 서비스 업체
2)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 내에 쇼핑몰을 구축해주는 서비스 업체
3) 소셜네트워크에서이용 가능한결제 솔루션 업체
4) 자체적으로공동 구매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솔루션 업체
5) 소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홈쇼핑방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 업체
6) 상품 판매 정보를 소셜네트워크 이외의 온라인 미디어에도 배포해 주는네트워크 광고 서비스 업체
7) 소셜 네트워크 상의 입소문으로 매출 증대에 기여한 고객을 추적하고, 보상해주는 솔루션 업체
<참고문헌>
유채원, ‘소셜커머스, 이제 소비자를 기업의 동반자로’, LG경제연구원, 2010
류한석, ‘소셜커머스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
김철환, ‘소셜 커머스의 해외 추진 사례와 전망’ 2010
오정연,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이은민, ‘소셜커머스 글로벌 사업 동향’, 2011
http://hisprite.egloos.com ‘대한민국 소셜커머스 읽기’
김철환,“신뢰가 돈이 되는 사람중심 상거래 혁명 소셜커머스‘, 블로터앤미디어, 2011
유윤수,윤상진, “소셜커머스,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더숲, 2011
상품페이지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으로 상품정보를 옮길 수 있는 ‘SNS 버튼 묶음’이나 SNS계정으로 간단한 댓글을 다는 ‘소셜댓글’ 기능이 구현돼 있다. 소셜댓글은 참여자의 SNS 계정을 노출하기 때문데, 글의 신뢰가 담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올레샵은 소셜댓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이 올레샵 안에만 글을 등록할 수 있는 옵션을 마련해 상업적인 정보가 SNS에 자동으로 게시되는 일이 없도록 했다.
올레샵의 이런 시도는 기존 소셜쇼핑 사이트에서 흔히 보던 방식과 다르지 않지만 자신들이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상품을 팔 목적으로 소셜커머스 기반의 쇼핑몰을 구축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아직은 SNS 연동방식이 초보적인 수준이지만, 그동안 국내 소셜커머스는 주로 소셜쇼핑 업체들, 즉 SNS와 연동한 공동구매 서비스들이 주도했는데, 이번 KT의 소셜커머스 진출을 계기로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소셜커머스를 구현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 질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대와 함께 모바일이 가진 즉시성과 실시간성을 활용한 소셜커머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55%가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모바일 커머스 활용비율도 36%에 달해 모바일 기반의 소셜커머스에 대한 잠재력은 충분할 것으로 분석된다.
Ⅲ. 결론
현재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소셜 커머스를 살펴보았을 때 앞 서 강조한 것과 같이 상거래를 위한 SNS를 활용하면 모두 소셜 커머스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커머스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사실 소셜 커머스는 전에 없던 전혀 새로운 상거래 방식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SNS과 연계되고 SNS의 방대한 유저기반을 판매자가 활용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상거래 플랫폼이 진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셜커머스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관계변화이다. 소셜 커머스 시장에서는 소비자가 단순히 소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발적으로 구전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즉, 기업이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만큼 소비자들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진행하면서 수차례 강조한 것은 소셜 커머스의 광범위성과 다양성이다, 위의 본문에서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이 소셜 커머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대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소셜 커머스는 구현방식, 플랫폼의 종류,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많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과 해외의 소셜 커머스가 다양한 형태를 띠고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소셜 커머스는 아직까지 ‘소셜쇼핑’에 국한되고 있다. 그래도 최근 들어 뉴스기사에서 프라이빗 쇼핑클럽과 같은 새로운 소셜 커머스의 형태가 생겨나고 있다는 소식은 반갑지 않을 수 없다.
소셜 커머스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핵심 동인은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와 모바일이다. 소셜 커머스는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의 소통 방식과 구조의 틀을 벗어나기 힘들고, 모바일 기술이 지원해 주는 범위 내에서만 오프라인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얘기다. 즉, 현재의 소셜 커머스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일부 SNS와 스마트폰의 초보적인 기술 안에서만 구현된 것들이다. 따라서 기존 SNS들의 진화, 새로운 형태의 SNS들의 등장, 그리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셜커 머스는 앞으로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해지며, 더욱 깊숙이 일상 속으로 파고들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앞으로 나타나게 될 소셜커머스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1. 단순하게 버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SNS와 연동하는 것은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별한 개발 이슈가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커머스 사업자들이 소셜커머스를 시도하게 된다. 소셜쇼핑과 프라이밋쇼핑클럽에서 판매하는 상품 품목이 가전제품, 자동차 등 공산품으로 확대될 것이다.
2. 대형업체들이 소셜커머스 진출로 대형업체들과 규모의 경쟁을 벌이기 위한 소셜쇼핑 업체들간의 합종연횡이 치열할 것이다. 대형업체들은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해, 중소업체들은 마케팅과 고객 채널 확보를 위해 서로에게 손을 내밀것이고, 고비용 구조를 감당하지 못하는 영세 소셜쇼핑 업체들이 M&A 시장에 매물로 쏟아져 나올 가능성도 높다. 티켓몬스터의 딜즈온 인수는 이러한 흐름의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다.
3. 공동구매나 쇼핑클럽 외에도 리뷰 사이트,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 엔터테인먼트콘텐츠 유통 플랫폼 등과 같은 여타의 비즈니스 영역들이 소셜미디어와 결합하면서 블루오션 비즈니스로 진화할 것이다.
4. 소셜커머스 B2B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많아질 것이다.
1) 기존 커머스에 소셜네트워크를 연동해주는웹 개발 서비스 업체
2)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 내에 쇼핑몰을 구축해주는 서비스 업체
3) 소셜네트워크에서이용 가능한결제 솔루션 업체
4) 자체적으로공동 구매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솔루션 업체
5) 소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홈쇼핑방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 업체
6) 상품 판매 정보를 소셜네트워크 이외의 온라인 미디어에도 배포해 주는네트워크 광고 서비스 업체
7) 소셜 네트워크 상의 입소문으로 매출 증대에 기여한 고객을 추적하고, 보상해주는 솔루션 업체
<참고문헌>
유채원, ‘소셜커머스, 이제 소비자를 기업의 동반자로’, LG경제연구원, 2010
류한석, ‘소셜커머스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
김철환, ‘소셜 커머스의 해외 추진 사례와 전망’ 2010
오정연,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이은민, ‘소셜커머스 글로벌 사업 동향’, 2011
http://hisprite.egloos.com ‘대한민국 소셜커머스 읽기’
김철환,“신뢰가 돈이 되는 사람중심 상거래 혁명 소셜커머스‘, 블로터앤미디어, 2011
유윤수,윤상진, “소셜커머스,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더숲, 2011
추천자료
트위터 twitter와 SNS의 진화와 기업의 SNS활용사례
140자의 혁명
페이스북 사생활침해
콘텐츠산업동향
sns의 활용과 영향
카카오톡, 카카오, 카카오톡 기업분석, 기업분석, 카카오톡소개, KAKAO TALK, SWOT 분석, STP...
[SNS] 트위터 가입자 감소를 통해 살펴본 SNS문제점 보고서
[SNS] 트위터 가입자 감소를 통해 살펴본 SNS문제점.PPT자료
맥도날드 VS 롯데리아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스마트폰 이용한 모바일 마케팅 사례분석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마케팅의 영향과 시사...
페이스북 비지니스 모델 분석
‘위메프(위메이크프라이스 WE MAKE PRICE)’ 차별화 마케팅전략분석과 위메프 기업분석/ 위메...
블로그 운영시 주의해야 할 블로그 리스크관리
[마케팅 전략론 발표] 매드스마트 - 틱톡에서 틱톡플러스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