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국어의 의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4장. 국어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4장 국어의 의미

1. 의미와 의미의 분석
1.1 의미의 정의
1.2 의미의 유형
1.3 의미 분석의 방법
1.4 의미 연구의 층위

2. 의미의 관계
2.1 계열 관계
2.2 결합관계

3. 의미의 확장
3.1 다의어
3.2 은유
3.3 환유

4. 문장의 의미
4.1 동의성과 중의성
4.2 전제와 함의
4.3 장면의 개념화

5. 담화와 텍스트의 의미
5.1 담화의 의미
5.2 텍스트의 의미

본문내용

맣다
까므레하다
까마스름하다
까므스레하다
하얗다
새하얗다
희끄므레하다
하야스름하다
뻘겋다
벌겋다
시뻘겋다
벌그므레하다
벌그스름하다
벌그스레하다
퍼렇다
시퍼렇다
퍼르스름하다
퍼르므레하다
누렇다
싯누렇다
누르께하다
누르스름하다
누르므레하다
허옇다
허여스름하다
위에서처럼 의미장에는 비어있는 자리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런 빈 자리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어휘이다. 그러나 가끔 시인들이 빈 자리의 어휘들을 만들어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독자들이 읽고 이해를 하고, 저항감을 갖지 않는 이유는 우리말 의미장에 있을 수 있는 어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장에 관해서는 최근까지 ‘낱말밭 이론’으로 계승, 발전되고 있다.
p.244 탐구-의미의 성분 분석
♣ 다음 단어의 의미 성분을 기술하고 공통 성분과 변별 성분을 밝혀 보자.
○ 어린이, 망아지, 송아지, 병아리
- 공통 성분 : [-성숙]
- 변별 성분 : [±인간] 어린이 / 망아지, 송아지, 병아리
[±조류] 병아리 / 망아지, 송아지
○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손자
- 공통 성분 : [+인간] [+남성]
- 변별 성분 : [±성숙] 상대적으로 네 가지를 모두 변별할 수 있는 성분
○ 숙모, 고모, 이모, 외숙모
- 공통 성분 : [+인간] [+여성] [+친척]
- 변별 성분 : [±친가(외가)]
p.244 탐구-성분 분석의 잉여 규칙
♣ 성분 분석에서 ‘[±인간]→[+유생물]’을 잉여 규칙이라고 한다. 단어의 성분 분석에서 잉여 규칙의 설정에 대한 필요성을 밝혀 보자.
- 잉여 규칙은 결국 표기의 간략화를 위해 설정된 개념이다. 즉 이것이 없다면 생각나는대로 의미의 성분을 규정하여 수도 없는 의미 성분이 탄생하고, 그것을 일일이 다 기술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것을 통해 추론이 가능한 성분이라면 생략하는 것이 표기가 간편하다. 또한, 표기뿐만 아니라 그것을 이해하는 데도 잉여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명료하다.
1.3.2. 원형 이론
의미를 개념이라고 할 때 개념은 그 적용 범위인 범주에 해당한다. 범주를 파악하는 관점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고전 범주화와 인지주의의 원형범주화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원형 범주화의 이론적 기초가 된 원형 이론(原型理論, prototype theory)은 자연 범주가 원형적인 보기와 주변적인 보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봄으로써 우리 자신이 사물을 범주화하고, 단어의 의미를 파악할 때 원형을 인지과정의 참조점으로 삼는다는 관점이다. ‘원형’은 형태, 유기체, 사물 등에서 그 범주를 대표할 만한 가장 전형적, 중심적, 이상적인 보기를 마한다.
범주의 원형적인 보기는 주변적인 보기에 대하여 특징적인 모습을 드러내는데, 이를 ‘원형 효과’라고 하며, 범주의 원형 효과는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확인된다. 첫째, 원형적인 보기는 해당 범주를 확인하는 데 시간이 덜 걸린다. 둘째, 언어 습득에서 원형적인 보기를 먼저 습득한다. 셋째, 실어증 환자의 경우 범주의 원형적인 보기보다 주변적인 보기를 발화하는 데 더 많은 어려움이나 오류를 나타내며, 정상적인 화자가 어떤 단어를 일시적으로 망각하게 되는 것은 대부분 범주의 주변적인 보기이다.
의미의 원형 이론은 손상된 보기나 기형의 처리에 유리하고 범주의 경계선상의 좋지 못한 보기를 처리하는 데 유리하며, 다의어의 처리에 유리해 성분 분석의 한계를 보완해 준다. 그러나 구체적인 대상물의 기술에는 적합한 반면, 추상적인 개념을 분석하는 데는 한계를 지니므로 성분 분석 이론과 조화될 필요가 있다.
p. 246 탐구-원형 효과
♣ ‘악기’, ‘가구’ 등에 속하는 다양한 구성원에 대하여, 원형적인 보기와 주변적인 보기 사이에 원형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자.
- 악기 : 피아노, 바이올린, 해금, 거문고, 나팔, 콘트라베이스, 첼로, 가야금, 태평소, 꽹과리, 장구, 북, 징, 기타 등
- 가구 : 장롱, 침대, 책상, 식탁, 소파, 서랍장 등
- 이상의 것을 보았을 때, ‘악기’나 ‘가구’를 듣고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들이 피아노, 바이올린, 장롱, 침대 등이었으며, 원형 효과는 나타난다고 본다.
p. 246 탐구-원형 분석
♣ ‘완전한 거짓말’ 곧 ‘원형적인 거짓말’은 ‘화자가 참이 아닌 것을 주장한다’ ‘화자 자신이 참이 아님을 알고 있어야 한다’ ‘화자가 청자를 속이려는 고의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세 가지 속성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표현에서 거짓말의 속성을 점검해 보고, 원형적인 거짓말의 보기를 찾아 보자.
○ 유치원생이 ‘7 더하기 8은 16이다’라고 대답한 경우
- 이것은 원형적인 거짓말이 아니다. 참이 아닌 것을 주장하고는 있으나 화자 자신이 참이 아님을 모르며, 청자를 속이려는 고의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몰라서 대답하는 실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이것은 원형적인 거짓말이 될 수도 있다. 물음을 누가 하였으며 어떤 상황인가에 따라 일부러 틀리게 대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요즘 유치원생들은 영리하다.)
○ 이태백의 시에서 ‘백발이 3천발이다’라는 표현
- 이것은 참이 아닌 것을 주장하며, 화자 스스로가 참이 아님을 알고는 있으나 청자를 의도적으로 속이려는 뜻을 가지는 것은 아니므로 역시 원형적인 거짓말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것은 문학적 수사법의 하나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라는 속담
- 이것이 원형적인 거짓말의 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일단 화자는 닭을 먹었음에도 자신은 그렇지 않음을 이야기하면서 거짓을 말하고 있으며, 청자를 속이려는 뜻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1.4. 의미 연구의 층위
일반적으로 의미의 연구는 어휘 층위, 문장 층위, 발화 층위에 따라 기술된다.
첫째, 어휘 층위의 의미 연구 분야를 어휘 의미론이라고 한다. ‘어휘부’를 이루고 있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와 같은 내용어를 어휘소라고 하는데, 어휘 층위에서는 어휘소를 대상으로 단어의 의미, 단어 의미의 상호 관계, 단어 의미의 확장 등을 규명한다.
둘째, 문장 층위의 의미 연구 분야를 문장 의미론이라고 부른다. 문장 의미론은 단어가 결합
  • 가격5,0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12.06.0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