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능주의
가. 기능이론의 사회관
나.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 와세이(L. H. Warshay)
다. 기능이론의 학교 교육에 대한 관점
라. 기능이론의 선발․배치 기능에 대한 관점
마. 기능이론적 교육관의 한계점과 비판
2. 갈등주의
가. 가. 갈등이론의 사회관
나. 갈등이론에 대한 비판
다. 갈등이론의 학교 교육에 대한 관점
라. 갈등이론의 선발․배치 기능에 대한 관점
마. 갈등이론적 교육관에 대한 비판
3. 해석학적 접근
가. 해석학적 접근의 기본가정
나. 해석학적 이론
(1) 상징적 상호작용론 - 미드(G. H. Mead)와 블루머(H. Blumer)
(가)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특징
(나)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교육에 대한 접근
(2) 현상학적 사회학 - 후설(E. Husserl)과 슈츠(A. Schutz)
(가) 현상학적 사회학의 주요 관심
(나) 현상학적 사회학의 교육에 대한 접근
(3) 민속방법론 - 가핑클(H. Garfinkel)
(가) 민속방법론의 주요 관심
다. 해석학적 접근의 학교 교육에 대한 이해
라. 해석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
가. 기능이론의 사회관
나.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 와세이(L. H. Warshay)
다. 기능이론의 학교 교육에 대한 관점
라. 기능이론의 선발․배치 기능에 대한 관점
마. 기능이론적 교육관의 한계점과 비판
2. 갈등주의
가. 가. 갈등이론의 사회관
나. 갈등이론에 대한 비판
다. 갈등이론의 학교 교육에 대한 관점
라. 갈등이론의 선발․배치 기능에 대한 관점
마. 갈등이론적 교육관에 대한 비판
3. 해석학적 접근
가. 해석학적 접근의 기본가정
나. 해석학적 이론
(1) 상징적 상호작용론 - 미드(G. H. Mead)와 블루머(H. Blumer)
(가)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특징
(나)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교육에 대한 접근
(2) 현상학적 사회학 - 후설(E. Husserl)과 슈츠(A. Schutz)
(가) 현상학적 사회학의 주요 관심
(나) 현상학적 사회학의 교육에 대한 접근
(3) 민속방법론 - 가핑클(H. Garfinkel)
(가) 민속방법론의 주요 관심
다. 해석학적 접근의 학교 교육에 대한 이해
라. 해석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주의적,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대한 반론으로 제기되었다.
2) 인간이 구성하고 있는 사회는 자연세계와는 다르다. 자연과학적 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3) 자연은 만들어진 것이고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변화하지 못하나, 사회는 인간이 만든 것이므로 사회와 개인 간에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행위는 자연현상처럼 객관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닌, 행위자의 입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나. 해석학적 이론
(1) 상징적 상호작용론 - 미드(G. H. Mead)와 블루머(H. Blumer)
(가)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특징
1) 개인의 자아의식 형성은 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각 개인은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다양한 상황에서 접하는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하여 자신을 알게 된다.
2)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주어진 의미를 중심으로 우리의 생활을 꾸린다.
3) 사회관계는 상호작용 관계에 있는 쌍방이 각각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상대방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예견하고, 서로간에 수용하고 용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황을 정의하여, 쌍방이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의 한계를 설정해 준다.
4) 사회의 정태적인, 불변하는 구조적 측면을 강조하는 기능주의 이론과는 달리, 사회를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관계로 봄으로써 사회의 과정적 측면을 강조한다.
(나)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교육에 대한 접근
학교의 상황과 그 속에서 교사와 학생이 처한 개인적 상황을 토대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상호작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2) 현상학적 사회학 - 후설(E. Husserl)과 슈츠(A. Schutz)
(가) 현상학적 사회학의 주요 관심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과학적 실증주의적 접근이 아니라 의식의 과정, 즉 행위자들의 주관적인 상태가 어떻게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생성되고 유지되며 또한 변화되는가에 관한 것이다.
(나) 현상학적 사회학의 교육에 대한 접근
교육 참여자들, 예컨대 학교관리자,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교육경험을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해주고 있다.
(3) 민속방법론 - 가핑클(H. Garfinkel)
(가) 민속방법론의 주요 관심
사실의 발견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재에 관한 의미를 구성하는 방법, 즉 보통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의미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상식적인 실천과 상식적인 방법을 관찰하고 기술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다. 해석학적 접근의 학교 교육에 대한 이해
1) 교육작용 역시 행위자의 차원에서 관찰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2) 교육과 사회를 설명함에 있어서 교사-학생의 상호관계 및 그 작용 등에 대한 연구와 참여관찰을 통해서 교육내적 과정을 설명한다.
3) 교육환경으로써 학교문화 등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시도한다.
4) 학교 및 교실에서 교사, 학생, 학부모, 또래집단, 교장 간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라. 해석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
1) 교사와 학생들의 유형이 어떻게 해서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설명이 없다.
2) 학생들의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육의 제도적인 측면을 소홀히 여겼다.
3) 교육의 능동성을 강조한 나머지 교육을 현실적으로 이해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말하자면 교육의 주체적인 성격을 너무 강조하다 보니까 교육을 비현실적으로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4)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주로 대결과 갈등의 관계로 파악하고, 이해, 협조, 존경, 칭찬 등 협력적 행동을 간과하고 있다.
5) 연구자는 행위자의 입장에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연구자의 관점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
6) 교사와 학생의 행동 및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사회적역사적 맥락과 교육에 제약을 주는 정치, 경제 등 외부적 요인을 경시한다.
<참고문헌>
※ 강의노트교안
※ 김신일 (2009) 『교육사회학』
※ 김영화 (2010) 『교육사회학』
※ 오욱환 (2003)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 차경수최충옥이미나 외 (2010) 『개정판 교육사회학의 이해』
※ 나항진김경수박성희 외 (2011) 『교육사회학』
※ 장재천 (2009)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천』
※ 김경식박형진윤주국 외 (2011) 『제3판 교육사회학』
※ 허은주유현정이수진 외 (2011) 『개정판 현대교육사회학』
※ 홍재호 (2010) 『교육사회학』
※ 김영광 (2011) 『가장 쉬운 GLORY 교육학 교육사회학』
※ 신재흡 (2011) 『교육사회학』
2) 인간이 구성하고 있는 사회는 자연세계와는 다르다. 자연과학적 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3) 자연은 만들어진 것이고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변화하지 못하나, 사회는 인간이 만든 것이므로 사회와 개인 간에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행위는 자연현상처럼 객관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닌, 행위자의 입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나. 해석학적 이론
(1) 상징적 상호작용론 - 미드(G. H. Mead)와 블루머(H. Blumer)
(가)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특징
1) 개인의 자아의식 형성은 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각 개인은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다양한 상황에서 접하는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하여 자신을 알게 된다.
2)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주어진 의미를 중심으로 우리의 생활을 꾸린다.
3) 사회관계는 상호작용 관계에 있는 쌍방이 각각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상대방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예견하고, 서로간에 수용하고 용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황을 정의하여, 쌍방이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의 한계를 설정해 준다.
4) 사회의 정태적인, 불변하는 구조적 측면을 강조하는 기능주의 이론과는 달리, 사회를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관계로 봄으로써 사회의 과정적 측면을 강조한다.
(나)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교육에 대한 접근
학교의 상황과 그 속에서 교사와 학생이 처한 개인적 상황을 토대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상호작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2) 현상학적 사회학 - 후설(E. Husserl)과 슈츠(A. Schutz)
(가) 현상학적 사회학의 주요 관심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과학적 실증주의적 접근이 아니라 의식의 과정, 즉 행위자들의 주관적인 상태가 어떻게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생성되고 유지되며 또한 변화되는가에 관한 것이다.
(나) 현상학적 사회학의 교육에 대한 접근
교육 참여자들, 예컨대 학교관리자,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교육경험을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해주고 있다.
(3) 민속방법론 - 가핑클(H. Garfinkel)
(가) 민속방법론의 주요 관심
사실의 발견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재에 관한 의미를 구성하는 방법, 즉 보통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의미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상식적인 실천과 상식적인 방법을 관찰하고 기술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다. 해석학적 접근의 학교 교육에 대한 이해
1) 교육작용 역시 행위자의 차원에서 관찰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2) 교육과 사회를 설명함에 있어서 교사-학생의 상호관계 및 그 작용 등에 대한 연구와 참여관찰을 통해서 교육내적 과정을 설명한다.
3) 교육환경으로써 학교문화 등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시도한다.
4) 학교 및 교실에서 교사, 학생, 학부모, 또래집단, 교장 간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라. 해석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
1) 교사와 학생들의 유형이 어떻게 해서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설명이 없다.
2) 학생들의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육의 제도적인 측면을 소홀히 여겼다.
3) 교육의 능동성을 강조한 나머지 교육을 현실적으로 이해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말하자면 교육의 주체적인 성격을 너무 강조하다 보니까 교육을 비현실적으로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4)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주로 대결과 갈등의 관계로 파악하고, 이해, 협조, 존경, 칭찬 등 협력적 행동을 간과하고 있다.
5) 연구자는 행위자의 입장에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연구자의 관점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
6) 교사와 학생의 행동 및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사회적역사적 맥락과 교육에 제약을 주는 정치, 경제 등 외부적 요인을 경시한다.
<참고문헌>
※ 강의노트교안
※ 김신일 (2009) 『교육사회학』
※ 김영화 (2010) 『교육사회학』
※ 오욱환 (2003)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 차경수최충옥이미나 외 (2010) 『개정판 교육사회학의 이해』
※ 나항진김경수박성희 외 (2011) 『교육사회학』
※ 장재천 (2009)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천』
※ 김경식박형진윤주국 외 (2011) 『제3판 교육사회학』
※ 허은주유현정이수진 외 (2011) 『개정판 현대교육사회학』
※ 홍재호 (2010) 『교육사회학』
※ 김영광 (2011) 『가장 쉬운 GLORY 교육학 교육사회학』
※ 신재흡 (2011) 『교육사회학』
추천자료
-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특징
- 청소년 비행 문제
- 뒤르켐이 본 우리 사회 - 사회변동과 이혼율, 자살율의 상관관계
- 하이데거의 사상 - 현상학과 해석학, 실존주의
- 미술치료의 연구
- 러시아 혁명해석사
- [비교행정][비교행정 접근방법][비교행정 접근과정][비교행정 쇠퇴와 진로]비교행정의 의미, ...
- 게슈탈트치료
- [토지가치세제, 토지가치세제 근거, 토지가치세제 필요성, 토지가치세제 특징, 토지가치세제 ...
-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교육학과 3학년] 양적 조사를 수행한 논문이나 보고서 중 하나를 선정...
- 아동이 그린 그림 심리검사 분석 및 해석
- [가족복지론] 가족치료의 역사와 특징 및 가족치료의 종류(유형)와 가족치료 사례 (보웬의 가...
- [보육학개론] 교수professor·학습 전략 - 질문전략, 관찰전략, 협동교수전략, 문제해결학습전...
- 뉴 스포츠 (New Sports) 뉴 스포츠의 정의, 역사, 분류, 특징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