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몸말
◇1. 예루살렘 교회
1) 예루살렘 교회의 형성 배경
2) 예루살렘 교회의 특성
a. 성령 충만으로 말미암아 담대히 복음을 전하는 교회
b.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는 교회 c. 기도하는 교회
d. 표적과 기사를 행하는 교회 e. 나눔으로써 사랑을 실천한 교회
f. 모이기를 힘쓰는 교회 g. 교제하며 떡을 떼는 교회
h. 칭찬받는 교회
◇2. 안디옥 교회
1) 안디옥 교회의 역사
a. 안디옥의 배경 b. 안디옥 교회의 출현
c. 안디옥 교회의 성장
2) 안디옥 교회의 특성
a. 최초의 그리스도인 b. 가르치는 교회, 훈련하는 교회
c. 사랑으로 하나됨 d. 헌신적인 사랑의 실천
e. 성도들의 헌신적 선교사역 f. 분명한 복음의 메시지
◇3. 선교적 관점에 있어서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교회의 비교
1) 선교신학의 대비
2) 선교구조의 대비
3) 선교의 대상 및 범위의 대비
◆나가는 말
◆몸말
◇1. 예루살렘 교회
1) 예루살렘 교회의 형성 배경
2) 예루살렘 교회의 특성
a. 성령 충만으로 말미암아 담대히 복음을 전하는 교회
b.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는 교회 c. 기도하는 교회
d. 표적과 기사를 행하는 교회 e. 나눔으로써 사랑을 실천한 교회
f. 모이기를 힘쓰는 교회 g. 교제하며 떡을 떼는 교회
h. 칭찬받는 교회
◇2. 안디옥 교회
1) 안디옥 교회의 역사
a. 안디옥의 배경 b. 안디옥 교회의 출현
c. 안디옥 교회의 성장
2) 안디옥 교회의 특성
a. 최초의 그리스도인 b. 가르치는 교회, 훈련하는 교회
c. 사랑으로 하나됨 d. 헌신적인 사랑의 실천
e. 성도들의 헌신적 선교사역 f. 분명한 복음의 메시지
◇3. 선교적 관점에 있어서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교회의 비교
1) 선교신학의 대비
2) 선교구조의 대비
3) 선교의 대상 및 범위의 대비
◆나가는 말
본문내용
. 또한 안디옥 교회의 구성 명단을 보면 이방선교의 적합성과 복음의 세계성을 엿볼 수 있다. 바나바는 구브로 출신 유대인이고, 루기오는 북아프리카 구레네 사람이고, 시므온은 유대인이나 그의 다른 이름 니게르는 로마 이름이다. 마나앤은 귀족으로서 왕실에 관계가 깊은 사람이었을 것이고 바울 자신은 길리기아 다소 출신 유대인이며 교육받은 랍니였다. 이렇듯 안디옥 교회는 다양한 신분과 출신으로 구성된 교회였지만, 하나님께 대한 거룩한 열심히 하나의 공동체가 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의 공존으로 말미암아 이방인 선교를 진행하는데 적합한 교회가 된 것이다.
◆나가는 말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교회는 분명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예루살렘 교회는 예루살렘 교회 나름의, 안디옥 교회는 안디옥 교회 나름의 특성을 가지고 선교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을 지키려 했다. 물론 두 교회를 비교하며 어디가 더 우위에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겠지만 판단에서만 멈출것이 아니라 두 교회의 좋은 부분을 우리 교회 현실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성령의 충만함을 시작으로 복음에 대한 열정으로 민족의 구분 없이 모두에게 나아가며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신 예수그리스도의 명령을 지켜야한다.
기독교가 너무나 많은 욕을 먹으며 싸구려 안주꺼리로 전락하고 있는 이때 우리가 먼저 깨어있어서, 초대교회의 믿음의 선조들이 복음의 능력과 열정을 간직하며 그들이 세상가운데서도 좋은 공동체로 불리며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역을 발한것과 같이 우리도 교회의 안과 밖에서 선한 영향력을 흘려보내는 사람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랑의 반대는 미움이 아니라 무관심이라고 한다. 한국교회가 직면한 현실들, 교회 밖의 사람들의 반응들은 어찌보면 사랑이 있기에 나타나는 반응일 수도 있다. 기독교에 대한 교회에 대한 기대와 소망이 있기에 쓴소리를 하며 비난하는 것이기도 하다. 기독교와 교회가 사회에 영향력이 없다면 그들은 무관심 했을것이다. 쓴소리와 손가락질에 반성하며 초대교회의 선조들이 그 당시 사람들에게 주었던 좋은 이미지와 선한 영향력을 되찾으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여전히 우리에게 주시고 있는 그 명령을 수행해 나가는 우리 신학생들과 한국교회, 감리교단이 되기를 소망하고 기대한다.
<참고도서>
「성경의 선교 신학」- 윌리엄 J, 랄킨 2세, 조엘 F, 윌리엄스
「인간의 문화와 하나님의 선교」- 홍기영
「사도행전의 선교모델 연구를 통한 한국선교의 방향」- 배기동
◆나가는 말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교회는 분명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예루살렘 교회는 예루살렘 교회 나름의, 안디옥 교회는 안디옥 교회 나름의 특성을 가지고 선교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을 지키려 했다. 물론 두 교회를 비교하며 어디가 더 우위에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겠지만 판단에서만 멈출것이 아니라 두 교회의 좋은 부분을 우리 교회 현실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성령의 충만함을 시작으로 복음에 대한 열정으로 민족의 구분 없이 모두에게 나아가며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신 예수그리스도의 명령을 지켜야한다.
기독교가 너무나 많은 욕을 먹으며 싸구려 안주꺼리로 전락하고 있는 이때 우리가 먼저 깨어있어서, 초대교회의 믿음의 선조들이 복음의 능력과 열정을 간직하며 그들이 세상가운데서도 좋은 공동체로 불리며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역을 발한것과 같이 우리도 교회의 안과 밖에서 선한 영향력을 흘려보내는 사람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랑의 반대는 미움이 아니라 무관심이라고 한다. 한국교회가 직면한 현실들, 교회 밖의 사람들의 반응들은 어찌보면 사랑이 있기에 나타나는 반응일 수도 있다. 기독교에 대한 교회에 대한 기대와 소망이 있기에 쓴소리를 하며 비난하는 것이기도 하다. 기독교와 교회가 사회에 영향력이 없다면 그들은 무관심 했을것이다. 쓴소리와 손가락질에 반성하며 초대교회의 선조들이 그 당시 사람들에게 주었던 좋은 이미지와 선한 영향력을 되찾으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여전히 우리에게 주시고 있는 그 명령을 수행해 나가는 우리 신학생들과 한국교회, 감리교단이 되기를 소망하고 기대한다.
<참고도서>
「성경의 선교 신학」- 윌리엄 J, 랄킨 2세, 조엘 F, 윌리엄스
「인간의 문화와 하나님의 선교」- 홍기영
「사도행전의 선교모델 연구를 통한 한국선교의 방향」- 배기동
키워드
추천자료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수-학습 유형 7가지
7차교육과정 국어과 요약
어휘 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안
[교육평가][초등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
국어교육평가(국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영어과평가),수학교육평가(수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 편제,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와 교수학습, 중학교(중...
국어과(국어교육) 성격과 교수학습주안점,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 학년별내용체계, ...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국어(국어과교육) 홀리스틱학습과 창의성계발학습, 국어(국어과교육) 가치탐구학습과 총체적...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의미,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영역, ...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의미와 성격,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
국어 음운 연구 과제물 - 고등 학교 문법 교과서 검토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수·학습 모형 활용시 고려해야 할 변인은 무엇인가
어휘 교육의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