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ER) 케이스 (Shock, Cardiac arrest, TA ,두부손상,흉부손상,복부손상,화상 환자 등) 문헌고찰, 간호, 치료, 케이스까지 A+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실(ER) 케이스 (Shock, Cardiac arrest, TA ,두부손상,흉부손상,복부손상,화상 환자 등) 문헌고찰, 간호, 치료, 케이스까지 A+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 수소 원자핵을 자기공명 영상화하여 환 부의 정확한 진? 자진행상태를 밝혀주는 장비이다.
** MRI의 임상적 이용 **
① 뇌혈관 질환 -뇌질환
② 체간혈관 질환
③ 복부 및 골반질환
④ 사지 혈관 질환
⑤ 척추 질환
⑥ 근골격계 및 관절 질환
3.응급실의 장비와 기구
1) 모니터 (EKG monitor)
사용 목적 및 작동기전
사 례
응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심전도 모니터를 통해 중증의 부정맥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
SaO2, NBP, 침습적 동맥혈압(ABP),
중심정맥압(CVP)등을 모니터하기 위함
적응증:심장검사, 수술시의 감시 장치, 중환자 감시 장치
작동기전 :
① 환자는 침대에 앙와위로 누워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부위의 피부 준비를 한다.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코올 솜으로 닦아주고 피부 모발이 많은 경우는 면도를 부분적으로 시행하며, 전기의 전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극연고나 젤리를 발라준다.
② 흉부와 사지에 6개에서 15개의 전극을 부착한다.
③ 기계와 전극을 연결하고 기계를 작동하여 표준화와 속도를 확인하고 기록을 진행한다.
④ 검사는 5분 이내로 소요된다.
C.C : Chest pain, 호흡곤란.
진단명 : 외상성 pneumothorax
이유 : 외상성 기흉으로 인해 폐에 공기가 찬 상태로 호흡에 지장을 주는 응급상황으로 환자의 SaO2, HR,RR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함.
1) 제세동기 (Defibrillator)
사용목적 및 작동기전
사 례
즉각적인 처치를 요하는 심실세동을
치료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즉각 적인 정상박동으로의 회복이 요구되는 경 우에 사용함.
사용목적 :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예:심 실세동)을 제거,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함.
작동기전 :전기 충격 → 심근 전체 탈분극 → 심장 작용 정상 회복
사용 방법
① 전원 스위치를 돌려 Monitor On에 맞춘다.(필요시 환자에게 EKG electrode를 부착하고 cable을 연결하여 EKG monitoring한다.)
② 에너지 충전 paddle을 장비에서 분리한다.(소아인 경우 성인용 paddle을 빼내고 사용한다.)
③ 한 쪽 Paddle에 젤리(약 5cc)를 바른 후 다른 한 쪽 paddle로 비벼 묻히도록 한다.
④ 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결정한다.(성인 : 보통 200~300J, 소아 : 2J/Kg).
⑤ 선택 스위치를 돌려 원하는 에너지량을 맞춘 후 오른쪽 paddle에 부착된 노란색 스위치(충전버튼)를 눌러 에너지를 충전한다. (기계 앞 판넬의 노란색 charge 버튼을 눌러도 된다.)
⑥Defibrillator의 화면에 에너지값이 표시되며, 충전이 끝나면 \"삐\"하는 소리가 나게 된다.
⑦ 환자의 가슴에 defibrillator의 paddle을 댄다. (한쪽 paddle은 우측 상부 흉골에, 다른 쪽 paddle은 중심액와선에서 유두 바로 왼쪽에 있는 심첨부에 놓는다.)
⑧전기적 충격을 가한다.
C.C : 호흡곤란, 부정맥, 의식장애.
진단명 : 자동차 T.A
심근수축력약화와 관련된 부정맥
이유 : 심근수축력의 약화로 부정맥이 초 래되고 혈압이 하강하며 호흡이 곤 란하여 즉각적인 정상박동으로의 회복이 요구되는 중한 응급환자이 기 때문.
2) 산소공급기

사용목적 및 작동기전
사 례
사용목적 : O2를 공급하기위한 것
절차 : 비교적 low flow system인
100% O2를 flow meter의 다이얼
로 조절
작동기전
①Wall에 있는 O2 meter에 Bubble-jet의 위 나사 부분을 연결한다.
② Jar(O2 bottle)를 열고 \"FILL TO THIS LINE\"이라고 쓰여 있는 곳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③ Cap에 jar를 끼우고 jar ring을 죄면서 잠근다.
④\"BUBBLE\"이나 \"JET\" 모드 중 필요한 것을 스위치로 조작한다.
⑤Bubble jet 출구에 환자에게 제공되는 Oxygen tube를 연결한다.
⑥처방난 O2 flow( ℓ/min)를 맞춘다.
C.C : 호흡곤란
진단명 : 경운기 T.A
외상성 pneumothorax와
관련된 호흡곤란
이유 : 호흡곤란을 완화하기 위해 O2 공급이 즉각적으로 필요하므로.
< Portable O2 tank>
사용목적 및 작동기전
사 례
환자가 기동중이거나 치료나 검사를
위해 이동시의 지속적인 산소 공급
작동기전
①중간 valve를 열어 O2 tank에 O2 가 있는지 확인한다.
②급습병에 증류수를 채운다.
③처방된 양만큼 Oxygen flow meter를 조절한 후 환자에게 연결한다.
④ 사용한 후에는 tank의 Oxygen flow meter를 \"0\"으로 돌려 놓은 후 valve를 잠그고, 지정된 장소에 둔다.
C.C : 호흡곤란
진단명 : CRF
울혈성심부전과 관련된 호흡곤란
이유 : 만성신부전증의 악화로 울혈성심부전으로 의심되는 심낭의 삼출로 인해 호흡곤란이 유발되는 환자로 병실로 이동시에 스트레치카에 매달아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함.
3) Ambu bag
사용목적 및 작동기전
사 례
응급상황에서 전체 호흡이 끊긴 환자의
환기를 돕기 위해 사용
작동기전 :
Am bu -bag 뒷부분에 산소를 연결해서
짜준다. ambu-bagging시 산소농도는 10L의
고농도의산소를공급.
C.C : 호흡곤란
진단명 : 자동차 T.A
두 개손상과 관련된 호흡곤란
이유 : 자동차 T.A 환자로 두 개부의 전체적인 손상으로 인해 호흡조절 중추가 손상되어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여 CPR상황에서 Endotracheal와 tubeAmbu bag을 함께 사용해서 산소를 공급함.
4) Infusion pump (Volume type)
사용목적 및 작동기전
사 례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
동안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며, 총 주입
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한다.
작동기전
①IV pole에 pump의 clamp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속시킨다.
②전원을 연결한다.
③Pump의 문을 열고 기계 뒤에 있는 POWER 스위치를 켠다.
④Infusion pump용 수액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