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사항 및 신체계측
*신생아 정보
*어머니 정보
*Apgar score
(2) 신생아 특성 및 사정
A. 정상적인 특성
-두부, 흉부, 피부, 신경계반사, 복부 및 위장계, 생식계
B. 기타특성
-머리, 피부, 체중, 사지, 흉부
(3)간호과정
-간호진단, 목표, 계획, 중재, 평가
*신생아 정보
*어머니 정보
*Apgar score
(2) 신생아 특성 및 사정
A. 정상적인 특성
-두부, 흉부, 피부, 신경계반사, 복부 및 위장계, 생식계
B. 기타특성
-머리, 피부, 체중, 사지, 흉부
(3)간호과정
-간호진단, 목표, 계획, 중재, 평가
본문내용
호르몬, 자궁 내 쌓였던 탄수화물로 구성된다.
생후 2~3일 후부터 녹색과 노란색이 섞인 이행변으로 변한다.
엄마의 모유량이 많아지면서 삼키기가 힘들어 구토와 사래가 생긴다.
생식계
가성월경
(pseudomenstration)
요산침착
가성월경이 없었다.
요산침착이 없었다.
모체 호르몬에 의하여 신생아에게도 어른의 월경처럼 끈끈한 점액과 피가 섞여서 나올 수 있다.
신장은 요산을 요산염 형태로 하루에 7~8mg/kg을 배출하는데 이 대사의 장애가 일어나면 대표적인 질병으로 통풍이 일어난다.
B. 기타특성
영역
항목
사정 결과
문헌고찰 및 비고
머리
두혈종
(cephalo hematoma)
머리 모양이 찌그러져 있음. 비대칭 형이다.
두개골의 골막과 골사이에 혈액이 축적되어 생긴 것으로 출생시 압력에 의해 골막의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한다.
피부
피부
한진
(miliaria)
간찰진
(intertrigo)
기저귀 발진
(diaper rash)
관찰하지 못했다.
관찰하지 못했다.
관찰하지 못했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땀이 분비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생긴다.
서로 접촉하는 피부면에 생기는 변화로, 짓무르거나 가려운 증상이 있다.
아기가 기저귀를 찬 채로 소변이나 대변을 보게 될 때 오줌 속에 있는 암모니아가 피부를 자극해서 생기게 되며, 기저귀 채우는 부위의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피부가 벗겨지면서 짓무르기도 한다.
체중
생리적 체중감소
(physiologic weight loss)
생후 1일째 115g정도 감소 했다가 생후 3일째 다시 체중이 늘기 시작 했다.
소변과 태변 배출로 인해 생후 몇일동안 출생시 체중의 5~10% 정도가 감소한다.
사지
움직임
(motion)
팔다리가 대칭적 움직임을 보였고, 굴곡 한 채로 움직이고 있었다.
팔다리가 대칭적 움직임을 보이며, 손가락 발가락이 붙어있지 않고 6번째 손가락 발가락이 없고, 발목의 움직임이 자유롭다. 엎드렸을때 팔 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흉부
유방팽륜
(breast engorgement)
유두가 불룩 솟아 있었다.
모체 호르몬에 의한 영향으로 유방이 충혈되거나 팽륜 될 수 있다.
년, 월, 일
진단번호
2차 수준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행동
자극
2009.06.03
제대 감염의 위험성
주관적:
“아이가 자꾸 울어요”
객관적:
“제대에 고름이 나 있다”
면역학적 방어 결핍
면역학적 방어 결핍과 관련된 제대감염의 위험성
장단기 목표 :
장기: 신생아는 1달내로 정상적인 제대탈락으로 배꼽이 잘 형성된다.
단기: 신생아는 3일내로 감염없이 제대의 정상적인 퇴화현상이 일어난다.
-신생아와 접촉 전에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목욕 후 제대 소독을 철저히 한다.
-기저귀를 찰 때에 제대를 드러나도록 하여 기저귀를 찬다.
-제대의 탈락현상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지 사정한다.
-기저귀를 찰 때에 제대 부위를 개방하고 기저귀를 찬다.
-신생아의 제대를 규칙적으로 알콜을 이용해 소독 한다.
-부모에게 제대 소독법에 대한 교육을 한다.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외부인의 출입을 금하고, 되도록 제대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처치를 되도록 신속히 하여 처치시간을 줄여서 제대가 오랜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신생아는 3일 내로 감염 없이 제대의 정상적인 퇴화현상이 진행 되었다.
년, 월, 일
진단번호
2차 수준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행동
자극
2009.06.04
체온 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주관적: 아랫 입술을 떨며 울고 있다.
객관적: 체온이 35.8도 이다.
환경온도의 변화
환경온도의 변화와 관련된 체온 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장단기 목표 :
장기: 신생아는 3일내로 정상적인 체온(36도~36.5도)을 유지한다.
단기: 신생아는 1시간 내로 정상적인 체온(36도~ 36.5도)으로 돌아온다.
-v/s check시에도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신생아를 만질 때 손을 따뜻하게 한다.
-실내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한다.
-미리 따뜻하게 해 높은 담요를 덮어준다.
-신생아를 목욕시킬 때 최대한 열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한다.
-radiant warmer안에 들어가게 한다.
-기저귀를 갈 때나, v/s check 시에는 빠르게 수행한다.
-차가운 손으로 신생아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항상 실내 온도를 체크하고 24~25도를 유지한다.
-신생아를 목욕시키기 전에는 미리 갈아입을 옷을 준비한다.
-신생아를 목욕 시킬 때에는 물 온도를 40도 정도로
생후 2~3일 후부터 녹색과 노란색이 섞인 이행변으로 변한다.
엄마의 모유량이 많아지면서 삼키기가 힘들어 구토와 사래가 생긴다.
생식계
가성월경
(pseudomenstration)
요산침착
가성월경이 없었다.
요산침착이 없었다.
모체 호르몬에 의하여 신생아에게도 어른의 월경처럼 끈끈한 점액과 피가 섞여서 나올 수 있다.
신장은 요산을 요산염 형태로 하루에 7~8mg/kg을 배출하는데 이 대사의 장애가 일어나면 대표적인 질병으로 통풍이 일어난다.
B. 기타특성
영역
항목
사정 결과
문헌고찰 및 비고
머리
두혈종
(cephalo hematoma)
머리 모양이 찌그러져 있음. 비대칭 형이다.
두개골의 골막과 골사이에 혈액이 축적되어 생긴 것으로 출생시 압력에 의해 골막의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한다.
피부
피부
한진
(miliaria)
간찰진
(intertrigo)
기저귀 발진
(diaper rash)
관찰하지 못했다.
관찰하지 못했다.
관찰하지 못했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땀이 분비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생긴다.
서로 접촉하는 피부면에 생기는 변화로, 짓무르거나 가려운 증상이 있다.
아기가 기저귀를 찬 채로 소변이나 대변을 보게 될 때 오줌 속에 있는 암모니아가 피부를 자극해서 생기게 되며, 기저귀 채우는 부위의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피부가 벗겨지면서 짓무르기도 한다.
체중
생리적 체중감소
(physiologic weight loss)
생후 1일째 115g정도 감소 했다가 생후 3일째 다시 체중이 늘기 시작 했다.
소변과 태변 배출로 인해 생후 몇일동안 출생시 체중의 5~10% 정도가 감소한다.
사지
움직임
(motion)
팔다리가 대칭적 움직임을 보였고, 굴곡 한 채로 움직이고 있었다.
팔다리가 대칭적 움직임을 보이며, 손가락 발가락이 붙어있지 않고 6번째 손가락 발가락이 없고, 발목의 움직임이 자유롭다. 엎드렸을때 팔 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흉부
유방팽륜
(breast engorgement)
유두가 불룩 솟아 있었다.
모체 호르몬에 의한 영향으로 유방이 충혈되거나 팽륜 될 수 있다.
년, 월, 일
진단번호
2차 수준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행동
자극
2009.06.03
제대 감염의 위험성
주관적:
“아이가 자꾸 울어요”
객관적:
“제대에 고름이 나 있다”
면역학적 방어 결핍
면역학적 방어 결핍과 관련된 제대감염의 위험성
장단기 목표 :
장기: 신생아는 1달내로 정상적인 제대탈락으로 배꼽이 잘 형성된다.
단기: 신생아는 3일내로 감염없이 제대의 정상적인 퇴화현상이 일어난다.
-신생아와 접촉 전에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목욕 후 제대 소독을 철저히 한다.
-기저귀를 찰 때에 제대를 드러나도록 하여 기저귀를 찬다.
-제대의 탈락현상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지 사정한다.
-기저귀를 찰 때에 제대 부위를 개방하고 기저귀를 찬다.
-신생아의 제대를 규칙적으로 알콜을 이용해 소독 한다.
-부모에게 제대 소독법에 대한 교육을 한다.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외부인의 출입을 금하고, 되도록 제대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처치를 되도록 신속히 하여 처치시간을 줄여서 제대가 오랜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신생아는 3일 내로 감염 없이 제대의 정상적인 퇴화현상이 진행 되었다.
년, 월, 일
진단번호
2차 수준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행동
자극
2009.06.04
체온 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주관적: 아랫 입술을 떨며 울고 있다.
객관적: 체온이 35.8도 이다.
환경온도의 변화
환경온도의 변화와 관련된 체온 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장단기 목표 :
장기: 신생아는 3일내로 정상적인 체온(36도~36.5도)을 유지한다.
단기: 신생아는 1시간 내로 정상적인 체온(36도~ 36.5도)으로 돌아온다.
-v/s check시에도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신생아를 만질 때 손을 따뜻하게 한다.
-실내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한다.
-미리 따뜻하게 해 높은 담요를 덮어준다.
-신생아를 목욕시킬 때 최대한 열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한다.
-radiant warmer안에 들어가게 한다.
-기저귀를 갈 때나, v/s check 시에는 빠르게 수행한다.
-차가운 손으로 신생아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항상 실내 온도를 체크하고 24~25도를 유지한다.
-신생아를 목욕시키기 전에는 미리 갈아입을 옷을 준비한다.
-신생아를 목욕 시킬 때에는 물 온도를 40도 정도로
추천자료
간호과정 사정도구- 임상환자의 case study 및 NANDA간호진단 적용
성인간호학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성인간호학-COPD에대한 case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과정(독거노인간호)
성인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간호진단][수술과 관련된 불안][수술과 관련된 통증][기동성 장애][지식부족]
지역사회 가족간호 케이스(case) / A+자료입니다. - SWOT, PEST 이론 간호사례에 적용 (가족...
<성인간호학>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및 병태생리
여성간호학 제왕절개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과정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간호과정 a+
폐부종 (pulmonary edema) - 폐부종 케이스 스터디, 폐부종 CASE STUDY, pulmonary edema 간...
아동간호학/폐렴/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아동폐렴
간호과정 case 외음부 암 vulva cancer 문헌고찰 모성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