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양복식
(1)근세복식
▷ 르네상스(16세기)
(2) 근대복식
▷ 엠파이어 스타일(1800~1820)
▷ 로맨틱 스타일(1820~1850)
▷ 크리놀린 스타일(1850~1870)
▷ 버슬 스타일(1870~1890)
(3)현대복식
▷ 1900년대 패선(아르누보 스타일시대)
▷ 1910년대 패선(아르데코 스타일시대)
▷ 1920년대 패선(보이쉬와 가르손느 스타일시대)
▷ 1930년대 패선(롱 & 슬림 스타일시대)
▷ 1940년대 패선(밀리터리 룩 스타일시대)
▷ 1950년대 패선(라인의 시대)
▷ 1960년대 패선(영 패션의 시대- Young fashion)
▷ 1970년대 패선(평등과 팬츠의 시대)
▷ 1980년대 패선(민속복식의 시대)
▷ 1990년대 패션
(1)근세복식
▷ 르네상스(16세기)
(2) 근대복식
▷ 엠파이어 스타일(1800~1820)
▷ 로맨틱 스타일(1820~1850)
▷ 크리놀린 스타일(1850~1870)
▷ 버슬 스타일(1870~1890)
(3)현대복식
▷ 1900년대 패선(아르누보 스타일시대)
▷ 1910년대 패선(아르데코 스타일시대)
▷ 1920년대 패선(보이쉬와 가르손느 스타일시대)
▷ 1930년대 패선(롱 & 슬림 스타일시대)
▷ 1940년대 패선(밀리터리 룩 스타일시대)
▷ 1950년대 패선(라인의 시대)
▷ 1960년대 패선(영 패션의 시대- Young fashion)
▷ 1970년대 패선(평등과 팬츠의 시대)
▷ 1980년대 패선(민속복식의 시대)
▷ 1990년대 패션
본문내용
는 주로 스커트와 소매에 나타났다. 스커트는 고어드(gored) 혹은 플레어(flare) 스커트였으며, 유연함과 운동감을 더하기 위해 스커트 길이가 더욱 길어져 바닥에 끌릴 정도였고, 스커트 단에는 선을 둘렀다. 하이 네크(high neck)에 레그 오브 머튼(leg of mutton) 소매나 퍼프 소매로, 상체는 부풀린 소매에 의해 강조되었다. 1890년부터 스커트의 실루엣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장식도 없어지고 단순해지는 반면, 관심의 초점이 상체의 어깨와 소매로 옮겨지면서 어깨를 장식하고 소매를 여러 형태로 부풀려주기 시작하였다. 인체의 곡선을 나타내면서 밖으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가슴은 앞으로 내밀게 되므로 옆에서 본 모양이 S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아우어글래스 스타일(hourglass style)은 S-커브 스타일로 바뀌게 되었다.
▷ 1910년대 패선(아르데코 스타일시대)
1) 사회적 배경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의 여향으로 19세기의 낭만주의와 에드워드 시대의 문화적 전통과 형식이 사라짐으로써 서구사회는 본격적인 근대화가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남성들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사회로 진출한 여성들의 생활양식의 변화로 여성들은 자유와 권리, 그리고 직업에 대해 점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1918년 이후 많은 나라에서 헌법에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을 인정하였고 여성들도 점차 전문적인 직업을 갖게 되었다. 한편 1917년에는 레닌이 볼셰비키 혁명으로 러시아 정권을 장악하여 20세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이념 대립을 예고하였다.
1910년대는 곡선적인 추상성의 아르누보로부터 기계적이고 기하학적 형태의 전환이 서서히 일어나 새로운 아르데코(Art-Deco)의 영향권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패션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는 1900년대 초반 상류층에 널리 퍼져 있었던 아르누보의 S-실루엣이 사라지고 아르데코의 영향으로 로우 웨이스트(low waist)의 직선형의 실루엣이 유행하였는데, 이는 여성스러움보다는 단순함을 강조한 디자인이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패션계는 침체되었지만, 오히려 이를 계기로 여성복의 본격적인 현대화가 이루어져 치마길이는 짧아지고 실질적이면서 기능적으로 변하였다. 색채는 밝고 강한 색채에서 대체로 가라앉은 색조인 회색ㆍ베이지ㆍ크림색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2) 복식의 기본형태와 특성
① 남자 복식
남자 복식은 빅토리아 시대의 규범의 약화와 스포트의 영향으로 격식이 완화되어 패드를 넣은 각진 어깨와 위는 풍성하고 바지부리는 점차 자연스러운형으로 변화되었다. 자연스러운 어깨형의 신사복은 허리가 들어가고 허리선이 약간 높은 재킷과 커프스가 있는 좁은 바지를 발목 뼈 위로 짧게 입어 양말과 구두가 드러났다. 이러한 스타일은 1900년대 코르셋을 입어 부자연스러운 S-실루엣에서 푸아레(poiret)의 허리선이 올라간 날씬한 스타일로 변화된 여성복과 매우 닮은 점을 알 수 있다.
② 여자 복식
이 시기 복식의 특징은 과장되고 딱딱한 종래의 실루엣을 완전히 벗어난 자유롭고 개성적인 스타일로 현대복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으며, 푸아레 스타일(poiret style)이 확립된 시기이다. 여자의 상의는 남자의 상의와 거의 같은 형으로 더블 칼라의 재킷과 롱 스커트의 테일러드 슈트(tailored suit)형이 애용되었다. 의복형이 직선적인 실루엣으로 변하자 코르셋도 외형에 맞추어 허리부분의 길이가 길어지고 신축성이 많은 천을 허리부분에 대었으며, 천의 이음새도 되도록 적게 하여 직선적으로 마무리시켰다.
▷ 1920년대 패선(보이쉬와 가르손느 스타일시대)
1) 사회적 배경
이 시기에는 미국이 승전과 군수산업의 확장으로 세계 경제에서 영향력이 커지면서 미국인들의 생활양식이 전 세계에 보급되었다. 이러한 물질적 번영을 배경으로 한 소비와 쾌락 추구의 시기가 1920년대이다. 사회ㆍ문화적 활동이 활성화되어 20세기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대중문화가 태동하게 되었으며, 젊은이들은 재즈와 스포츠에 열광하였다. 아르데코(Art-Deco)의 예술 사조와 독일의 바우하우스에 의한 기능주의 추구가 더욱 성숙단계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아르데코는 입체주의와 러시아 발레단의 형상과 색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24년에는 예술에 있어 초현실주의가 도입되었으며, 이국적 정취(exoticism)가 유행하였다.
여성들이 여자다움보다는 가슴을 납작하게 하고 허리 곡선을 완화시킨 스트레이트 발스 실루엣(straight box silhouette)을 선호하면서 스커트 길이도 짧게 하여 남장을 모방한 보이쉬 스타일(boyish style)이 1920년부터 나타났으며 1926년부터는 기본적인 실루엣에는 변함이 없고 다만 여성적인 분위기를 가미한 가르손느 스타일(garconne style)로 변하였다. 스크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스타킹, 구두, 벨트가 패션의 포인트가 되었으며 짧게 자른 활동적인 머리형이 유행하였다. 이 시대의 변화는 옷의 실루엣의 변화와 더불어,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의복의 선호로 인하여 속옷은 부피가 작아지고 가벼워졌으며 양도 감소되었다.
2)복식의 기본형태와 특성
① 남자 복식
남자 복식은 전반적으로 날씬해졌고 윈저공(Windsor公)이 유행의 선도자가 되었다. 또한 20인치 폭의 밑단 넓이에 커프스를 댄 바지 스타일인 옥스퍼드 백(oxford bags)과 여유가 많으면서 무릎 아래를 매는 니커즈가 유행하였다. 외투로는 부드러운 셔츠와 더블로 여미는 발스(box)형태의 오버코트 형태가 유행하였고 레인코트가 등장하였다.
② 여자 복식
2차원의 큐비즘과 기능주의의 영향으로 여성들의 의상은 직선형 실루엣의 기능적이며 현대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는 당시 사회의 개방적인 무드와 효율성을 강조한 모더니즘이 복식에 반영된 것으로 스커트 길이는 짧고 가슴은 납작하여 마치 소년과 같다고 하여 보이쉬 스타일 또는 가르손느 스타일이라 하였다. 보이쉬 스타일은 직선의 짧은 머리, 어깨로부터 직선으로 떨어지는 가슴이 납작한 짧은 드레스, 엉덩이까지 낮아진 웨이스트를 특징으로 하며 여성의 신체 곡선을 무시하는 실루엣이었다. 여성들은
▷ 1910년대 패선(아르데코 스타일시대)
1) 사회적 배경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의 여향으로 19세기의 낭만주의와 에드워드 시대의 문화적 전통과 형식이 사라짐으로써 서구사회는 본격적인 근대화가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남성들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사회로 진출한 여성들의 생활양식의 변화로 여성들은 자유와 권리, 그리고 직업에 대해 점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1918년 이후 많은 나라에서 헌법에 남성과 여성의 동등권을 인정하였고 여성들도 점차 전문적인 직업을 갖게 되었다. 한편 1917년에는 레닌이 볼셰비키 혁명으로 러시아 정권을 장악하여 20세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이념 대립을 예고하였다.
1910년대는 곡선적인 추상성의 아르누보로부터 기계적이고 기하학적 형태의 전환이 서서히 일어나 새로운 아르데코(Art-Deco)의 영향권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패션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는 1900년대 초반 상류층에 널리 퍼져 있었던 아르누보의 S-실루엣이 사라지고 아르데코의 영향으로 로우 웨이스트(low waist)의 직선형의 실루엣이 유행하였는데, 이는 여성스러움보다는 단순함을 강조한 디자인이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패션계는 침체되었지만, 오히려 이를 계기로 여성복의 본격적인 현대화가 이루어져 치마길이는 짧아지고 실질적이면서 기능적으로 변하였다. 색채는 밝고 강한 색채에서 대체로 가라앉은 색조인 회색ㆍ베이지ㆍ크림색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2) 복식의 기본형태와 특성
① 남자 복식
남자 복식은 빅토리아 시대의 규범의 약화와 스포트의 영향으로 격식이 완화되어 패드를 넣은 각진 어깨와 위는 풍성하고 바지부리는 점차 자연스러운형으로 변화되었다. 자연스러운 어깨형의 신사복은 허리가 들어가고 허리선이 약간 높은 재킷과 커프스가 있는 좁은 바지를 발목 뼈 위로 짧게 입어 양말과 구두가 드러났다. 이러한 스타일은 1900년대 코르셋을 입어 부자연스러운 S-실루엣에서 푸아레(poiret)의 허리선이 올라간 날씬한 스타일로 변화된 여성복과 매우 닮은 점을 알 수 있다.
② 여자 복식
이 시기 복식의 특징은 과장되고 딱딱한 종래의 실루엣을 완전히 벗어난 자유롭고 개성적인 스타일로 현대복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으며, 푸아레 스타일(poiret style)이 확립된 시기이다. 여자의 상의는 남자의 상의와 거의 같은 형으로 더블 칼라의 재킷과 롱 스커트의 테일러드 슈트(tailored suit)형이 애용되었다. 의복형이 직선적인 실루엣으로 변하자 코르셋도 외형에 맞추어 허리부분의 길이가 길어지고 신축성이 많은 천을 허리부분에 대었으며, 천의 이음새도 되도록 적게 하여 직선적으로 마무리시켰다.
▷ 1920년대 패선(보이쉬와 가르손느 스타일시대)
1) 사회적 배경
이 시기에는 미국이 승전과 군수산업의 확장으로 세계 경제에서 영향력이 커지면서 미국인들의 생활양식이 전 세계에 보급되었다. 이러한 물질적 번영을 배경으로 한 소비와 쾌락 추구의 시기가 1920년대이다. 사회ㆍ문화적 활동이 활성화되어 20세기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대중문화가 태동하게 되었으며, 젊은이들은 재즈와 스포츠에 열광하였다. 아르데코(Art-Deco)의 예술 사조와 독일의 바우하우스에 의한 기능주의 추구가 더욱 성숙단계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아르데코는 입체주의와 러시아 발레단의 형상과 색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1924년에는 예술에 있어 초현실주의가 도입되었으며, 이국적 정취(exoticism)가 유행하였다.
여성들이 여자다움보다는 가슴을 납작하게 하고 허리 곡선을 완화시킨 스트레이트 발스 실루엣(straight box silhouette)을 선호하면서 스커트 길이도 짧게 하여 남장을 모방한 보이쉬 스타일(boyish style)이 1920년부터 나타났으며 1926년부터는 기본적인 실루엣에는 변함이 없고 다만 여성적인 분위기를 가미한 가르손느 스타일(garconne style)로 변하였다. 스크트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스타킹, 구두, 벨트가 패션의 포인트가 되었으며 짧게 자른 활동적인 머리형이 유행하였다. 이 시대의 변화는 옷의 실루엣의 변화와 더불어,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의복의 선호로 인하여 속옷은 부피가 작아지고 가벼워졌으며 양도 감소되었다.
2)복식의 기본형태와 특성
① 남자 복식
남자 복식은 전반적으로 날씬해졌고 윈저공(Windsor公)이 유행의 선도자가 되었다. 또한 20인치 폭의 밑단 넓이에 커프스를 댄 바지 스타일인 옥스퍼드 백(oxford bags)과 여유가 많으면서 무릎 아래를 매는 니커즈가 유행하였다. 외투로는 부드러운 셔츠와 더블로 여미는 발스(box)형태의 오버코트 형태가 유행하였고 레인코트가 등장하였다.
② 여자 복식
2차원의 큐비즘과 기능주의의 영향으로 여성들의 의상은 직선형 실루엣의 기능적이며 현대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는 당시 사회의 개방적인 무드와 효율성을 강조한 모더니즘이 복식에 반영된 것으로 스커트 길이는 짧고 가슴은 납작하여 마치 소년과 같다고 하여 보이쉬 스타일 또는 가르손느 스타일이라 하였다. 보이쉬 스타일은 직선의 짧은 머리, 어깨로부터 직선으로 떨어지는 가슴이 납작한 짧은 드레스, 엉덩이까지 낮아진 웨이스트를 특징으로 하며 여성의 신체 곡선을 무시하는 실루엣이었다. 여성들은
추천자료
액성한계시험과 소성한계시험 예비 report
여성범죄에 관한 Report
순환기계 REPORT
삼성전자의 인사평가 시스템에 관한 Report
댄스스포츠에 대한 report
아스팔트포장설계(REPORT)
우리나라신화와 서양신화의 비교 report (홍익인간의 이해 단국대)
Bronchial Asthma case report
기업 문화론_멘스웨어하우스 (인간중심 경영), Menswear house Report
AVR을 이용한 적외선 센서(PSD)의 거리측정 (거리측정하기,장애물감지,PSD센서,GP2Y0A21,회로...
아동 수족구병 Case Report (간호과정5개)
Business Report on Ritz-Carlton hotel
기계기초basis of machine 실험-금속 재료의 인장 시험 Report
생물정보공학engineering _기말 질병과 이와 관련된 유전자 repo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