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 배명나방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학] 배명나방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배명나방

배나무줄기벌

나. 꼬마배나무이

1. 머리말

2. 발생생태

가. 형태적 특징

나. 가해상태

다. 월동처 및 계절초기 발생생태

3. 방제

본문내용

생 최성기는 남부지방의 경우 4월 하순인 4월25일 전후이고 5월상순까지 발생한다. 암컷은 10cm정도 되는 신초의 중간 밑부분을 자르고 그 밑 약 3-4cm 지점까지 껍질 밑에 1개씩 알을 낳는다 산란부위는 바늘로 찌른 것 같이 흑색 점으로 보인다, 신초의 꺾인 윗부분은 흑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산란 수는 16-36개이고 알기간은 8-10일이다, 부화유충은 5월 중순경까지는 껍질 밑 부분을 가해하다가 그 이후에는 목질부 속을 먹어 내려가 7월경이 되면 원줄기 가까이까지 먹어 들어간다, 다 자란 유충은 원줄기와 만나는 신초 밑부분 조직 속에 얇은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그대로 원동한다. 보통 꺾인 신초의 밑 부분에서 2차 신초가 뻗어 나오나 유충이 원줄기 부분까지 먹어 들어가면 새로 나온 신초도 말라 죽게 된다 이런 경우 줄기마름병 등으로 오인하기 쉬우나 원래 신초의 밑부분을 손으로 눌러보면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말랑말랑하여 발견할 수 있다.
방제법으로는 배나무 개화기 때 성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므로 약제 방제가 사실상 어렵다. 개화전 약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방화곤충에 영향이 적은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벌 활동 4일 이전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는 포스팜 메치온 나크 프로싱 할로스린 등이다,
낙화 후 약제방제를 하는 경우는 껍질 밑에 있는 알도 같이 방제해야 하므로 약간 침투성이 있는 세빈 아조포 델타네트 등이 효과가 있으나 완벽히 방제하기는 힘들다. 특히 유충이 목질부 속으로 깊이 먹어 들어가기 이전인 5월 중순이전 방제하는 것이 좋다. 성충만을 방제 목적으로 한다면 함성피레스로 이드계 약제가 좋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1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