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신경,근골격)국시요약 - [성인간호학Ⅲ 핵심정리] 신경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 근골격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신경,근골격)국시요약 - [성인간호학Ⅲ 핵심정리] 신경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 근골격계의 건강문제와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인간호학Ⅲ 핵심정리>>

1. 신경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 신경계
● 실어증(Aphasia)
● 뇌신경(12)

2) 신경계의 건강사정
● 신경계 이상시 나타나는 임상증상
● MES(Mental status exam, 정신상태검사)
● GCS - Glasgow Coma Scale ★★(15점 만점)
● 의식수준(consciousness) 5단계
● 병적 반사
● 뇌막 자극증상 3개
● 신경계 진단검사

3) 신경학적 구조의 변화와 기능장애
● 뇌손상 부위에 따른 혼수환자의 호흡형태 ★
● 혼수환자 안구 움직임
● 혼수환자의 운동반응(구분★)
● ICP 상승 ★★ 5-15mmHg

4) 신경계 대상자 간호
(1) 뇌혈관성 질환 간호
● 뇌혈관성 질환, CVA
(2) 감염성 질환과 간호
● 수막염(뇌막염), 뇌염, 뇌농양
(3) 퇴행성 질환과 간호
● 파킨슨씨 병, 근육위축성 측색 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4) 두부손상
● 뇌진탕, 뇌좌상, 뇌열상, 경막하혈종, 경막상혈종, 뇌실질내 혈종, 두개골 골절
(5)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1.병태 생리
4.간호사정
5. 간호 계획과 중재

(6) 추간판탈출증(Disk,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7) 말초신경질환
(8) 말초신경 손상
(9) 뇌신경계 종양
(10) 발작성 장애(간질)
(11) 두통
(12)두개수술 후 간호



2. 근골격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 근골격계 간호는 부동에 대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임(Neurovascular assessment)

(1) 휴식과 안정
● 신경혈관상태사정 - Blanching test
● 신경혈관계 손상 -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 정복(reduction)
● 견인(traction)

1. 근골격계 손상
(1) 연조직 손상
(2) 골절
● 골절의 용어
● 골절의 치유단계
● 골절의 증상/징후/합병증
● Femur fx--> 노인 낙상에서 흔함
2. 관절염
3. 골대사 질환(골다공증
4. 근골격계 염증장애
5. 요통
6. 절단환자 간호
● 외상성 절단 부위 응급처치
● 외상성 절단 신체 부분 관리 ★
● 수술 직후 의지 착용 하지 절단술 간호
● 계단 오르내릴 때

본문내용

기형적, 혈관이 많은 뼈 형성
* 모세혈관 비후
* 척추, 대퇴, 두개골, 흉골과 골반뼈
5. 요통
1) 척추협착증(Spinal stenosis)
원인) 추간판이나 면관절 퇴행성 변화→관절 비후, 골주 등으로 인해 척수관이 좁아져 신경근 압박
증상) 둔부에서 하지에 저린 통증, 신경성 간헐성 파행(혈관성파행과 구분; 족배부/발목 맥박촉지; 일정거리를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아픔)
2)·강직성척추염(Ankylosing spondylosis)
고관절과 척추를 침범하는 만성 진행성 질환, 유전적 질환, 대나무척추(척추융합), HLA-B27 항원,
물리치료, 고관절대치술, 유전상담
6. 절단환자 간호
● 외상성 절단 부위 응급처치
▶절단부 상태 살핌 → 절단 부위 직접 압박/거상(불완전 절단시; 절단 부위와 연결부위를 같이 드레싱하고 거상) → 구조요청(by.☎)시 반드시 절단 pt임을 알림 → 압박드레싱, 출혈 정도 확인하여 지혈 안되면 지혈점 찾아 압박 → 계속 출혈 시 절단 부위 5cm 이내에서 고무줄 등으로 묶어 압박, 이때 압박을 시작한 시간 기록(지혈대 사용은 최후수단)
● 외상성 절단 신체 부분 관리 ★
▶사지 절단 시 절단 부위를 잘 보관하여 절단수지를 6시간 이내에 가져오는 경우 성공률 high
절단부위 보관) N/S로 깨끗이 씻은 후 멸균 거즈로 싸서 물이 새지 않는 비닐봉투나 플라스틱 용기에 넣음, 이를 다시 다른 비닐봉투에 넣고 주위에 물을 채운 후 얼음을 몇 조각 넣음
주의!!) 얼음이 직접 절단부위에 닿으면 안 됨,
● 수술 직후 의지 착용 하지 절단술 간호
▶수술 전 간호
1) 임박한 절단과 관련된 비통감
2) 임박한 절단 과정에 대한 지식부족
3) 절단과 예후와 관련된 불안감
4) 근육긴장도 저하로 인한 잠재적인 기동성 장애
5) 영양섭취부족과 관련된 피부손상 잠재성
6) 절단부의 손상이나 국소괴저와 관련된 안위장애
▶수술 후 간호
1) 목적
-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증진
- 절단부의 의지에 잘 맞고 보행 숙련
- 정신적, 경제적, 직업적 극복
2) 수술직후 간호
- 출혈, 배액관찰
- 부종 관찰: 24~48시간 절단부 상승
- 관절 구축 : 48시간 이후에는 거상 금지-이유: contracture 예방, 체위변경, 근육, 관절 운동
- 하지 절단부 외전 금지, 외회전 금지--> 외전베개
- 복위 good
- 통증완화 :
- 감염예방 : 통증 증가, 압통, 부종 증가, 봉합부위 피부괴저, 상처배액 증가, 농성 배액 유무
- 정서적지지
3) 수술 후 합병증
- 출혈 : 지혈대 준비
- 혈종 : 감염성 박테리아의 배지, 혈종 흡인
- 절단부 부종: 밀봉압력붕대 occlusive dressing
- 감염: 피부괴저
- 관절 구축 : 베개로 고여 놓기,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외회전 방지 위해 체위변경
- 환상지감phantom sensation; 절단부위가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설명, 수용
▶목발 걸음걸이(crutch walking)
① 목발에 대한 환자의 적응을 위해 용기를 준다
② sawed-off crutch를 주어 팔 굽혀 펴기 운동을 시킨다.
③ 목발에 기대지 않고, 걸을 때 체중을 지탱하여 겨드랑이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 목발마비(crutch paralysis)예방 ; 겨드랑이 압박--> 완신경총 손상--> 손 마비
④ 준비운동 : 팔과 어깨 근육 강화, 목발걸음 전 1-2일 서는 연습--> 앞으로 똑바로 보도록 어깨 구부리고 발을 보려고 한다. 팔굽혀 펴, trapeze(삼각 손잡이) 사용, 하지운동
⑤ 계단을 오를 때 환부다리와 목발을 함께 옮긴다.
난간이 있는 계단이녁ㅇ우, 한 손으로 난간을 잡고 다른 한 손에 양 목발을 잡고
오를 때--> 건강한 쪽 다리 대딛는다-->목발을 옮긴다-->불편한 다리를 끌어올린다.
내려올 때--> 목발을 옮긴다-->건강한 쪽 다리 내린다-->불편한 다리를 내린다.
⑤ crutch walking 의 종류
▶tripoid crutch gait(3각 교보 보행) : 발힘 없거나, 한쪽다리는 불완전, 반대편 다리 정상;
Left crutch → right crutch → 양발 모두 끌어놓기 or 양쪽 crutch → 양발 끌어놓기.
▶swing through crutch gait(흔들 or 그네 보행) : 고관절이나 다리 완전 마비, 하지에 힘이 없을 때 사용(걸음이 가장 빠름-->급한 일이 있을 때, 거리를 횡단할 때 사용)
ㄱ. 두 목발을 동시에 전진
ㄴ. 환자는 목발사이로 몸을 흔들어 목발 앞에 전진
ㄷ. 이를 계속 반복 양쪽 crutch → 양발 들어서 crutch 넘어 까지
▶ two-point gait(2점 보행) : 목발 걸음이 익숙한 사람에게 사용, 4점 보행보다 빠르고 자연스러운 보행법, 정상 보행에 가장 가까운 보행이다
ㄱ. 왼발과 오른쪽 목발을 동시에 내 딛고-->다음 오른발과 왼쪽 목발을 전진시킨다.
▶three-point gait(3점 보행) : 하지 중 한쪽을 못 쓸 때 가르쳐 준다. 석고붕대나 절단한 경우와 같이 한 발을 잘 쓰지 못할 때, 한쪽다리는 불완전하고 반대편 다리에 전 체중을 부하시킬 수 있는 경우
ㄴ. 목발을 앞으로 내민다.
ㄷ. 환부다리를 움직인다.
ㄹ. 건강한 다리를 움직인다.
▶four-point gait(4점 보행) : 양다리에
ㄱ. Left crutch → right leg → right crutch → left leg.
ㄴ. 가장 안전한 보행이다. 빨리 걸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 계단 오르내릴 때
가. Cane
Ascending : 건측 → 환측, cane.
Descending : 환측, cane → 건측.
나. Three point gait.
Ascending : 건측 → 환측, both crutch.
Descending : 환측, both crutch → 건측.
다. Two, four point gait.
Ascending : Rt. leg, Lt. leg → Rt. crutch, Lt. crutch.
Descending : Rt. crutch, Lt. crutch → Rt. leg, Lt. leg.
  • 가격1,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5.03.2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