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활용어간의 교체
1. 계사 어간 ‘-이-’의 활용
2. 동사·형용사 어간의 활용
Ⅱ. 선어말어미
1. 경어법 선어말어미
2. 시상법 선어말어미
3. 의도법 선어말어미
4. 감동법 선어말어미
Ⅲ. 어말어미
1. 정동사어미
2. 부동사어미
3. 동명사어미
1. 계사 어간 ‘-이-’의 활용
2. 동사·형용사 어간의 활용
Ⅱ. 선어말어미
1. 경어법 선어말어미
2. 시상법 선어말어미
3. 의도법 선어말어미
4. 감동법 선어말어미
Ⅲ. 어말어미
1. 정동사어미
2. 부동사어미
3. 동명사어미
본문내용
어미 등이 있으 면 계사의 어간 뒤라 할지라도 동사나 형용사와 같은 규칙적인 어미가 나타남
①어미의 두음 ‘ㄷ’→‘ㄹ\' : ‘-다→-라’, ‘-더니→-러니’, ‘-도다→‘-로다’
②어미의 두음 ‘ㄱ’→‘ㅇ\'(유성후두마찰음) : ‘-고’→‘-오’, ‘-거니→-어니’, ‘-거든→-어든’
③어미의 두음 ‘오/우’→‘로’ : ‘-오/-우→-로’, ‘-옴/-움→-롬’
④어미의 두음 ‘아/어’→‘러’
3)‘아니’의 곡용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부사로서 쓰였으나, 명사로도 쓰임. ‘아니라’는 명사 ‘아니’에 계사 ‘-이라’가 결합하여 어간말음이 ‘-ㅣ(i)’이므로 생략된 것임
2. 동사·형용사 어간의 활용
1)규칙적 교체
(1)자음어간의 자동적 교체
①음절말 자음의 중화 : ‘ㅿ→ㅅ’, ‘ㅸ→ㅂ’, ‘ㅍ,ㅌ,ㅈ,ㅊ’→‘ㅂ,ㄷ,ㅅ’
②자음군 단순화 : ㅺ→ㅅ, ㅼ→ㅅ, ㅄ→ㅂ
③‘ㄹ어간’ : 현대국어와 비슷(다만 존경법선어말어미 ‘-시-’ 앞에서는 ‘ㄹ’유지되고,
‘ㄷ,ㅈ’어미 앞에서 언제나 ‘ㄹ’이 탈락)
(2)모음어간의 규칙적 교체
①모음연접규칙 : ‘ㆍ+ㅏ→ㅏ, ㅡ+ㅓ→ㅓ’ 예외)‘오-→요, 아→야’
②음절말이 ‘/르’ : ‘게으르-→게을ㅇ-’, ‘그르-→글ㅇ’
: ‘모-→몰ㄹ-’, ‘부르-→불ㄹ-’
③음절말이 ‘/므’ : ‘시므-→-’, ‘-→-’
④음절말이 ‘/’ : ‘그-→ㅇ-’, ‘-→ㅇ-’, ‘비-→ㅇ-’
2)불규칙적 교체
(1)자음어간의 비자동적 교체
: ‘ㄷ’불규칙 활용(‘ㄷ’+모음→ ‘ㄹ’+모음)
(2)모음어간의 비자동적 교체
①‘잇-(有)’→‘잇-’ :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이시-’ : 모음어미·매개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 선행어의 말음이 ‘이’로 끝나는 경우, 후행하는 어간 ‘이시-’의 첫 음 ‘이’가 탈락 例)마니 슈(이시+움+)
②‘러’불규칙활용 : ‘니를-, 누를- 프를-’→‘니르-, 누르-, 프르-’
(3)쌍형어간의 교체
①‘버믈-, 여믈-, 져믈-/범글-, 염글-, 졈글-’
②‘니-/지-’
③‘구짖-, 낱-, 흩-/ 구짇-, 낟-, 흗-’
(4)불완전동사 어간의 교체
①‘달-/도-(與)’
②‘-/로-(曰)’
Ⅱ. 선어말어미
1. 경어법 선어말어미
1)겸양법 선어말어미
:상위자에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냄, 다른 선어말어미 가장 앞에 위치
-교체
①어간의 환경에 따라
·→ : 어간말음이 모임·유성자음(ㄴ,ㅁ,ㄹ)
·→ : 어간말음이 ‘ㄷ, ㅈ, ㅊ’
·→ : 그 외의 조건
②어미에 따라
:후행하는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면 ‘, , ’으로 교체
2)존경법 선어말어미
:화자가 상위자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으)시-’, 겸양법과 존경법이 통일된 경우 극존칭의 의미를 가짐
-교체 : ‘-아/어-, -오/우-, -옴/움-’ + ‘-시-’→‘-샤, -샤, -샴’
3)공손법 선어말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로서 오직 종결어미 앞에서만 나타남. 공손법선어 말 어미는 ‘--, --’. 종결어미가 설명법, 의문법, 명령법 중 어느 것이냐에 따라 교체를 함
서체 종류
‘쇼셔’체
‘야
①어미의 두음 ‘ㄷ’→‘ㄹ\' : ‘-다→-라’, ‘-더니→-러니’, ‘-도다→‘-로다’
②어미의 두음 ‘ㄱ’→‘ㅇ\'(유성후두마찰음) : ‘-고’→‘-오’, ‘-거니→-어니’, ‘-거든→-어든’
③어미의 두음 ‘오/우’→‘로’ : ‘-오/-우→-로’, ‘-옴/-움→-롬’
④어미의 두음 ‘아/어’→‘러’
3)‘아니’의 곡용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부사로서 쓰였으나, 명사로도 쓰임. ‘아니라’는 명사 ‘아니’에 계사 ‘-이라’가 결합하여 어간말음이 ‘-ㅣ(i)’이므로 생략된 것임
2. 동사·형용사 어간의 활용
1)규칙적 교체
(1)자음어간의 자동적 교체
①음절말 자음의 중화 : ‘ㅿ→ㅅ’, ‘ㅸ→ㅂ’, ‘ㅍ,ㅌ,ㅈ,ㅊ’→‘ㅂ,ㄷ,ㅅ’
②자음군 단순화 : ㅺ→ㅅ, ㅼ→ㅅ, ㅄ→ㅂ
③‘ㄹ어간’ : 현대국어와 비슷(다만 존경법선어말어미 ‘-시-’ 앞에서는 ‘ㄹ’유지되고,
‘ㄷ,ㅈ’어미 앞에서 언제나 ‘ㄹ’이 탈락)
(2)모음어간의 규칙적 교체
①모음연접규칙 : ‘ㆍ+ㅏ→ㅏ, ㅡ+ㅓ→ㅓ’ 예외)‘오-→요, 아→야’
②음절말이 ‘/르’ : ‘게으르-→게을ㅇ-’, ‘그르-→글ㅇ’
: ‘모-→몰ㄹ-’, ‘부르-→불ㄹ-’
③음절말이 ‘/므’ : ‘시므-→-’, ‘-→-’
④음절말이 ‘/’ : ‘그-→ㅇ-’, ‘-→ㅇ-’, ‘비-→ㅇ-’
2)불규칙적 교체
(1)자음어간의 비자동적 교체
: ‘ㄷ’불규칙 활용(‘ㄷ’+모음→ ‘ㄹ’+모음)
(2)모음어간의 비자동적 교체
①‘잇-(有)’→‘잇-’ :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이시-’ : 모음어미·매개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 선행어의 말음이 ‘이’로 끝나는 경우, 후행하는 어간 ‘이시-’의 첫 음 ‘이’가 탈락 例)마니 슈(이시+움+)
②‘러’불규칙활용 : ‘니를-, 누를- 프를-’→‘니르-, 누르-, 프르-’
(3)쌍형어간의 교체
①‘버믈-, 여믈-, 져믈-/범글-, 염글-, 졈글-’
②‘니-/지-’
③‘구짖-, 낱-, 흩-/ 구짇-, 낟-, 흗-’
(4)불완전동사 어간의 교체
①‘달-/도-(與)’
②‘-/로-(曰)’
Ⅱ. 선어말어미
1. 경어법 선어말어미
1)겸양법 선어말어미
:상위자에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냄, 다른 선어말어미 가장 앞에 위치
-교체
①어간의 환경에 따라
·→ : 어간말음이 모임·유성자음(ㄴ,ㅁ,ㄹ)
·→ : 어간말음이 ‘ㄷ, ㅈ, ㅊ’
·→ : 그 외의 조건
②어미에 따라
:후행하는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면 ‘, , ’으로 교체
2)존경법 선어말어미
:화자가 상위자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으)시-’, 겸양법과 존경법이 통일된 경우 극존칭의 의미를 가짐
-교체 : ‘-아/어-, -오/우-, -옴/움-’ + ‘-시-’→‘-샤, -샤, -샴’
3)공손법 선어말어미
:상위자를 상대한 화자의 공손한 진술로서 오직 종결어미 앞에서만 나타남. 공손법선어 말 어미는 ‘--, --’. 종결어미가 설명법, 의문법, 명령법 중 어느 것이냐에 따라 교체를 함
서체 종류
‘쇼셔’체
‘야
추천자료
심청전 분석
심층 면접 및 압박 면접에 대비한 예상 질문과 우수 답변 모음
오우가의 모든 것
고등학교《국어(하)》국어 지식 영역
남북한 어문규정의 차이점
일석 이희승의 생애와 학문
네슬레 현지화 전략
구석기 시대의 동물화석 연구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13장 분석
<교수학습과정안 - 높임법지도안 (6/8)> 시나리오 : 4. 여가생활 (3) 앉아서 하는 스트레칭- ...
『빌러비드 (BELOVED)』 토니 모리슨 (Toni Morrison) 著
[인문과학] 역마
한국어 교수학습법 적용 사례 발표[청각 구두식 교수법]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전신반응 교수법을 활용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