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 골관절염 (osteoarthritis)
Ⅱ 간호력
Ⅲ. 진단검사
Ⅳ. MEDICATION
Ⅴ. 간호과정
Ⅵ. 실습을 마치며
Ⅶ. 참고문헌
◎ 골관절염 (osteoarthritis)
Ⅱ 간호력
Ⅲ. 진단검사
Ⅳ. MEDICATION
Ⅴ. 간호과정
Ⅵ. 실습을 마치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수술을 하게 된다.
③ 연골 세포 이식술
관절염 환자 가운데 일부는 자신의 연골세포를 배양해서 이식 받을 수도 있다. 비교적 젊은 환자에서 대퇴골 쪽 관절면에 결손이 있는 경우 시술하여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④ 인공 관절 전치환술(TKRA)
중증인 환자는 인공관절 수술을 받아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은 무릎 관절염의 경우 환자의 다리가 휘어져 있고 약을 먹어도 약효가 바로 떨어지고 아플 때가 그 적응증이 된다. 최근 소재와 수술 수기의 발달로 인해 인공관절의 수명이 20년을 넘게 되었다. 무릎을 6~7㎝ 정도만 절개하고 관절염이 심한 일부분만 인공관절로 치환하는 ‘부분 치환술‘도 시행되고 있다.
7. 간호
1.간호사정
1)통증의 병력과 특성을 사정한다. - 관절 침범여부
2)관절운동의 범위와 강도를 평가한다.
3)일상생활과 감정적인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사정한다.
2.간호진단
1)관절퇴행, 근육경련과 관련된 통증
2)통증, 제한된 관절운동과 관련된 운동장애
3)관절운동에 제한을 주는 통증과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
3.간호 중재
1)비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대로 투여하여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킨다.
2)손상된 관절을 휴식한다. - 지나친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키고 퇴행을 가속화시킨다.
ⓐ부목, 지지대, 경추 칼라, 견인 등을 사용한다.
ⓑ처방대로 휴식기간을 갖도록 한다.
3)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은 피하도록 한다.
4)처방대로 온찜질을 적용한다. - 근육경련과 경직을 완화시킨다. 장기간의 온찜질은 부종 증가와 증상 악화의 원인이 되므로 피한다.
5)올바른 자세를 교육한다. - 잘못된 자세는 만성적인 근육긴장과 통증을유발한다.
6)목밑에 수건을 말고 자도록 한다. - 경추의 관절염을 완화시킨다.
7)필요할 경우 목발이나 지지대, 지팡이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 고관절과 슬관절에의 체중부하를 줄인다.
8)손상된 쪽 반대쪽으로 지팡이를 잡도록 한다.
9)잘 맞는 신발을 신도록 한다.
10)관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체중을 감소하도록 권장한다.
11)심한 통증과 관절이상으로 수술 받는 환자를 지지한다.
4.신체운동성 증가
1)통증 없이 가능한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한다.
2)관절의 운동과 근육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관절범위운동을 교육한다.
3)근육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등장성 운동과 점진적인 운동을 교육한다.
4)장기간의 부동 후에 관절범위운동으로 관절을 움직여준다.
5.일상생활에서의 독립성 유지
1)강직이 덜하고 피로하기 전인 오전에 주요 업무를 하도록 한다.
2)단추가 없는 옷을 입거나 목욕통이나 샤워실 옆에 의자를 놓거나 하여 움직임의 제한에 따른 활동에 변화를 준다.
3)보조적인 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4)부가적 지지를 위해 작업치료를 한다.
6.환자교육/건강유지
1)수영이나 물 속에서의 유산소 운동을 권한다.
2)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영양과 수면을 권장한다.
3)충분한 과학적 근거가 없는 대체요법을 사용할 경우 건강관리제공자와 상의하도록 한다.
4)류머티즘 건강전문학회 등 정보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을 의뢰한다.
Ⅱ 간호력
Ⅲ. 진단검사
Chest PA 11/8
=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state. No active lung lesion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상태. 폐에 활동성 병변 없음.
Both hips AP&Lat
Both hips three Quarter
요분석, Ecci, 일반혈액, 일반혈청, 일반화학, 특수응고, 혈액은행, 혈액응고
검사항목
결과
단위
참고치
결과에 대한 소견
요분석 [11/2]
WBC
▲5-9
0-4
▲ 골절로 인해 일시적인 염증으로 상승
RBC
▲1-4
0-1
▲ 골절로 인해 일시적인 염증으로 감소
* WBC : 백혈구는 감염의 발생시 가장 일선에서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들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생기에 reticuloendothelial system의 모세포에서 분화되어 생성되며 임파선이나 지라에서 reside되어 단핵구나 임파구로 분화된다
* RBC : 혈액성분의 대부분, 세포질 내부 Hb이 산소와 결합하여 조직에 산소 운반, 적혈구수가 감소하면 산소운반능력이 떨어져 산소 결핍상태를 일으켜 빈혈초래
검사항목
결과
단위
참고치
결과에 대한 소견
CBC & Automated WBC Differetial count [11/2]
ESR
▲30
mm/1hr
0-20
▲ 골절로 인해 일시적인 염증으로 상승 되었다고 생각됨
CBC & Automated WBC Differetial count [11/9] pre op
RBC
▼3.21
10^6/㎕
4-5
▼ TA로 인해 전체적으로 염증반응이 있어서 RBC가 감소되고 그로 인해 Hemoglobin, Hematocrit 감소되었다고 생각됨
Hemoglobin
▼9.8
g/dl
12-16
Hematocrit
▼28.5
%
34-49
CBC & Automated WBC Differetial count [11/10] post op
RBC
▼3.95
10^6/㎕
4-5
▼ 수술로 인해 일시적인 혈량 소실로 감소되었다고 생각됨
Hemoglobin
▼11
g/dl
12-16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침강속도) M:0-10mm/hr, F:0-20mm/hr
만성 질환의 경과관찰
감염증에서 급성 반응성 물질보다 늦게 증가하여 회복기에도 더 오랫동안 증가상태 유지
- 증가 : 만성신부전, 악성질환, 세균성감염, 만성염증, 류마티스열, 급성결핵, 심근경색, 괴사, 섬유소원증가증,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빈혈, 노인, 여성, 임신중독증, 매독, 폐렴
- 감소 : 울혈성심부전, 저섬유소혈증, 채혈시 응혈된 것이 섞일 때, cortisone, ACTH주사를 맞는 경우, 혈당이 높은경우, 겸상적혈구빈혈, 구형적혈구증, 진성적혈구증가증, 다혈구증
*Hemoglobin : 산소를 운반하는 물질로서 빈혈의 기본적인 검사
- 증가: 적혈구 증가증, 탈수, COPD, 약물
- 감소: 빈혈, 임신(혈장 증가로 상대적 감소), 출혈, 섭취부족, 과도한 수분섭취, 급성감염(노화적혈구 파괴 시 1~2일
③ 연골 세포 이식술
관절염 환자 가운데 일부는 자신의 연골세포를 배양해서 이식 받을 수도 있다. 비교적 젊은 환자에서 대퇴골 쪽 관절면에 결손이 있는 경우 시술하여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④ 인공 관절 전치환술(TKRA)
중증인 환자는 인공관절 수술을 받아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은 무릎 관절염의 경우 환자의 다리가 휘어져 있고 약을 먹어도 약효가 바로 떨어지고 아플 때가 그 적응증이 된다. 최근 소재와 수술 수기의 발달로 인해 인공관절의 수명이 20년을 넘게 되었다. 무릎을 6~7㎝ 정도만 절개하고 관절염이 심한 일부분만 인공관절로 치환하는 ‘부분 치환술‘도 시행되고 있다.
7. 간호
1.간호사정
1)통증의 병력과 특성을 사정한다. - 관절 침범여부
2)관절운동의 범위와 강도를 평가한다.
3)일상생활과 감정적인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사정한다.
2.간호진단
1)관절퇴행, 근육경련과 관련된 통증
2)통증, 제한된 관절운동과 관련된 운동장애
3)관절운동에 제한을 주는 통증과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
3.간호 중재
1)비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대로 투여하여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킨다.
2)손상된 관절을 휴식한다. - 지나친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키고 퇴행을 가속화시킨다.
ⓐ부목, 지지대, 경추 칼라, 견인 등을 사용한다.
ⓑ처방대로 휴식기간을 갖도록 한다.
3)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은 피하도록 한다.
4)처방대로 온찜질을 적용한다. - 근육경련과 경직을 완화시킨다. 장기간의 온찜질은 부종 증가와 증상 악화의 원인이 되므로 피한다.
5)올바른 자세를 교육한다. - 잘못된 자세는 만성적인 근육긴장과 통증을유발한다.
6)목밑에 수건을 말고 자도록 한다. - 경추의 관절염을 완화시킨다.
7)필요할 경우 목발이나 지지대, 지팡이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 고관절과 슬관절에의 체중부하를 줄인다.
8)손상된 쪽 반대쪽으로 지팡이를 잡도록 한다.
9)잘 맞는 신발을 신도록 한다.
10)관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체중을 감소하도록 권장한다.
11)심한 통증과 관절이상으로 수술 받는 환자를 지지한다.
4.신체운동성 증가
1)통증 없이 가능한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한다.
2)관절의 운동과 근육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관절범위운동을 교육한다.
3)근육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등장성 운동과 점진적인 운동을 교육한다.
4)장기간의 부동 후에 관절범위운동으로 관절을 움직여준다.
5.일상생활에서의 독립성 유지
1)강직이 덜하고 피로하기 전인 오전에 주요 업무를 하도록 한다.
2)단추가 없는 옷을 입거나 목욕통이나 샤워실 옆에 의자를 놓거나 하여 움직임의 제한에 따른 활동에 변화를 준다.
3)보조적인 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4)부가적 지지를 위해 작업치료를 한다.
6.환자교육/건강유지
1)수영이나 물 속에서의 유산소 운동을 권한다.
2)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영양과 수면을 권장한다.
3)충분한 과학적 근거가 없는 대체요법을 사용할 경우 건강관리제공자와 상의하도록 한다.
4)류머티즘 건강전문학회 등 정보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을 의뢰한다.
Ⅱ 간호력
Ⅲ. 진단검사
Chest PA 11/8
=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state. No active lung lesion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상태. 폐에 활동성 병변 없음.
Both hips AP&Lat
Both hips three Quarter
요분석, Ecci, 일반혈액, 일반혈청, 일반화학, 특수응고, 혈액은행, 혈액응고
검사항목
결과
단위
참고치
결과에 대한 소견
요분석 [11/2]
WBC
▲5-9
0-4
▲ 골절로 인해 일시적인 염증으로 상승
RBC
▲1-4
0-1
▲ 골절로 인해 일시적인 염증으로 감소
* WBC : 백혈구는 감염의 발생시 가장 일선에서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들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생기에 reticuloendothelial system의 모세포에서 분화되어 생성되며 임파선이나 지라에서 reside되어 단핵구나 임파구로 분화된다
* RBC : 혈액성분의 대부분, 세포질 내부 Hb이 산소와 결합하여 조직에 산소 운반, 적혈구수가 감소하면 산소운반능력이 떨어져 산소 결핍상태를 일으켜 빈혈초래
검사항목
결과
단위
참고치
결과에 대한 소견
CBC & Automated WBC Differetial count [11/2]
ESR
▲30
mm/1hr
0-20
▲ 골절로 인해 일시적인 염증으로 상승 되었다고 생각됨
CBC & Automated WBC Differetial count [11/9] pre op
RBC
▼3.21
10^6/㎕
4-5
▼ TA로 인해 전체적으로 염증반응이 있어서 RBC가 감소되고 그로 인해 Hemoglobin, Hematocrit 감소되었다고 생각됨
Hemoglobin
▼9.8
g/dl
12-16
Hematocrit
▼28.5
%
34-49
CBC & Automated WBC Differetial count [11/10] post op
RBC
▼3.95
10^6/㎕
4-5
▼ 수술로 인해 일시적인 혈량 소실로 감소되었다고 생각됨
Hemoglobin
▼11
g/dl
12-16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침강속도) M:0-10mm/hr, F:0-20mm/hr
만성 질환의 경과관찰
감염증에서 급성 반응성 물질보다 늦게 증가하여 회복기에도 더 오랫동안 증가상태 유지
- 증가 : 만성신부전, 악성질환, 세균성감염, 만성염증, 류마티스열, 급성결핵, 심근경색, 괴사, 섬유소원증가증,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빈혈, 노인, 여성, 임신중독증, 매독, 폐렴
- 감소 : 울혈성심부전, 저섬유소혈증, 채혈시 응혈된 것이 섞일 때, cortisone, ACTH주사를 맞는 경우, 혈당이 높은경우, 겸상적혈구빈혈, 구형적혈구증, 진성적혈구증가증, 다혈구증
*Hemoglobin : 산소를 운반하는 물질로서 빈혈의 기본적인 검사
- 증가: 적혈구 증가증, 탈수, COPD, 약물
- 감소: 빈혈, 임신(혈장 증가로 상대적 감소), 출혈, 섭취부족, 과도한 수분섭취, 급성감염(노화적혈구 파괴 시 1~2일
추천자료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PR][심폐소생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응급실케이스)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간호진단
[성인간호학][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GB stone][담석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Gallbladder stone)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ntracerebal Hemorrhage)
[성인간호학][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기흉][pneumothorax]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ntra 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tsutsugamushi]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CU 케이스]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증]문헌고찰,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