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개요
1.선정하게 된 이유
2.기업소개
3.기업연혁
4.브랜드 소개
5.라벨의 의미
Ⅱ본론
1.좋은데이의 성공전략
1)대학생 지원프로젝트
2)여성공략
3)시음행사
4)BLAND NAME
5)활발한 구전활동
6)경영진의 활발한 지원
7) 무학 상표 없는 좋은데이
8) 국내 최초 6본입 비닐 랩핑 도입
9) 내부 마케팅(종업원에게 지원하는 복지혜택)
10) 병뚜껑을 모아라! CGV 티켓 할인
2. 기업전략
1)STP전략
2)마케팅 4P 전략
Ⅲ결론
1)결론
1.좋은데이의 설문조사
2. 느낀점
1.선정하게 된 이유
2.기업소개
3.기업연혁
4.브랜드 소개
5.라벨의 의미
Ⅱ본론
1.좋은데이의 성공전략
1)대학생 지원프로젝트
2)여성공략
3)시음행사
4)BLAND NAME
5)활발한 구전활동
6)경영진의 활발한 지원
7) 무학 상표 없는 좋은데이
8) 국내 최초 6본입 비닐 랩핑 도입
9) 내부 마케팅(종업원에게 지원하는 복지혜택)
10) 병뚜껑을 모아라! CGV 티켓 할인
2. 기업전략
1)STP전략
2)마케팅 4P 전략
Ⅲ결론
1)결론
1.좋은데이의 설문조사
2. 느낀점
본문내용
Ⅰ개요
1.선정하게 된 이유
신문기사
\'좋은데이\' 1억병 판매…무학, 소주 점유율 3위
출시 3년 5개월 만의 도약 전국 저도소주 시장 돌풍
알코올도수 16.9도의 \'좋은데이\'가 출시 3년5개월 만에 1억 병이 팔렸다. 이 같은 돌풍에 힘입어 (주)무학의 전국 소주시장 점유율 순위가 전국 10개 업체 중 금복주와 대선주조를 제치고 5위에서 3위로 도약했다. 진로(참이슬)와 롯데주류(처음처럼) 같은 전국을 무대로 한 소주업체를 제외하면 지역 소주업체로서는 사실상 1위인 셈이다.
무학은 2006년 11월 출시한 \'좋은데이\'가 2008년까지 월 판매량이 200만 병 이하였으나 지난해부터 400만 병으로 껑충 뛰었고, 지난달 760만 병에 육박하면서 지난 14일 1억 병 판매를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부산 경남지역 소주시장 규모(월평균 판매량 4000만 병)를 고려하면 \'좋은데이\'의 시장점유비는 19%에 달한다. 부산 경남지역 소비자 다섯 명 중 한 명꼴로 \'좋은데이\'를 마시는 셈이다. 무학 마케팅사업부 이시훈 과장은 \"젊은 층과 여성은 물론 애주가도 부드러운 소주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좋은데이\' 덕택에 무학의 전국 소주시장점유율은 2006년 11월 7.4%(5위)에서 지난 2월 9.0%(3위)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에 따라 대선주조는 저도소주의 파란으로 촉발된 지역 소주업계의 판도 변화에 비상이 걸렸다. 대선주조는 지난해 \'좋은데이\'의 경쟁상품으로 도수를 더 낮춘 16.7도의 \'봄봄\'을 출시했다. 지난해 대주주인 신준호 푸르밀(옛 롯데우유) 회장에 대한 검찰의 장기 수사로 판매망이 흐트러진 틈을 타 \'좋은데이\'가 시장을 잠식한 것으로 보고 올해는 조직을 재정비해 지역 소주업계 1위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오상준 기자 letitbe@kookje.co.kr
- 국제신문(www.kookje.co.kr)
대학교 1학년 때만 하더라도 학과 모임이나 다른 행사를 하였을 때 거의 대부분이 시원소 주를 시켰었고 심지어 예비대를 갔을 때도 시원소주를 마셨었다. 하지만 요즘은 거의 모든행사에서 좋은데이를 마시며 심지어 이번 ‘경영인의 밤’행사에서도 좋은데이를 마셨다. 그래서 우리조는 어떻게 해서 좋은데이가 시원소주를 이기고 높은 소주시장의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었는지가 궁금해
1.선정하게 된 이유
신문기사
\'좋은데이\' 1억병 판매…무학, 소주 점유율 3위
출시 3년 5개월 만의 도약 전국 저도소주 시장 돌풍
알코올도수 16.9도의 \'좋은데이\'가 출시 3년5개월 만에 1억 병이 팔렸다. 이 같은 돌풍에 힘입어 (주)무학의 전국 소주시장 점유율 순위가 전국 10개 업체 중 금복주와 대선주조를 제치고 5위에서 3위로 도약했다. 진로(참이슬)와 롯데주류(처음처럼) 같은 전국을 무대로 한 소주업체를 제외하면 지역 소주업체로서는 사실상 1위인 셈이다.
무학은 2006년 11월 출시한 \'좋은데이\'가 2008년까지 월 판매량이 200만 병 이하였으나 지난해부터 400만 병으로 껑충 뛰었고, 지난달 760만 병에 육박하면서 지난 14일 1억 병 판매를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부산 경남지역 소주시장 규모(월평균 판매량 4000만 병)를 고려하면 \'좋은데이\'의 시장점유비는 19%에 달한다. 부산 경남지역 소비자 다섯 명 중 한 명꼴로 \'좋은데이\'를 마시는 셈이다. 무학 마케팅사업부 이시훈 과장은 \"젊은 층과 여성은 물론 애주가도 부드러운 소주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좋은데이\' 덕택에 무학의 전국 소주시장점유율은 2006년 11월 7.4%(5위)에서 지난 2월 9.0%(3위)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에 따라 대선주조는 저도소주의 파란으로 촉발된 지역 소주업계의 판도 변화에 비상이 걸렸다. 대선주조는 지난해 \'좋은데이\'의 경쟁상품으로 도수를 더 낮춘 16.7도의 \'봄봄\'을 출시했다. 지난해 대주주인 신준호 푸르밀(옛 롯데우유) 회장에 대한 검찰의 장기 수사로 판매망이 흐트러진 틈을 타 \'좋은데이\'가 시장을 잠식한 것으로 보고 올해는 조직을 재정비해 지역 소주업계 1위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오상준 기자 letitbe@kookje.co.kr
- 국제신문(www.kookje.co.kr)
대학교 1학년 때만 하더라도 학과 모임이나 다른 행사를 하였을 때 거의 대부분이 시원소 주를 시켰었고 심지어 예비대를 갔을 때도 시원소주를 마셨었다. 하지만 요즘은 거의 모든행사에서 좋은데이를 마시며 심지어 이번 ‘경영인의 밤’행사에서도 좋은데이를 마셨다. 그래서 우리조는 어떻게 해서 좋은데이가 시원소주를 이기고 높은 소주시장의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었는지가 궁금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