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실(NUR) 컨퍼런스 CONFERENCE] 정상신생아 사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실(NUR) 컨퍼런스 CONFERENCE] 정상신생아 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자료 및 방법
 1.실습기간
 2.실습대상
 3.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신체계측
 2.활력징후
 3.전반적인 외모
 4. 신생아 반사

Ⅳ.임상실습일지
 -사용된 약
 -사용된 진단검사

본문내용

-입과 목: 흡철반사, 구역반사, 포유반사, 압출반사, 하품반사, 기침반사
-사지: 파악반사, 바빈스키 반사, 발목반사
-전신반사: 모로반사, 놀람반사, 비대칭 긴장성 경반사(펜싱반사), 체간 만곡반사, 보행반사, 기는 반사, 발 내딛기 반사
Ⅳ.임상실습일지
7:00
V/S check.
8:00
기저귀 갈기
면회
9:00
수유
12:00
기저귀 갈기
면회
13:00
점심
14:00
수유
14:00
V/S check.
15:00
인계, 수유
16:00
기저귀 갈기
면회
17:00
Dr. 회진
18:00
저녁
19:00
기저귀 갈기
charge선생님이 발진 등 전반적 문제 사정. care
20:00
수유, 면회
DUTY:DAY DUTY:EVENING
일과는 매일 같으므로 듀티별로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하였고, 매일 인계받은 사항이나 신환의 특이사항등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13.월
입원절차
키 몸무게 두위 흉위 측정한다.
다리 쇄골 팔다리 굴곡 척추를 관찰하여 근골격계 문제를 사정한다.
눈간호: 솜으로 한 번 닦고 테라마이신 연고를 감긴 눈을 따라 점적한다.
Vit.K 1cc를 외측광근에 근육주사한다.
V/S을 check한다.(항문체온)
관련 서류에 발도장을 찍는다.
카테터와 주사기, NS을 이용하여 비강을 suction한다. 먼저, 카테터로 표시된 길이만큼 비강으로 삽입하여 양수등을 흡인해 내고, 비강에 NS를 넣어 다시 흡인한다.
머리를 감겨준다.
3~4시간 금식시키고 체온조절을 위해 인큐베이터에 들어가게 한다.
수유방법
수유는 매 듀티마다 2번씩 60ml씩 여섯 번.
수유를 잘 하지 못하는 아기들도 있다. 이런 아기에게는 턱을 자극하여 수유하게 해야 한다.
수유한 뒤에는 꼭 트림시켜 주어야 덜 토한다.
c/sec으로 분만한 아기는 모유수유를 태어난 지 4일째 되는 날에 실시하며
자연분만한 아기는 2일째 되는 날에 모유수유가 가능하다.
모유수유 전에는 인공수유를 금지하여 배가 불러 모유수유를 하지 못하는 일이 없게 한다.
기저귀 갈기
-변색깔, 냄새, 양 등을 관찰한 후 notify
-기저귀를 교환할 때 아기의 두 다리를 붙들고 하는데 이 때 아기의 다리에 힘이 너무 풀려있거나 이상하다 싶으면 관절이 빠진 것일수도 있으니 notify
2.14.화
퇴원절차
정상분만의 경우 2~4일 후, C/sec의 경우 5일 정도 후에 퇴원한다.
퇴원 차트에는 산모의 산과력과 아기의 혈액형, 페닐케톤뇨증 등의 대사장애 검사 결과등이 적혀 있다.
퇴원하기 전, 산모에게 아기의 특징과 돌보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한다.
빈호흡
호흡수가 분당 7~80회 정도인 아기가 있어 O₂6~8L head box keep하였다.
담당의에게 notify 하며, 담당의가 확인 후 대학병원으로 transfer하거나 경과를 지켜보아 상태가 호전된다.
2.15.수
로타 바이러스
기저귀를 갈아줄 때마다 설사하는 아기들이 있어 stool을 검사실에 내려 검사한 결과 Rota.v positive가 나왔다. 정장제인 람노스와 설사하는 아기용 분유인 호프닥터를 쓰고 있다고 인계받았다. 더 이상 전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서 손을 다른 때보다도 더 열심히 씻었다. 그리고 Rota Virus가 무엇인지 궁금해 공부해 보았다.

전 세계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위장관염의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로 사람간에 감염이 일어나며 주로 분변감염을 통하여 전파된다.
-설사를 일으키는 기전 : 장흡수 표면의 감소, 세포 손상에 의한 흡수 장애. 장독소 효과, 장신경계 자극
-호발 연령 : 6개월 ~2세
-증상 : 전구증상으로 2~3일정도 발열과 구토가 일어나며 설사를 하게 된다.
10~20회 정도 설사를 하게되어 심한 탈수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감염후 2~4일 경에 설사가 시작되어 1~4일간 지속된다.
면역기능이 약화된 환자에서는 만성 설사가 지속되기도 한다.
설사와 복통 등의 증상은 3~7일 정도 지속된다.
이틀 정도의 잠복기를 거치며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치료 : 특별한 치료는 없으며 경구 수액보충이나 영양 공급과 같은 지지요법이 중요하다
2.16.목
황달
한**님 아기가 안대를 쓴 채 포토테라피를 받고 있었다. 빌리루빈 수치는 14mg/dl였고 근무하는 내내 광선요법을 받고 있었으며, 다음 날 출근하니 수치가 낮아져서 퇴원했다고 인계받았다.
<황달>
-유형: 생리적 황달, 모유수유 관련황달(조기 발생형, 후기 발생형), 용혈성 질환
생리적 황달: 미성숙한 간기능과 적혈구 용혈로 인한 빌리루빈의 증가로 24시간 이후에 나타나며, 5-7일이 지나면 감소된다. 치료방법은 수유 빈도를 증가시키고 변 양상을 관찰하고, 빌리루빈 수치를 감시하고 광선요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모유수유 관련 황달 조기발생형: 모유 분비가 충분해지기 이전에 부족한 모유를 수유함으로서 칼로리가 부족한 경우에 생기는데, 출생후 2~4일에 발생하며 지속시간은 다양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모유 수유를 자주 하고, 변 양상을 관찰하고, 광선요법을 실시하고, 광선요법이 실시되면 일시적인 모유 수유 중단에 대한 반응을 사정한다.
모유황달 후기발생형: 빌리루빈 결합을 방해하는 모유 속 요인들이나 배변횟수가 저하되어 발생하는데, 생후 4~7일에 나타나며, 3~12주 혹은 그 이상까지 황달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치료 방법으로는 모유수유를 자주 하고, 빌리루빈, 가족력등의 부가적인 요소를 사정하고, 일시적으로 모유수유를 중단(10~12시간)하고 광선요법을 실시한다.
용혈성질환: 항원부적합으로 다량의 적혈구 용혈이 발생하거나 간의 미성숙으로 용혈로 생성된 과량의 빌리루빈을 결합하고 배설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생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치료 요법으로 빌리루빈 수치를 검사하고, 출생 전에는 태아에게 교환수혈을 하고 출생후에 광선요법을 실시하거나 심하면 교환수혈을 해야 한다. Rh-산모의 감작을 예방하고,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라면 젖을 짜서 보관하고 적절한 시기에 우유병에 담아 먹일 수 있다
-증상: 공막, 손톱 또는 피부가 노랗게 변색된다.
-진단검사: 혈청 빌리루빈을 측정해서 확인한다. 간접빌리루빈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5.14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