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
1) 전문직의 특성
2)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
2. 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1) 사회복지사의 등급과 자격기준
2) 1급 사회복지사의 국가시험
3) 한국사회복지사협회
3. 사회복지사의 윤리
1) 사회복지사에게 윤리의 중요성
2)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4.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5.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활동영역
6. 사회복지사의 과제
1) 전문직의 특성
2)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
2. 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1) 사회복지사의 등급과 자격기준
2) 1급 사회복지사의 국가시험
3) 한국사회복지사협회
3. 사회복지사의 윤리
1) 사회복지사에게 윤리의 중요성
2)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4.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5.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활동영역
6. 사회복지사의 과제
본문내용
복지사는 단지 14과목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 전락되었다. 따라서, 가급적 조속한 시일 안에 자격취득에 필요한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 교과목의 종류를 대폭 늘려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 1급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이상 선임사회복지사의 지도감독을 거친 사회복지현장 근무경력을 필요조건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둘째, 전문사회복지사를 법정 자격으로 만들어야 한다. 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 2급, 3급으로 되어 있는데, 최고등급인 사회복지사 1급을 취득하기 위해서 대학원이나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면 된다. 비록 2003년부터 국가시험을 합격한 사회복지사에게 1급을 주더라도, 사실상 대학졸업자에게 전문직의 최고 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 의사의 경우 대학에서 예과와 본과를 졸업하고(6년) 의사가 된 후에도 수년동안 인턴과 레지턴트를 거쳐서 전문의가 되는데, 사회복지사의 경우 전문사회복지사가 아직 법정화 되지 않았다. 다행히,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1996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으로서 임상경험이 3년 이상인 자를 교육시키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전문사회복지사’를 부여하여 왔는데, 앞으로 이를 법정 자격으로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교육내용과 수준에 대한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복지사의 취득이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과목을 이수하는 것만으로 가능하게 됨에 따라 많은 대학이 사회복지학과를 학부로 변경해서 학생을 늘리고, 일부 학교에서는 사회복지학과 학문적 연계가 낮은 학과를 사회복지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사회복지사를 배출하고 있다. 한 예로, 2000년에 광주전남지역에서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16개에 이르는데,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전임교수는 20명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통계가 있었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전임교수가 한명도 없는 대학에서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과목의 교육내용과 강의 질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함께 강의인정제가 법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이 일은 사회복지학 교과목의 표준화작업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이를 주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시간을 늘리고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반드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하여야 한다.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3학점 11시간(현장실습 8시간+실습세미나 3시간)으로 권장하고 있다. 즉, 학기중 실습은 주당 1일 8시간 실습기관에 출석하여 총 15주 근무하고, 방학중 실습은 1일 8시간씩 주5회 연속 3주이상 근무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개입기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볼 때, 3주간의 실습은 대단히 빈약하다. 선진 외국에서는 방학동안 전일제로 실습을 하거나 한학기 이상 현장근무를 하면서 선임사회복지사로부터 지도감독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우리 나라도 4학년 여름방학이나 2학기에 10주이상 전일제로 근무하도록 실습을 크게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위상을 높이고 관련 전문직 단체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및 사회복지사의 복지증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가 적극 참여해야 한다. 협회는 사회복지사의 낮은 가입율과 회비납부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자기혁신을 해야 하며,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을 법적으로 크게 강화시켜야 한다. 복지대상자의 욕구와 사회문제는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는데, 한번 취득한 자격을 재교육없이도 유지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사협회는 국가로부터 자격증의 발급뿐만 보수교육을 위탁받아서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등 전문 분야별 협회와 학회를 발전시켜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참고문헌
김기태 외(1999), 사회복지의 이해, 박영사.
광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인(1998), 시설과 인물, 은평천사원 출판부.
김영모(1999), 사회복지학,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김태성 외(1998), 사회복지 전문직과 교육제도, 소화.
남세진(1992), 인간과 복지, 한울.
박용순(1999),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시행규칙
서울대 사회복지실천연구회(1998), 사회복지실천기법과 지침, 나남출판.
양옥경 외(199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 한울아카데미.
이영철 외(2000), 사회복지학, 양서원.
이용교 편(1993), 이야기 사회복지, 은평천사원 출판부.
이용교 편(1999), 새 천년을 열어갈 사회복지사의 길, 광주대학교 출판부.
이용교(2001), 복지는 생활이다, 인간과 복지.
이용교(2004), 디지털 복지시대, 인간과복지.
이용교(2004), 내가 꿈꾸는 디지털 사회복지사, 현학사.
이필환 외역(1999),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 집;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1998), The Found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장세철 외역(2000), 개호복지론, 대학출판사.
전재일 외(1999), 사회복지개론, 형설출판사.
조휘일 이윤로(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최옥채(1999), 사회복지실천론, 인간과 복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편(1996), 사회복지사와 슈퍼비젼.
한국사회복지사협회(1997),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삼십년 1967-1997.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1),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개정 및 선서문 제정.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1995), Encyclopedia of Social Worker, 김만두 외역(1999), 사회복지대백과사전, 나눔의 집.
Robert L. Barker(1987), Social Work Dictionary, 중앙사회복지연구회 역(1996), 사회사업사전, 이론과 실천.
둘째, 전문사회복지사를 법정 자격으로 만들어야 한다. 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 2급, 3급으로 되어 있는데, 최고등급인 사회복지사 1급을 취득하기 위해서 대학원이나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면 된다. 비록 2003년부터 국가시험을 합격한 사회복지사에게 1급을 주더라도, 사실상 대학졸업자에게 전문직의 최고 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 의사의 경우 대학에서 예과와 본과를 졸업하고(6년) 의사가 된 후에도 수년동안 인턴과 레지턴트를 거쳐서 전문의가 되는데, 사회복지사의 경우 전문사회복지사가 아직 법정화 되지 않았다. 다행히,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1996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으로서 임상경험이 3년 이상인 자를 교육시키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전문사회복지사’를 부여하여 왔는데, 앞으로 이를 법정 자격으로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교육내용과 수준에 대한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복지사의 취득이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과목을 이수하는 것만으로 가능하게 됨에 따라 많은 대학이 사회복지학과를 학부로 변경해서 학생을 늘리고, 일부 학교에서는 사회복지학과 학문적 연계가 낮은 학과를 사회복지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사회복지사를 배출하고 있다. 한 예로, 2000년에 광주전남지역에서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16개에 이르는데,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전임교수는 20명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통계가 있었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전임교수가 한명도 없는 대학에서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학 전공과 관련과목의 교육내용과 강의 질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함께 강의인정제가 법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이 일은 사회복지학 교과목의 표준화작업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이를 주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시간을 늘리고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반드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하여야 한다.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3학점 11시간(현장실습 8시간+실습세미나 3시간)으로 권장하고 있다. 즉, 학기중 실습은 주당 1일 8시간 실습기관에 출석하여 총 15주 근무하고, 방학중 실습은 1일 8시간씩 주5회 연속 3주이상 근무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개입기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볼 때, 3주간의 실습은 대단히 빈약하다. 선진 외국에서는 방학동안 전일제로 실습을 하거나 한학기 이상 현장근무를 하면서 선임사회복지사로부터 지도감독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우리 나라도 4학년 여름방학이나 2학기에 10주이상 전일제로 근무하도록 실습을 크게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위상을 높이고 관련 전문직 단체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및 사회복지사의 복지증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가 적극 참여해야 한다. 협회는 사회복지사의 낮은 가입율과 회비납부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자기혁신을 해야 하며,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수교육을 법적으로 크게 강화시켜야 한다. 복지대상자의 욕구와 사회문제는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는데, 한번 취득한 자격을 재교육없이도 유지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사협회는 국가로부터 자격증의 발급뿐만 보수교육을 위탁받아서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등 전문 분야별 협회와 학회를 발전시켜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참고문헌
김기태 외(1999), 사회복지의 이해, 박영사.
광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인(1998), 시설과 인물, 은평천사원 출판부.
김영모(1999), 사회복지학,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김태성 외(1998), 사회복지 전문직과 교육제도, 소화.
남세진(1992), 인간과 복지, 한울.
박용순(1999),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시행규칙
서울대 사회복지실천연구회(1998), 사회복지실천기법과 지침, 나남출판.
양옥경 외(199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 한울아카데미.
이영철 외(2000), 사회복지학, 양서원.
이용교 편(1993), 이야기 사회복지, 은평천사원 출판부.
이용교 편(1999), 새 천년을 열어갈 사회복지사의 길, 광주대학교 출판부.
이용교(2001), 복지는 생활이다, 인간과 복지.
이용교(2004), 디지털 복지시대, 인간과복지.
이용교(2004), 내가 꿈꾸는 디지털 사회복지사, 현학사.
이필환 외역(1999),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 집;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1998), The Found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장세철 외역(2000), 개호복지론, 대학출판사.
전재일 외(1999), 사회복지개론, 형설출판사.
조휘일 이윤로(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최옥채(1999), 사회복지실천론, 인간과 복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편(1996), 사회복지사와 슈퍼비젼.
한국사회복지사협회(1997),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삼십년 1967-1997.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1),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개정 및 선서문 제정.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1995), Encyclopedia of Social Worker, 김만두 외역(1999), 사회복지대백과사전, 나눔의 집.
Robert L. Barker(1987), Social Work Dictionary, 중앙사회복지연구회 역(1996), 사회사업사전, 이론과 실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