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명나방
배나무줄기벌
나. 꼬마배나무이
1. 머리말
2. 발생생태
가. 형태적 특징
나. 가해상태
다. 월동처 및 계절초기 발생생태
3. 방제
배나무줄기벌
나. 꼬마배나무이
1. 머리말
2. 발생생태
가. 형태적 특징
나. 가해상태
다. 월동처 및 계절초기 발생생태
3. 방제
본문내용
생 최성기는 남부지방의 경우 4월 하순인 4월25일 전후이고 5월상순까지 발생한다. 암컷은 10cm정도 되는 신초의 중간 밑부분을 자르고 그 밑 약 3-4cm 지점까지 껍질 밑에 1개씩 알을 낳는다 산란부위는 바늘로 찌른 것 같이 흑색 점으로 보인다, 신초의 꺾인 윗부분은 흑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산란 수는 16-36개이고 알기간은 8-10일이다, 부화유충은 5월 중순경까지는 껍질 밑 부분을 가해하다가 그 이후에는 목질부 속을 먹어 내려가 7월경이 되면 원줄기 가까이까지 먹어 들어간다, 다 자란 유충은 원줄기와 만나는 신초 밑부분 조직 속에 얇은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그대로 원동한다. 보통 꺾인 신초의 밑 부분에서 2차 신초가 뻗어 나오나 유충이 원줄기 부분까지 먹어 들어가면 새로 나온 신초도 말라 죽게 된다 이런 경우 줄기마름병 등으로 오인하기 쉬우나 원래 신초의 밑부분을 손으로 눌러보면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말랑말랑하여 발견할 수 있다.
방제법으로는 배나무 개화기 때 성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므로 약제 방제가 사실상 어렵다. 개화전 약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방화곤충에 영향이 적은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벌 활동 4일 이전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는 포스팜 메치온 나크 프로싱 할로스린 등이다,
낙화 후 약제방제를 하는 경우는 껍질 밑에 있는 알도 같이 방제해야 하므로 약간 침투성이 있는 세빈 아조포 델타네트 등이 효과가 있으나 완벽히 방제하기는 힘들다. 특히 유충이 목질부 속으로 깊이 먹어 들어가기 이전인 5월 중순이전 방제하는 것이 좋다. 성충만을 방제 목적으로 한다면 함성피레스로 이드계 약제가 좋다.
방제법으로는 배나무 개화기 때 성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므로 약제 방제가 사실상 어렵다. 개화전 약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방화곤충에 영향이 적은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벌 활동 4일 이전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는 포스팜 메치온 나크 프로싱 할로스린 등이다,
낙화 후 약제방제를 하는 경우는 껍질 밑에 있는 알도 같이 방제해야 하므로 약간 침투성이 있는 세빈 아조포 델타네트 등이 효과가 있으나 완벽히 방제하기는 힘들다. 특히 유충이 목질부 속으로 깊이 먹어 들어가기 이전인 5월 중순이전 방제하는 것이 좋다. 성충만을 방제 목적으로 한다면 함성피레스로 이드계 약제가 좋다.
추천자료
분석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타이타닉'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스포츠와 성(性)- 공영방송에서의 여성스포츠에 대한 이미지 조사
순차논리(Sequential logic) - Latch & Flip-Flop
[대기오염개론] 대기오염의 영향
음주의 외부효과와 피구세로서의 조세
경부운하 무엇이 문제인가.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형질전환동물 생산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불특정 다수를 향한 범죄 분석(거의 모든 자료 포함)
[경제학] 미국거시환경분석
최근 급락. 위기인가 기회인가?
중국 가전제품 시장분석
공연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
낙태에 관하여 (성문화의 이해)
(독서감상문) ‘역사를 살다’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