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영미시 (George Herbert / Andrew Marvell / John Milton)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7세기 영미시 (George Herbert / Andrew Marvell / John Milt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7세기 문학 시대 배경
2. George Herbert
3. Andrew Marvell
4. John Milton (실락원 포함)

본문내용

Time, the Flood, Conversion of the Jews / 공간 : World, Ganges, Humber
- lines 5∼7 : 거리상 매우 떨어져 있는 공간(Humber강은 영국 북부에 있는 강으로 Ganges강에서 볼 때는 이세상의 저쪽 끝을 암시한다.), 이 곳에서 각자가 행하는 행동은 거의 불가능하거나 엄청난 시간이 필요한 일이다. 작가는 바라보며 하소연만 하기에는 시간이 충분치 않음을 역설.
- lines 8~10 : 과장법사용. 영원한 시간을 나타내는 conceit. 유태인 개종은 거의 일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
- lines 1-20 : Petrarchan hyperbole의 parody
- “My vegetable love\"에서는 서서히 자라지만, 더 오래가는, 그리고 전 세계를 향해 뻗어가는 그런 사랑에 대한 conceit이다. 하지만, 식물의 성장은 맹목적이고 목적도 방향도 없는 그런 성장이기에 지성이나 의지가 결핍된 성장이고, 시인은 끝없는 시간과 공간이 불가능하듯이, 지성이 결핍된 한없는 기다림만 있는 맹목적 사랑은 할 수 없다는 비판적인 의미가 담겨있기도 하다(강엽, 1992).
- 여인의 눈과 이마를 찬미하는데, 백년, 가슴을 찬미하는데 이백 년, 나머지를 찬미하는데 3만년이 걸린다는 시인의 주장은 성적으로 미숙하고 수줍은 애인에게 육체적으로 다가서는데, 너무도 오래 걸리고 힘이 들어 고통스럽다는 표현이며, 다소 비꼬는 형태의 irony라고 할 수 있으며, 여인에게 논리적으로 따지고 있기까지 하고 있다.
- 2부로 진행하면서, 시인은 갑자가 돌변한다. 1부에서의 찬미는 보다 신랄하고, 극적이고, 엄숙하게 변하게 된다. 이는 현실의 시간과 공간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수법으로 볼 수 있으며, 쫓기는 심정을 “winged chariot\"으로 대변하고 있다. 마차에 쫓기는 상황은 모세가 이스라엘 사람들을 이끌고 홍해 앞에 이르렀을 때의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이끌어낸 conceit이기도 하다(강엽, 1992).
- 2부는 점차 엄숙하고, 두려운 분위기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죽음, 무덤, 구더기 등의 단어를 통해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여인이 시인의 사랑을 따르지 않으면 안되게끔 최대한 유도하려는 것으로, 시간의 유한성 앞에서는 여인의 아름다움도, 소중히 간직해온 처녀성도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무덤이란 공간은 여성의 질(vagina)을 상징하기도 하는 은밀한 공간이기는 하지만, 그 곳에서는 사랑이 있을 수 없다는 paradox와 irony가 담겨있으며, 구더기는 또한 죽음 이후에 처녀성을 먹어버리는 남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Honour는 정절을 나타내는 sexual conceit로 볼 수 있다(조규택, 1987).
- 3부로 진행하면서, 시인은 청춘을 찬미하는 말들로 다시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여놓으려 한다. 2부의 죽음과 두려움을 넘자마자 나오는 이러한 찬미들에 여인의 마음은 흔들리지 않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제는 즐길 시간이 된 것이다. “let us sport us while we may\".
- lines 33∼34 : 직유 Simile(원관념과 보조관념을 대조시켜 원관념을 부각시키는 명시적 비교)
the skin(원관념) / morning dew(보조관념)
- lines 39∼40 : “Rather at once our time devour, than languish in his slow-chapped power\" 즉, 인간을 서서히 삼키는 세월의 입에 시들기보다는 차라리 시간을 잡아먹자는 구절에서는 시간에 대한 도전을 의미하는 paradox이다. 이는 시간의 신이자 아버지인 Chronus를 전복한 Zeus의 일화를 상징하기도 한다(강엽, 1992).
- line 44 : \"Through the iron gates of life\"에서 gate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는 성경의 마태복음에 나오는 구절을 떠올리게 하기도 하지만, 여성의 처녀성과 처녀막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시간의 유한성과 이에 대한 도전을 한 번만 더 강조한다면, 수줍은 여인은 시인에게 자신을 열 것이다.
- 마지막 2행은 멋진 경구(epigram)이자, paradox이기도 하다. “Thus, though we cannot make our sun stand still, yet we will make him run\"는 만일 우리 스스로를 불멸로 만들지 못한다면, 우리는 백년, 이백 년, 삼만 년이 금방 지나가도록 시간을 빠르게 보낼 수 있도록 충분히 강해져야한다는 conceit이다.
Ⅲ. John Milton
1. 작가 소개
Milton은 Renaissance(Humanism)의 정신과 Reformation의 두 정신의 결합해서 이른바 Christian Humanism이라는 사상적 조류를 잘 종합한 시인이다. 그가 살던 17세기 영국의 정치적 현실은 시민혁명, 왕의처형, 그리고 왕정복고로 요약될 수 있다. 시민혁명(1642)의 발발과 의회군의 승리, 찰스1세의 처형과 공화정수립(1649), 그리고 왕정복고(1660)로 이어지는 일련의 역사적 사건은 밀턴이 작품을 생산한 시대적 환경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적 사건의 기점이 된 1640년 전후와 1660년 전후는 세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 밀턴의 문학여정상의 분기점과 일치한다.
첫 번째 단계는 1640년 이전에 밀턴은 커다란 문학적 성과를 내기 위한 훈련에 매진한다. 그는 위대한 문학가는 타고난 천재적 재능 이외에 후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믿었기에 다양한 책을 섭렵하였으며 습작훈련 또한 게을리 하지 않았다. 특히, 이 기간동안에 밀턴은 성직자의 길이 아닌 문학을 통해 자신의 소명을 성취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소명을 성취하기 위한 내적 성숙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소네트 7번(How soon hath time)과 같은 작품을 쓴다.
두 번째 단계는 시민혁명부터 왕정복고에 이르기까지 약 20년간으로, 밀턴이 현실정치에 직접 뛰어든 시기이다. 이 기간동안 그는 산문이 시보다 당시의 상황에 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주로 산문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0.0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4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