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그러므로 B 대상도 속성 d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원인 설정의 논리적 방법.
1)일치법:동일한 결과를 일으키는 선행 정황들 가운데서 오직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정황을
찾아내어, 그것이 연구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 B, C a
(2) A, D, E a
(3) A, F, G a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2)차이법:연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여 그것들에 선행하는
조건들 중에서 모든 것이 같은데 단 한 개의 조건에만 차이가 날 때, 이 차이나는
조건이 바로 연구되는 현상이라고 인정하는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 B, C a
(2) -- D, E ---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3)일치 차이 병용법:연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몇 개의 경우에는 한 가지 공통된 정황이 존재하며,
연구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런 정황이 없다면, 이 정황이 곧
연구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논리적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 B, C a ---+
(2) A, D, E a | 적극 사례
(3) A, F, G a ---+
( 1’) B, M, N -- ---+
( 2’) D, O, P -- | 소극 사례
( 3’) F1, Q, R -- ---+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4)공변법:연구되는 현상이 변화함에 따라 다른 현상도 변하한다면, 이 변화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논리적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1, B, C a1
(2) A2, B, C a2
(3) A3, B, C a3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5)잉여법:선택하는 합성적인 현상이 후행하는 합성적인 현상의 원인이며, 선행하는 현상
중의 일부분이 후행하는 현상 중의 일부분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에, 선행하는
현상 중의 나머지 부분은 후행하는 현상 중의 나머지 부분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방법.
A, B, C, D는 a,b,c,d의 원인이다.
A는 a의 원인이다.
B는 b의 원인이다.
C는 c의 원인이다.
-----------------------------------
그러므로 D는 d의 원인이다.
제 5장 형식 논리학의 기본 법칙.
1.동일률:동일한 사유 과정 중에서 사고는 반드시 확정성을 가져야 하며, 사고 자체의 동일성을
가져야 한다는 사유 법칙.즉, 앞에서 한 번 사용한 개념이나 판단은 뒤에서 사용할
때도 동일하게 그 뜻으로 써야 한다는 법칙.
동일률을 지키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논리의오류.
무릇 당신이 상실하지 않은 것은 당신에게 있는 것이다.
당신은 뿔을 상실하지 않았다.
-------------------------------------------------------
그러므로 당신에게는 뿔이 있다.
2.모순율:어떤 사유 대상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과 관계 하에서 두 가지 모순되는 판단은
가질 수 없다고 확정하는 사유 법칙.
예:무기 장수의 창과 방패.
3.배중율:사유 과정에서 동일한 대상은 동일한 시간과 관계 하에서 어떤 성격을 띠고 있거나
띠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을 뿐 결코 제 3의 성격을 띨 수 없다고 확정하는 사유 법칙.
4.충족이유율:논증 과정에 있어서 특정의 판단이 진리로 확정되려면 충족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사유 법칙. ‘A가 진리인 까닭은 B가 진리이기 때문이다’의 형태.
논증과 논박.
*논증:진리임이 이미 확증된 명제에 근거하여 어떤 명제가 진리라는 것을 증명하는 사유 과정.
논증의 구성 요건.
논제:논증에 의하여 그 진리성이 밝혀져야 하는 명제.
논거: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제
논증:일정한 근거(논거)를 가지고 어떤 명제의 진리성 여부를 확증하는 것.
논증의 방식.
추리 형식:1)연역적 논증--연역 추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논증.
논제는 특수한 경우의 판단이고 논거가 일반적 원리.
2)귀납적 논증--귀납 추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논증.
논제가 일반적 원리의 판단이고 논거가 특수한 경우.
논증 방식:1)직접적 논증--논증,논거의 진리성에 근거하여 직접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는 논증.
2)간접적 논증--논제와 모순되는 명제의 거짓을 논증함으로써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는 논증.
①선언적 논증:논제와 배타적 관계에 있는 판단들이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확증
함으로써 논제의 진리성을 논증하는 것.
논졔: A
혹은 A, 혹은 B, 혹은 C
비 B, 비 C
--------------------------
그러므로 A
②귀류적 논증:논제와 대립 관계에 있는 판단이 거짓임을 확증함으로써 논제의
논제의 진리성을 논증하는 것.
논제: A
대립되는 논제:비 A
비 A가 거짓임을 논증
---------------------------
그러므로 A는 진리.
논증의 규칙.
1.논제의 규칙.
①논제가 반드시 명확하고 확정적이어야 한다.
②논제가 반드시 논증의 전 과정에서 시종일관 동일한 것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2.논거의 규칙.
①논거는 반드시 그 자체가 진리이어야 한다.
②논거는 반드시 논제의 충족한 이유가 되어야 한다.
③논거의 진리성이 논제에 의해 증명된 것이어야 한다.
*논박:상대방의 논증이 거짓이라는 것을 확정하는 사유 과정.
1)직접적 논박:사실과 진리로써 상대방의 논제를 정면으로 직접 논박하는 것.
2)간접적 논박:상대방의 논제가 진리라고 가정한 다음 이로부터 황당한 결과를 이끌어
내어 상대방의 논제를 부정하는 형식.
①논거에 대한 논박.
②논증 방식에 대한 논박.
* 궤변:논리법칙을 고의적으로 위반하면서 거짓 명제를 고의적으로 ‘논증’하려는 것.
궤변의 수법.
①논제 바꾸기.
②논거 날조.
③순환적 논증의 수법.
④기계적 유비의 수법.
그러므로 B 대상도 속성 d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원인 설정의 논리적 방법.
1)일치법:동일한 결과를 일으키는 선행 정황들 가운데서 오직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정황을
찾아내어, 그것이 연구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 B, C a
(2) A, D, E a
(3) A, F, G a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2)차이법:연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여 그것들에 선행하는
조건들 중에서 모든 것이 같은데 단 한 개의 조건에만 차이가 날 때, 이 차이나는
조건이 바로 연구되는 현상이라고 인정하는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 B, C a
(2) -- D, E ---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3)일치 차이 병용법:연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몇 개의 경우에는 한 가지 공통된 정황이 존재하며,
연구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런 정황이 없다면, 이 정황이 곧
연구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논리적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 B, C a ---+
(2) A, D, E a | 적극 사례
(3) A, F, G a ---+
( 1’) B, M, N -- ---+
( 2’) D, O, P -- | 소극 사례
( 3’) F1, Q, R -- ---+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4)공변법:연구되는 현상이 변화함에 따라 다른 현상도 변하한다면, 이 변화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현상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논리적 방법.
경우 선행 정황 연구되는 현상
(1) A1, B, C a1
(2) A2, B, C a2
(3) A3, B, C a3
-----------------------------------------
그러므로 A는 a의 원인이다.
5)잉여법:선택하는 합성적인 현상이 후행하는 합성적인 현상의 원인이며, 선행하는 현상
중의 일부분이 후행하는 현상 중의 일부분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에, 선행하는
현상 중의 나머지 부분은 후행하는 현상 중의 나머지 부분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방법.
A, B, C, D는 a,b,c,d의 원인이다.
A는 a의 원인이다.
B는 b의 원인이다.
C는 c의 원인이다.
-----------------------------------
그러므로 D는 d의 원인이다.
제 5장 형식 논리학의 기본 법칙.
1.동일률:동일한 사유 과정 중에서 사고는 반드시 확정성을 가져야 하며, 사고 자체의 동일성을
가져야 한다는 사유 법칙.즉, 앞에서 한 번 사용한 개념이나 판단은 뒤에서 사용할
때도 동일하게 그 뜻으로 써야 한다는 법칙.
동일률을 지키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논리의오류.
무릇 당신이 상실하지 않은 것은 당신에게 있는 것이다.
당신은 뿔을 상실하지 않았다.
-------------------------------------------------------
그러므로 당신에게는 뿔이 있다.
2.모순율:어떤 사유 대상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과 관계 하에서 두 가지 모순되는 판단은
가질 수 없다고 확정하는 사유 법칙.
예:무기 장수의 창과 방패.
3.배중율:사유 과정에서 동일한 대상은 동일한 시간과 관계 하에서 어떤 성격을 띠고 있거나
띠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을 뿐 결코 제 3의 성격을 띨 수 없다고 확정하는 사유 법칙.
4.충족이유율:논증 과정에 있어서 특정의 판단이 진리로 확정되려면 충족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사유 법칙. ‘A가 진리인 까닭은 B가 진리이기 때문이다’의 형태.
논증과 논박.
*논증:진리임이 이미 확증된 명제에 근거하여 어떤 명제가 진리라는 것을 증명하는 사유 과정.
논증의 구성 요건.
논제:논증에 의하여 그 진리성이 밝혀져야 하는 명제.
논거: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제
논증:일정한 근거(논거)를 가지고 어떤 명제의 진리성 여부를 확증하는 것.
논증의 방식.
추리 형식:1)연역적 논증--연역 추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논증.
논제는 특수한 경우의 판단이고 논거가 일반적 원리.
2)귀납적 논증--귀납 추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논증.
논제가 일반적 원리의 판단이고 논거가 특수한 경우.
논증 방식:1)직접적 논증--논증,논거의 진리성에 근거하여 직접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는 논증.
2)간접적 논증--논제와 모순되는 명제의 거짓을 논증함으로써 논제의 진리성을
확증하는 논증.
①선언적 논증:논제와 배타적 관계에 있는 판단들이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확증
함으로써 논제의 진리성을 논증하는 것.
논졔: A
혹은 A, 혹은 B, 혹은 C
비 B, 비 C
--------------------------
그러므로 A
②귀류적 논증:논제와 대립 관계에 있는 판단이 거짓임을 확증함으로써 논제의
논제의 진리성을 논증하는 것.
논제: A
대립되는 논제:비 A
비 A가 거짓임을 논증
---------------------------
그러므로 A는 진리.
논증의 규칙.
1.논제의 규칙.
①논제가 반드시 명확하고 확정적이어야 한다.
②논제가 반드시 논증의 전 과정에서 시종일관 동일한 것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2.논거의 규칙.
①논거는 반드시 그 자체가 진리이어야 한다.
②논거는 반드시 논제의 충족한 이유가 되어야 한다.
③논거의 진리성이 논제에 의해 증명된 것이어야 한다.
*논박:상대방의 논증이 거짓이라는 것을 확정하는 사유 과정.
1)직접적 논박:사실과 진리로써 상대방의 논제를 정면으로 직접 논박하는 것.
2)간접적 논박:상대방의 논제가 진리라고 가정한 다음 이로부터 황당한 결과를 이끌어
내어 상대방의 논제를 부정하는 형식.
①논거에 대한 논박.
②논증 방식에 대한 논박.
* 궤변:논리법칙을 고의적으로 위반하면서 거짓 명제를 고의적으로 ‘논증’하려는 것.
궤변의 수법.
①논제 바꾸기.
②논거 날조.
③순환적 논증의 수법.
④기계적 유비의 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