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2
B. 연구 대상 및 방법 ----------------------------------------- 2
Ⅱ. 본론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 3
2. 질병의 병태 생리 --------------------------------------- 5
3. 진단 검사 -------------------------------------------- 5
4. 증상 -------------------------------------------------- 6
5. 치료 및 간호 -------------------------------------------- 8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 10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① 환자 간호력
② 성장 및 발달사정
③ 가족사정
④ 입원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반응 및 간호
⑤ 검사소견
⑥ 치료경과 : (1) 진단명
(2) 치료의 종류(약물, 수술, 특별식이 등 포함)
(3) 목적
(4) 결과
2. 간호진단 --------------------------------------------- 19
1) 객관적 ・ 주관적 자료의 분석과 종합
(Maslow의 기본욕구, Erikson의 발달과업)
2) 실제적, 잠재적 문제를 EPS(etiology, problem, signs&symptoms)system으로 서술
: NANDA에서 개발한 진단명으로 서술
3. 간호계획
1) 간호목적(장기, 단기)
2) 간호활동 계획, 이론적 근거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 22
[참고문헌]-------------------------------------------------- 22
A. 연구의 필요성 --------------------------------------------- 2
B. 연구 대상 및 방법 ----------------------------------------- 2
Ⅱ. 본론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 3
2. 질병의 병태 생리 --------------------------------------- 5
3. 진단 검사 -------------------------------------------- 5
4. 증상 -------------------------------------------------- 6
5. 치료 및 간호 -------------------------------------------- 8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 10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① 환자 간호력
② 성장 및 발달사정
③ 가족사정
④ 입원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반응 및 간호
⑤ 검사소견
⑥ 치료경과 : (1) 진단명
(2) 치료의 종류(약물, 수술, 특별식이 등 포함)
(3) 목적
(4) 결과
2. 간호진단 --------------------------------------------- 19
1) 객관적 ・ 주관적 자료의 분석과 종합
(Maslow의 기본욕구, Erikson의 발달과업)
2) 실제적, 잠재적 문제를 EPS(etiology, problem, signs&symptoms)system으로 서술
: NANDA에서 개발한 진단명으로 서술
3. 간호계획
1) 간호목적(장기, 단기)
2) 간호활동 계획, 이론적 근거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 22
[참고문헌]-------------------------------------------------- 22
본문내용
기관지염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Amino, Levotus, Atock, Acetyle을 용법에 맞게 복용하고 있고, 하부의 호흡기감염증 역시 천식 치료를 위하여 Sulbacillin을 투여받고 있다. 또한 혹시 기관지 염증으로 인해 fever가 생길 수 있으므로 Tylenol이 PRN으로 되어있다.
(4) 결과
기관지천식 med를 복용함으로써 증상이 완화 되고, 점차 cough, dyspnea가 완화된다.
2. 간호진단
#1.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1.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단기목표 : 기침이 줄어들고 분당 호흡률이 정상범위에 속한다.
◆ 장기목표 : 정상적인 호흡양상이 유지된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아이가 기침을 너무 많이 해요”(보호자)
“가슴이 답답해요”
-진단명 : BA
- Respiration
day
9/28
9pm
9/29
10am
9/29
5pm
RR
36회
40회
40회
* 아동 정상 호흡 수치 : 20-30회/분
-WBC수치가 10.9로 정상치인 4.08~10.8보다 높다.
-호흡음 청진시 그르렁 소리가 난다.
-cough을 하면서 얼굴이 빨개짐.
①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③ 처방에 따라 체위 배액을 시행한다.
④처방에 따라 흡입치료를 한다.
⑤처방에 따라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①활력징후는 이상상태를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이다.
②수분을 섭취함으로써 점액배출을 증진시켜 분비물의 액화를 돕기 위함이다.
③체위와 배액은 폐로부터 중력을 이용해 분비물의 배출을 돕는 것이다. 배액에 의해 폐의 특정한 분절의 분비물이 주기관지와 기도에서 제거되고 환자는 기침과 배출로 폐를 깨끗이 할 수 있다.
④ventolin은 기관지를 확장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budecort는 기관지의 염증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⑤호흡곤란과 기관지천식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용법/용량, 효과/효능에 따라서 약물을 복용한다.
①대상자의 활력징후를 q4로 측정하였고 특히 호흡양상을 관찰했다.(흉곽 움직임, 수, 리듬, 깊이)
②대상자에게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③체위배액을 시행하였다.
④흡인치료를 시행하였다.(ventolin, budecort)
⑤처방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였다(RN).
- Levotus7.5cc, Atock ½g, Acetyle 1g, sulbacillin 1200㎎, Amino 30㎎
①Respiration이 정상 수치를 유지했다.
day
9/30
10am
9/30
5pm
10/1
10am
RR
36회
32회
30회
②호흡하는데 있어서 점차 편해졌다.
③dyspnea 증상이 점차 완화되었다.
④cough하는 횟수가 감소되었다
⑤호흡하는데 있어 편해했다.
#2.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 단기목표 : 대상자가 자신의 질병과 치료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장기목표 : 대상자의 불안이 사라진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그냥 집에 가면안돼요?”
“여기선 잠이 안와요”
“천식이 완치될순 있나요?”(보호자)
“집에서는 잘먹었는데 병원에 온 이후로 아이가 밥을 잘 안먹으려고 해요”
-환아는 무표정을 하고 있고 말을 걸면 거부함
-목소리가 작고 힘이 없음
①환아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정서적 지지를 한다.
②기관지천식의 원인,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③호흡기치료방법을 교육하였다.
④명상요법을 시행하도록 한다.
①정서적 지지를 통해 불안감을 완화시킨다.
②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치료에 대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④명상요법은 심적인 안정을 갖게 해주며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①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②기관지천식의 원인, 증상에 대해 교육하였다.
③호흡기치료 방법을 교육하였다.
호흡기치료 후 입안을 잘 헹구도록 하였다.
④명상요법을 시행하도록 했다.
①보호자는 불안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했다.
②보호자는 B-A의 원인과 증상을 말할 수 있었다.
③환아의 질병의 치료방법을 알고, 올바르게 흡입치료를 하시행하였다.
④환아의 표정이 밝아졌다.
Ⅲ.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2010년 9월 28일부터 기독교병원 서3병동에 내원한 김○○님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김○○님은 8세 여환아로 입원 하루 전 갑자기 cough, dyspnea 증상이 나타나 본원 ER에서 Bronchial Asthma 진단받은 환아이다.
이 대상자의 주요 간호 문제는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었으며, 대상자의 갑작스런 질병 발병으로 인해 대상자와 대상자의 부모님이 정서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어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으로 간호진단을 내렸다. 이러한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올바른 간호수행을 하기위해서 대상자와 관련된 카덱스와 Doctor order지를 분석하고, 파악하였으며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간호수행을 하였다.
첫 번째 간호진단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을 중재하기 위하여 호흡수를 v/s시에 파악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증상의 변화를 물어보고, 그에 맞는 간호수행을 하였다. 두 번째 간호진단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이라 내렸다. 이에 대해서는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으며, 막연히 질환에 대해서 알고 더욱 불안해했기 때문에 질환에 대한 설명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서 불안감이 완화되도록 하였다.
Bronchial Asthma는 입원기간이 길지 않으며, 재발율도 높기 때문에 환아를 관찰하여 정확한 간호진단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간호수행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송지호 외,(2009)「아동 간호학 」, 현문사.
2. 홍창의 편,(2007)「소아과학」,대한교과서(주).
3. Nicki L. Potts 외,(2007)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4. 전시자 외 공저. 간호과정. 현문사, 2004.
5. http://www.druginfo.co.kr/
6. http://www.snuh.org/
(4) 결과
기관지천식 med를 복용함으로써 증상이 완화 되고, 점차 cough, dyspnea가 완화된다.
2. 간호진단
#1.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1.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단기목표 : 기침이 줄어들고 분당 호흡률이 정상범위에 속한다.
◆ 장기목표 : 정상적인 호흡양상이 유지된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아이가 기침을 너무 많이 해요”(보호자)
“가슴이 답답해요”
-진단명 : BA
- Respiration
day
9/28
9pm
9/29
10am
9/29
5pm
RR
36회
40회
40회
* 아동 정상 호흡 수치 : 20-30회/분
-WBC수치가 10.9로 정상치인 4.08~10.8보다 높다.
-호흡음 청진시 그르렁 소리가 난다.
-cough을 하면서 얼굴이 빨개짐.
①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③ 처방에 따라 체위 배액을 시행한다.
④처방에 따라 흡입치료를 한다.
⑤처방에 따라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①활력징후는 이상상태를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이다.
②수분을 섭취함으로써 점액배출을 증진시켜 분비물의 액화를 돕기 위함이다.
③체위와 배액은 폐로부터 중력을 이용해 분비물의 배출을 돕는 것이다. 배액에 의해 폐의 특정한 분절의 분비물이 주기관지와 기도에서 제거되고 환자는 기침과 배출로 폐를 깨끗이 할 수 있다.
④ventolin은 기관지를 확장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budecort는 기관지의 염증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⑤호흡곤란과 기관지천식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용법/용량, 효과/효능에 따라서 약물을 복용한다.
①대상자의 활력징후를 q4로 측정하였고 특히 호흡양상을 관찰했다.(흉곽 움직임, 수, 리듬, 깊이)
②대상자에게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③체위배액을 시행하였다.
④흡인치료를 시행하였다.(ventolin, budecort)
⑤처방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였다(RN).
- Levotus7.5cc, Atock ½g, Acetyle 1g, sulbacillin 1200㎎, Amino 30㎎
①Respiration이 정상 수치를 유지했다.
day
9/30
10am
9/30
5pm
10/1
10am
RR
36회
32회
30회
②호흡하는데 있어서 점차 편해졌다.
③dyspnea 증상이 점차 완화되었다.
④cough하는 횟수가 감소되었다
⑤호흡하는데 있어 편해했다.
#2.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 단기목표 : 대상자가 자신의 질병과 치료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장기목표 : 대상자의 불안이 사라진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그냥 집에 가면안돼요?”
“여기선 잠이 안와요”
“천식이 완치될순 있나요?”(보호자)
“집에서는 잘먹었는데 병원에 온 이후로 아이가 밥을 잘 안먹으려고 해요”
-환아는 무표정을 하고 있고 말을 걸면 거부함
-목소리가 작고 힘이 없음
①환아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정서적 지지를 한다.
②기관지천식의 원인,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③호흡기치료방법을 교육하였다.
④명상요법을 시행하도록 한다.
①정서적 지지를 통해 불안감을 완화시킨다.
②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치료에 대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④명상요법은 심적인 안정을 갖게 해주며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①정서적 지지를 해주었다.
②기관지천식의 원인, 증상에 대해 교육하였다.
③호흡기치료 방법을 교육하였다.
호흡기치료 후 입안을 잘 헹구도록 하였다.
④명상요법을 시행하도록 했다.
①보호자는 불안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했다.
②보호자는 B-A의 원인과 증상을 말할 수 있었다.
③환아의 질병의 치료방법을 알고, 올바르게 흡입치료를 하시행하였다.
④환아의 표정이 밝아졌다.
Ⅲ.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2010년 9월 28일부터 기독교병원 서3병동에 내원한 김○○님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김○○님은 8세 여환아로 입원 하루 전 갑자기 cough, dyspnea 증상이 나타나 본원 ER에서 Bronchial Asthma 진단받은 환아이다.
이 대상자의 주요 간호 문제는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었으며, 대상자의 갑작스런 질병 발병으로 인해 대상자와 대상자의 부모님이 정서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어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으로 간호진단을 내렸다. 이러한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올바른 간호수행을 하기위해서 대상자와 관련된 카덱스와 Doctor order지를 분석하고, 파악하였으며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간호수행을 하였다.
첫 번째 간호진단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을 중재하기 위하여 호흡수를 v/s시에 파악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증상의 변화를 물어보고, 그에 맞는 간호수행을 하였다. 두 번째 간호진단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이라 내렸다. 이에 대해서는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으며, 막연히 질환에 대해서 알고 더욱 불안해했기 때문에 질환에 대한 설명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서 불안감이 완화되도록 하였다.
Bronchial Asthma는 입원기간이 길지 않으며, 재발율도 높기 때문에 환아를 관찰하여 정확한 간호진단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간호수행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송지호 외,(2009)「아동 간호학 」, 현문사.
2. 홍창의 편,(2007)「소아과학」,대한교과서(주).
3. Nicki L. Potts 외,(2007)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4. 전시자 외 공저. 간호과정. 현문사, 2004.
5. http://www.druginfo.co.kr/
6. http://www.snuh.org/
추천자료
Mycoplasma pneumonia 케이스
심부전 케이스스터디
PED CASE 소아과 케이스
폐암 lung cancer 케이스
간호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폐렴(뉴모니아), pneumonia
비소세포암(NSCLCa) 사례연구보고서, 케이스스터디
PICU, Pneumonia, 폐렴케이스
Pneumonia(폐렴) A+케이스스터디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A+케이스스터디
아동 폐렴(pneumonia) 케이스
성인간호학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아동간호학!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호흡기계 간호과정 적용가능!
성인 폐암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