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공간, 이상기압 건강장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밀폐공간, 이상기압 건강장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밀폐 공간 작업과 건강장해

1. 위험요인
2. 안전작업수칙
3. 밀폐공간이란?
4. 산소결핍이란?
5. 밀폐공간내 적정공기

이상 기압 건강장해

1. 이상기압의 업무상 인정기준
2. 이상기압으로 인한 질병의 종류
1) 고압환경과 건강장해
2) 감압과정과 건강장해
(1) 가압병
(2) 감압병
3. 이상기압 또는 감압병의 예방 대책

본문내용

원 (질식사고 예방법)
http://www.kosha.or.kr/board?tc=RetrieveBoardViewCmd&boardType=D&contentId=338992&pageNum=1&urlCode=T5|Y|319|8|8|79|319|5745|/board|Y,T5|Y|319|8|8|79|319||/bridge?menuId=5745|Y&tabId=5745,319&searchField=TITLE&searchInput=
이상기압의 업무상 인정기준
산재보험법시행규칙 제 39조 제1항 관련 [별표1] \"업무상 질병 또는 업무상 질병으로 인한 사망에 대한 업무상 재해인정기준\"의 제3호는 이상기압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상기압으로 인한 질병
잠수작업, 잠함실내종사, 고공종사 등으로 대기압보다 높거나 낮은 환경압 조건에 노출되고 있는 근로자에게 다음 각목의 1에 해당되는 증상 또는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를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 <개정 2003.7.1>
가. 고기압 또는 저기압조건에 노출된 후 6시간 내지 12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다음의 1에 해당되는 장해
(1) 폐, 중이, 부비동 또는 치아 등에 발생한 압착증
(2) 물안경 또는 헬멧 등과 같은 잠수기기에 의한 압착증
(3) 질소마취현상 또는 중추신경계 산소독성에서 속발된 건강장해
(4) 피부, 근골격계, 호흡기, 중추신경계 또는 내이등에 발생한 감압병
(5)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 발생한 공기색전증
(6) 기흉, 혈기흉, 종격동, 심낭 또는 피하기종
(7) 배부, 복부의 통증 또는 극심한 피로감
나. 고압노출작업환경에 2개월이상 종사하고 있거나 그 업무를 떠난 후 5년 전후에 나타나는 무혈성골괴사의 만성장해.
다만 만성알콜중독, 매독, 당뇨병, 간경변증, 간염, 류마티스성관절, 고지질혈증, 혈소판감소증, 통풍, 레이노증후군,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알캅톤뇨증 및 약물치료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다. <개정 2003.7.1>
(1) 급성 증상 및 질병
고기압 또는 저기압조건에 노출된 후 6시간 내지 12시간이내에 나타나는 징후
① 폐, 중이, 부비동 또는 치아 등에 발생한 압착증(신체기관의 급격한 압력의 변화로 인한 압박현상)
② 물안경 또는 헬멧 등과 같은 잠수기기에 의한 압착증
③ 질소마취현상 또는 중추신경계 산소독성에서 속발된 건강장해
④ 피부, 근골격계, 호흡기, 중추신경계 또는 내이 등에 발생한 감압병
⑤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 발생한 공기색전증
⑥ 기흉, 혈기흉, 종격동, 심낭 또는 피하기종
⑦ 배부, 복부의 통증 또는 극심한 피로감 등
(2) 만성 증상 및 질병
고압노출작업환경에 2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거나 그 업무를 떠난 후 5년 전후에 나타나는 무혈성골괴사의 만성장해.
다만, 만성알콜중독, 매독, 당뇨병, 간경변증, 간염, 류마티스성관절, 고지질혈증, 혈소판감소증, 통풍, 레이노증후군,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알캅톤뇨증(요증에 알캅톤체가 배설되는 것) 및 약물 치료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다.
이상기압으로 인한 질병의 종류
1. 고압환경과 건강장해
1) 생체와 환경 간의 압력차이에 의한 울혈, 부종, 출혈, 통증, 불쾌감과 같은 기계적 장애(1차적 압력현상)
2) 호기 중의 공기성분 중 산소, 이산화탄소, 지소의 분압상승으로 생체 내 유입되는 가스증가에 의한 화학적 장애(2차적 압력현상)
2. 감압과정과 건강장해
(1) 가압병(Compression sickness)
고산지대에 살거나 고공비행 또는 고산지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대기압이 낮아져서 고산병 또는 항공병이 발생한다.
해저작업, 터널작업을 할 때와 같이 기압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가압병이 생긴다.
기압이 증가하면 체내의 기체가 압축된다. 신체표면에 공기가 고루 미치면 부비강, 중이강을 포함한 우리의 각 장기조직은 18기압을 받아도 아무런 장해 없이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압력이 신체표면에 고루 작용하지 못하면 조직과 환경사이의 압력차가 1mmHg/cm2 이하에서도 울혈, 부종, 출혈, 조직의 동통 등이 생긴다.
가압병이 흔히 생기는 것은 고공비행을 하던 항공기가 착륙할 때로서 이때 기압이 상승하면 귀, 부비강, 치아 등이 손상을 잘 받는다. 고기압에 노출된 사람은 1.5%에 해당하는 사람은 기압성치통(Barodontqalgia)을 호소하고 또 다른 1.5%의 사람은 부비강의 동통을 호소한다.
치통은 치수 또는 압력을 받기 쉬운 치아의 연부조직에 작은 기포가 생기기 때문이며, 부비강의 동통은 기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5.1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