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ⅰ.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Ⅲ. 결론
ⅰ.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Ⅲ. 결론
본문내용
호문제
① “수술한 다리가 쑤시는 듯 아파요”
② “밤에 다리가 욱신거려 잠을 잘 못자요”
③ 드레싱 중 Lt. foot이 Rt. foot보다 부은 것을 확인함.
④ Lt. long leg splint를 적용하고 있음.
⑤ 수술 후 3일 동안 prn으로 PCA를 적용함
⑥ 휠체어 보행을 함.
⑦ 수면시 표정을 찡그림.
⑧ “뒷꿈치가 욱신거려요”
⑨ “언제부터 발을 딛을 수 있나요?”
⑩ “화장실 갈 때는 목발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⑪ “3일 동안 변을 못 봤어요”
⑫ 일반혈액검사(12/20) : ESR ▲ 21, Platelet ▲ 573
⑬ 일반화학검사(12/20) : CRP ▲ 6.2
⑭ 효소면역검사(12/14) : anti-HAV Ab IgG (+:11.32)
⑮ 일반혈액검사(12/13) : Hematocrit ▽ 37.1, ESR ▲ 52
일반화학검사(12/13) : AST(GOT) ▲ 97, ALT(GPT) ▲ 87, CRP ▲ 106.3
V/S
120/80
72
20
36.5
110/70
68
20
36.4
120/80
74
22
36.3
130/90
78
20
36.6
설사 2번(12/19)
“병실이 너무 건조해서 그런지 목이 따끔해요”
“붕대가 너무 꽉 끼여요”
3.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밤에 다리가 욱신거려 잠을 잘 못자요”
·“수술한 다리가 쑤시는 듯 아파요”
·“뒷꿈치가 욱신거려요”
객관적 자료
·수면시 표정을 찡그림.
·수술 후 3일 동안 prn으로 PCA를 적용함
하지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단기 목표
· 5시간 내 통증 정도가 8/10에서 5/10으로 감소했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 일주일 내 통증정도가 8/10에서 3/10으로 감소했다고 말할 수 있다
·환자의 통증을 사정하고 인정한다
·환자가 통증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다.
·PCA의 사용법을 환자에게 다시 교육하고 PCA 부작용을 사정한다.
·심호흡과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관심전환요법을 통해 통증완화방법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실내환경을 정돈하여 환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쉴 수 있도록 한다.
·환자에게 가까운 사람이 환자의 곁에 있게 함으로써 통증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증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하였다.
→ 통증정도가 8, 7, 6, 5로 점차 감소하였다.
·환자에게 PCA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고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증완화를 위해 심호흡과 이완요법, 관심전환요법을 교육하였다.
환자가 \"아까보다 통증이 덜 하네요\"라고 말로 표현하였으므로 효과적을 통증이 조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증이 5점이하로 유지되었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언제부터 발을 딛을 수 있나요?”
·“화장실 갈 때는 목발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객관적 자료
·Lt. long leg splint를 적용하고 있음.
·휠체어 보행을 함.
수술부위 고정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단기목표
·일정 범위 안에서 일상생활을 하도록 한다
·환자가 불편이 감소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생리적인 안녕을 향상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환자의 일상생활에 재배열에 대해 논의한다
·일정기간 동안 휴식을 취하고 일상생활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도와준다
·일정범위 내에서 독립적인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준다
·적절한 운동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하도록 한다.
·안정을 권장하며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킨다
·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하고 재배열에 대해 논의하였다.
→ 화장실을 가는 것은 수술한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휠체어를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안정을 권장하며 점차적으로 활동증가를 권장하였다.
→ 수술부위 보호를 위해 자주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해야할 일들의 우선순위를 정해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적절한 운동에 대한 교육하였다.
→ 침상에서 다리 들어올리기와 다리에 힘을 주는 운동(등척성운동)을 교육하였다.
환자가 “운동도 하고 불편이 감소했다”라고 말로 표현하였으며 침상운동 등을 통해 생리적인 안녕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붕대가 너무 꽉 끼여요”
객관적 자료
·Lt. long leg splint를 적용하고 있음.
·드레싱 중 Lt. foot이 Rt. foot보다 부은 것을 확인함.
수술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단기목표
·환자가 붕대가 느슨함을 느끼고 붕대가 느슨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Lt Foot과 Rt Foot을 비교하여 부종이 감소한 것을 확인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교육하고 권장한다.
·침대의 발치를 20~30cm 거상하도록 교육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 120/80-72-20-36.5
110/70-70-20-36.3
120/80-74-20-36.4
활력징후는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교육하고 권장하였다.
→ 정맥귀환량 증가와 근육의 허약감 감소를 위해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권장하였다.
·침대의 발치를 20~30cm 거상하도록 교육하였다.
→ 수술부위(Lt leg)를 심장보다 높이 유지하여 정맥귀환량이 증가하도록 거상하도록 교육하였다.
환자가 “붕대가 느슨해졌어요”라고 말로 표현하였으며 침대의 발치를 올려 휴식을 취하고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 결론
· 연구결과
발목골절에 대하여 연구를 하며 발목골절의 위험성과 치료, 간호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고 현대인들이 발목골절 case study를 통해 발목골절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http://kmomnews.hankyung.com/news/apps/news.sub_view?popup=0&nid=05&c1=05&c2=05&c3=00&nkey=201111281440091
① “수술한 다리가 쑤시는 듯 아파요”
② “밤에 다리가 욱신거려 잠을 잘 못자요”
③ 드레싱 중 Lt. foot이 Rt. foot보다 부은 것을 확인함.
④ Lt. long leg splint를 적용하고 있음.
⑤ 수술 후 3일 동안 prn으로 PCA를 적용함
⑥ 휠체어 보행을 함.
⑦ 수면시 표정을 찡그림.
⑧ “뒷꿈치가 욱신거려요”
⑨ “언제부터 발을 딛을 수 있나요?”
⑩ “화장실 갈 때는 목발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⑪ “3일 동안 변을 못 봤어요”
⑫ 일반혈액검사(12/20) : ESR ▲ 21, Platelet ▲ 573
⑬ 일반화학검사(12/20) : CRP ▲ 6.2
⑭ 효소면역검사(12/14) : anti-HAV Ab IgG (+:11.32)
⑮ 일반혈액검사(12/13) : Hematocrit ▽ 37.1, ESR ▲ 52
일반화학검사(12/13) : AST(GOT) ▲ 97, ALT(GPT) ▲ 87, CRP ▲ 106.3
V/S
120/80
72
20
36.5
110/70
68
20
36.4
120/80
74
22
36.3
130/90
78
20
36.6
설사 2번(12/19)
“병실이 너무 건조해서 그런지 목이 따끔해요”
“붕대가 너무 꽉 끼여요”
3.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밤에 다리가 욱신거려 잠을 잘 못자요”
·“수술한 다리가 쑤시는 듯 아파요”
·“뒷꿈치가 욱신거려요”
객관적 자료
·수면시 표정을 찡그림.
·수술 후 3일 동안 prn으로 PCA를 적용함
하지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단기 목표
· 5시간 내 통증 정도가 8/10에서 5/10으로 감소했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 일주일 내 통증정도가 8/10에서 3/10으로 감소했다고 말할 수 있다
·환자의 통증을 사정하고 인정한다
·환자가 통증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다.
·PCA의 사용법을 환자에게 다시 교육하고 PCA 부작용을 사정한다.
·심호흡과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관심전환요법을 통해 통증완화방법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실내환경을 정돈하여 환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쉴 수 있도록 한다.
·환자에게 가까운 사람이 환자의 곁에 있게 함으로써 통증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증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하였다.
→ 통증정도가 8, 7, 6, 5로 점차 감소하였다.
·환자에게 PCA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고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증완화를 위해 심호흡과 이완요법, 관심전환요법을 교육하였다.
환자가 \"아까보다 통증이 덜 하네요\"라고 말로 표현하였으므로 효과적을 통증이 조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증이 5점이하로 유지되었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언제부터 발을 딛을 수 있나요?”
·“화장실 갈 때는 목발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객관적 자료
·Lt. long leg splint를 적용하고 있음.
·휠체어 보행을 함.
수술부위 고정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단기목표
·일정 범위 안에서 일상생활을 하도록 한다
·환자가 불편이 감소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생리적인 안녕을 향상시키는 활동에 참여한다
·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환자의 일상생활에 재배열에 대해 논의한다
·일정기간 동안 휴식을 취하고 일상생활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도와준다
·일정범위 내에서 독립적인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준다
·적절한 운동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하도록 한다.
·안정을 권장하며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킨다
·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하고 재배열에 대해 논의하였다.
→ 화장실을 가는 것은 수술한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휠체어를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안정을 권장하며 점차적으로 활동증가를 권장하였다.
→ 수술부위 보호를 위해 자주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해야할 일들의 우선순위를 정해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적절한 운동에 대한 교육하였다.
→ 침상에서 다리 들어올리기와 다리에 힘을 주는 운동(등척성운동)을 교육하였다.
환자가 “운동도 하고 불편이 감소했다”라고 말로 표현하였으며 침상운동 등을 통해 생리적인 안녕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 자료
·“붕대가 너무 꽉 끼여요”
객관적 자료
·Lt. long leg splint를 적용하고 있음.
·드레싱 중 Lt. foot이 Rt. foot보다 부은 것을 확인함.
수술과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단기목표
·환자가 붕대가 느슨함을 느끼고 붕대가 느슨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Lt Foot과 Rt Foot을 비교하여 부종이 감소한 것을 확인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교육하고 권장한다.
·침대의 발치를 20~30cm 거상하도록 교육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 120/80-72-20-36.5
110/70-70-20-36.3
120/80-74-20-36.4
활력징후는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교육하고 권장하였다.
→ 정맥귀환량 증가와 근육의 허약감 감소를 위해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권장하였다.
·침대의 발치를 20~30cm 거상하도록 교육하였다.
→ 수술부위(Lt leg)를 심장보다 높이 유지하여 정맥귀환량이 증가하도록 거상하도록 교육하였다.
환자가 “붕대가 느슨해졌어요”라고 말로 표현하였으며 침대의 발치를 올려 휴식을 취하고 다리의 등척성운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 결론
· 연구결과
발목골절에 대하여 연구를 하며 발목골절의 위험성과 치료, 간호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고 현대인들이 발목골절 case study를 통해 발목골절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http://kmomnews.hankyung.com/news/apps/news.sub_view?popup=0&nid=05&c1=05&c2=05&c3=00&nkey=201111281440091
추천자료
중환자실 두부손상 케이스 스터디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병태 생리 - 빈혈, 백혈병, 혈소판 결함, 응고 결함
[성인간호학]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병태생리) 산염기 불균형
[병태생리, 성인병, 당뇨병, 외상위험성, 통증, 뇌졸중]성인병의 병태생리, 당뇨병의 병태생...
[사례 연구] 성인간호학- 당뇨환자 case study
당뇨성 케톤산증(DKA : Dibetic keton acidosis)의 병태생리, 진단 및 치료
1.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 설명,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질환 중 심혈관계 질환, ...
성인간호학(신경,근골격)국시요약 - [성인간호학Ⅲ 핵심정리] 신경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
[여성간호] 자궁근무력증(IIOC) 병태생리
[여성간호] 자궁근무력증(IIOC)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