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Q 중국 진출 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BQ 중국 진출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및 기업 및 진출 대상국 선정 배경 ……………… 3

2. 기업내부분석 ………………………………………………… 4
 - 기업소개
 - 성공요인

3. 외부환경분석 ………………………………………………… 11
 - 진출시장분석 (정치, 경제, 사회, 문화)
 - 5 FORCE 분석
 - 진출시장 내 경쟁자 분석
1. 맥도날드 2. KFC 3. 피자헛

4. 시장진출 동기 ……………………………………………… 47
 - BCG, GE MATRIX를 통한 분석

5. BBQ의 중국 시장진출 전략 ………………………………… 48
 - 프랜차이징의 특징
 - BBQ의 프랜차이징
 - SWOT분석
 - STP 전략
 - 마케팅 전략(4P)

6. 결론 …………………………………………………………… 73
 - 중국 진출 성공 요인
 - 발전방향

본문내용

사업 규모를 확장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2. 변화하는 소비성향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인들의 국민소득 또한 계속하고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인들의 소비성향을 변화시켰다. 특히 중국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태어난 자녀들을 일컫는 말로 1980~9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소황제 세대를 자녀로 둔 부모들은 자신들의 자녀를 위해서 굉장히 많은 소비를 하고 있으며, 이는 본래 아동을 둔 주부, 및 부모들을 주요 타겟으로 선정하여 중국시장으로 진출한 BBQ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 또한 웰빙족의 증가로 본인들의 건강에 대해서 신경을 많이 쓰는 소비자들의 증가 또한 BBQ에게는 좋은 기회요소로 적용 될 수 있다. 이들은 식음 소비에 있어서도 영양이나 건강을 생각하여 소비자들에게는, BBQ치킨의 올리브유 사용전략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3. 외식 산업의 규모
중국 외식 산업의 규모는 현재 한국 외식 산업의 규모에 약 4.8배에 이르며 시장 규모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시장자체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3년까지 약 3.3 조 위안 시장규모를 달성하기 위해서 산업 구조가 가지고 있던 법이나 규범상의 문제점들과 물류, 유통 등에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 사력을 다하고 있다. 통일된 규범과 물류, 유통 시스템 외 다양한 분야에서의 체게적인 시스템 구축은 BBQ에게 조금 더 나은 사업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중국 시장의 위협요소(BBQ에 적용)
중국 시장이 가지고 있는 위협요소들을 마이클 포터의 FIVE FORCE 모델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5 FORCE MODEL
<그림 . 마이클 포터의 FIVE FORCE MODEL >
1. 시장 내 경쟁
기존 시장에서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시장을 독점하고 있던 KFC와 피자헛 등의 기업들이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국적으로 약 3800여 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다. 외국 패스트푸드 업체들뿐만 아니라, 중국 정통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기업들도 KFC와 피자헛, 맥도널드 같은 기업들을 추격하기 위해서 사력을 다하고 있으며, 한국 외식업체들 뿐만 아니라 많은 외국 기업들이 진출하는 북경 시장을 예로 들면 현재 23개의 일정규모 이상의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23개의 기업들이 북경에 가지고 있는 총 점포수만 해도 무려 900개에 이른다. 상항이의 경우 전체 프랜차이즈 가맹점수가 약 1만개에 달한다. 또한 북경과 상해와 같은 1선들 도시들이 경우 패스트푸드 산업 발전 속도가 빠른 편에 속하며,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업체들뿐만 아니라 중국 현지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정식업체, 중식 샤브샤브 업체들과, 요식거리를 바탕으로 형성된 중국의 소규모든 식당들이 모두 BBQ 치킨의 시장 내 경쟁자이다.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성행은 소규모의 프랜차이즈 점포들을 통해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BBQ에게 큰 위협 요소가 될 수도 있다.
2.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중국 정부는 외식 산업의 규범화를 통하여 표준 시스템을 마련하고, 중국 외식 산업의 브랜드 수준을 제고 하고 이러한 중국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하부 산업 구조를 재정비 할 전망이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외식 문화를 제공하기위하여 대중화된 의식 판매망을 건설하고 외식 산업 내에 경영 정보 시스템 확산을 통하여 외식 산업 내에 기업들이 더욱 더 편리한 환경해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하고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은 2013년 까지 전국 외식 산업 연평균 성장률을 18%로 유지하며, 3.3 억 위엔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였고, 중국 정부는 이러한 높은 성장률 달성과 동시에 기존에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완화하기 위하여 연 매출액이 10억 위엔 이상인 외식 브랜드 기업들을 100개 배출과 외식 산업과 관련하여 약 2,5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전국 주요도시에 식품가공 물류센터와 16만개의 체인점을 설립함으로써 외식 산업의 표준화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산업 내에 환경 변화는 기존의 외식업체들의 대형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많은 새로운 외식업체들을 중국 시장 진입을 촉진 시킬 것이다.
3. 대체재의 위협
중국의 닭고기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돼지고기 쇠고기 등 대체재들의 소비량 또한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소비량이나 생산량 면에서도 세계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돼지고기와 양식이 천하를 편안하게 만든다는 뜻의 ‘주량안텐샤’ 라는 말이 존재할 정도로 엄청난 양의 돼지고기를 소비하고 있다. 중국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돼지고기98%를 국가 내에서 자체적으로 소비하고 있으며, 이것으로도 모자라 돼지고기를 수입하고 있다. 쇠고기는 닭고기나 돼지고기의 소비량에 비해서 소비량이 적은 편이지만, 소비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절대로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육류소비 성향은 중국의 외식산업에도 적용해 볼 수 있으며, 이는 닭은 주로 취급하는 외식 업체들에게 큰 위협요소 될 수 있다.
<중국의 육류 소비량>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닭고기
9,931
10,088
10,371
11,478
12,825
13,867
돼지고기
5,557
5,607
5,677
6.061
6,210
6,324
쇠고기
43,042
45,150
46,051
42,726
44,875
4,6190
출처: 세계육류 수급 및 교류 전망
4. 공급자의 교섭력
해외의 외식업체들은 중국에 진출할 때 주로 중국의 기업들과 합작하여 진출을 한다. 과거에 중국에 진출 많은 한국 외식 업체들이 KFC나 맥도날드 등의 다국적 기업들에게 브랜드 인지도 면이나 규모면에 있어서 그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이유는 기업 규모면의 문제도 있었지만, 중국 시장에 대한 충분한 사전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한 이유도 있다. 현지 파트너와의 신뢰감을 구축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른 현지 파트너와의 마찰로 인하여 철수해야 했던 기업들도 있었는데, 중국 사업의 특성인 “
  • 가격4,000
  • 페이지수76페이지
  • 등록일2012.05.0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4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