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4 장 국어의 의미〉
1. 의미와 의미의 분석
1.1 의미의 정의
1.2 의미의 유형
1.3 의미 분석의 방법
1.4 의미 연구의 층위
2. 의미의 관계
2.1 계열 관계
2.2 결합관계
3. 의미의 확장
3.1 다의어
3.2 은유
3.3 환유
4. 문장의 의미
4.1 동의성과 중의성
4.2 전제와 함의
4.3 장면의 개념화
5. 담화와 텍스트의 의미
5.1 담화의 의미
5.2 텍스트의 의미
1. 의미와 의미의 분석
1.1 의미의 정의
1.2 의미의 유형
1.3 의미 분석의 방법
1.4 의미 연구의 층위
2. 의미의 관계
2.1 계열 관계
2.2 결합관계
3. 의미의 확장
3.1 다의어
3.2 은유
3.3 환유
4. 문장의 의미
4.1 동의성과 중의성
4.2 전제와 함의
4.3 장면의 개념화
5. 담화와 텍스트의 의미
5.1 담화의 의미
5.2 텍스트의 의미
본문내용
2.3. 은유의 유형
① 구조적 은유: 한 개념이 다른 개념에 의하여 은유적으로 구조화 되는 것.
예) 논쟁은 전투이다. - 논쟁은 전투라는 개념으로 은유적으로 구조화 됨.
② 존재론적 은유: 추상적 경험을 주체적인 존재(물체, 내용물)로 이해.
예) 마음은 그릇이다 → 마음이 크다, 마음을 닦다.
③ 방향적 은유: 공간적 방향이 상호 관계 아래 하나의 개념 구조를 이루는 것.
예) 상하 관계 - 위: 양의 많음, 평가의 좋음, 힘 있는 것.
- 아래: 양의 적음, 평가의 나쁨, 힘 없는 것.
▣ 탐구 - 은유의 경험적 근거
♣ 보통 위쪽 방향은 긍정적으로, 아래쪽 방향은 부정적으로 본다.
♣ 보통 ‘앞’의 방향은 진보를 생각하고 ‘뒤’의 방향은 ‘후퇴’를 생각한다.
♣ 인간의 활동이 오른팔에 의해 대다수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른쪽은 중요하다는 의미를 갖게 되었으나, 왼쪽은 덜 중요한 것처럼 생각한다.
3.3. 환유
3.3.1. 환유의 정의
# 실재물 e1의 명칭으로 인접한 다른 실재물 e2를 지칭하는 것.
# 환유의 인접성과 지칭성
① 인접성: 가까이 있는 두 사물간의 의미적 연상, 전이가 쉽게 일어남
예) 도시락→도시락의 내용물
② 지칭성: 작은 것이 큰 것을 지칭하는 경우/ 큰 것이 작은 것을 지칭하는 경우
예) 금배지→금배지를 단 국회의원/ 차가 고장 나다.→차의 엔진
▣ 탐구 - 환유의 효용성
♣ ¤ 라디오를 듣다 : ‘라디오’란 음향 가전제품의 일종인 라디오 자체를 듣는 것이 아니라, 인접성의 측면에서 ‘라디오에서 나오는 소리나 음악’을 의미한다.
¤ 밤을 먹다 : 이 표현을 문자 그대로 표현하면 단단한 껍질로 둘러싼 밤 전체를 먹는 것을 가리키지만, 인접성의 측면에서 ‘밤’은 ‘밤의 내용물’을 의미하게 된다.
¤ 그 식당은 맛이 없다 : 여기서 ‘식당’은 ‘식당의 음식’을 지칭하는 환유적 표현이다.
¤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다 : 정확히 우리는 ‘책상’에 앉는 것이 아니라 ‘의자’에 앉아서 공부한다. 여기서 ‘책상’은 ‘의자’를 지칭하는 환유적 표현이다.
3.3.2. 환유의 양상
① 확대지칭: 부분이 전체를 지칭
② 축소지칭: 전체가 부분을 지칭
▣ 탐구 - 환유의 양상
♣ 일손: 확대지칭 신체의 한 부분으로 사람 전체를 지칭
피 : 확대지칭 사람 전체를 지칭 (새 피 = 새 인물)
▣ 탐구 - 환유의 지칭성
♣ 요르단이 떨고 있다. : 요르단 국민
유럽이 울었다. : 유럽 국민
미 해변에 버려진 한국 : 한국 제품, 국민성
4. 문장의 의미
# 단어들의 의미, 통사 규칙/ 문장을 기술하는 주체자의 관점에 의해 문장의 의미 결정.
4.1. 동의성과 중의성
# 동의성: 의미상 동일한 개념 구조가 둘 이상의 표현구조로 나타난 것.
중의성: 의상상 상이한 개념 구조가 동일한 표현구조를 띤 것.
4.1.1. 동의성
# 문장의 동의성: 문장의 구성 방식이 다르지만 의미가 같은 것.
완전히 동일한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개념적 의미의 동질성이 전제됨.
문장에 사용된 단어나 어구의 의미가 같은 경우- 그는 내 생질이다: 그는 내 누이의 아들이다.
일상적 표현과 관용적 표현 사이의 동의성- 그녀는 자존심이 세다: 그녀는 콧대가 높다.
# 문장의 구조적 차이에 따른 동의성
① 장단형 사동문의 동의성
- 단형 사동문: 주어의 행위에 대한 직접성& 간접성
- 장형 사동문: 간접성만 나타남
예) 영수가 그 새를 {죽였다(단형)/죽게 했다.(장형)}
② 동일한 사태에 대한 문장 구성의 차이
- 진리조건상으로 동의적이나, 관점에 차이가 남
예) 사냥꾼이 사슴을 쫓는다./ 사슴이 사냥꾼을 쫓는다.
지훈이가 지영이를 닮았다./ 지영이가 지훈이를 닮았다.
③ 어순의 교체
예) 세월이 느리고도 빠르다./ 세월이 빠르고도 느리다.
▣ 탐구 - 문장의 동의성
♣ ‘-게’, ‘-이’에 의한 문장의 동의성
여기서의 ‘-게’는 용언의 어간에 붙어, 일의 진행(상태·성질)의 한계(정도)를 나타내는 보조적 연결 어미이며, ‘-이’는 자음으로 끝난 일부 용언의 어근에 붙어 그 형용사를 부사로 바꾸 할을 하는 접미사이다. 첫 문장에서 \'-게\'와 \'-이\'는 동의성의 기능을 갖기도 하지만, 두 번째, 세 번째 문장에서는 서로 다른 의미 기능을 하는데, 이 경우 \'-게\'는 상태 동사의 고유성과 호응되며, \'-이\'는 추상성과 호응된다. 이 경우 \'길이\'는 \'영원히\', \'곧이\'는 \'순순히\', \'쉬이\'는 \'곧장\'으로 대치가 가능하다.
♣ 능동문과 피동문에서 부사어, 수량사의 유무에 따라 의미 차이가 나타나는지.
1. 부사어 ‘일부러’가 없으면 ‘영수는 영희를 붙잡았다.’ ‘영희는 영수에게 붙잡혔다.’의 두 문장은 동의성을 가진다. 그러나 부사어 ‘일부러’가 들어가면 의도적인 행동이었다는 의미가 추가되어, 의도적인 행위의 주체가 누구인지 드러나게 된다.
2. 수량사 ‘모든’과 ‘두’가 있거나 없거나 두 문장의 개념적 의미는 거의 동일하다. 그렇지만 수량사가 첨가 될 경우 행위의 주체가 드러나서 약간의 의미의 차이가 생긴다. 첫 문장에서는 마을의 청년이 행위의 주체이고, 두 번째 문장에서는 아가씨가 주체가 된다.
4.1.2. 중의성
# 하나의 문장이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
① 주어부의 범위
예) 선생님이 보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 선생님이 보고 싶어 하는 학생이 많다. 선생님을 보고 싶어 하는 학생이 많다.
② 목적어의 범위
예) 그는 형과 동생을 찾아 다녔다.
⇒ 그와 형이 동생을 찾아다녔다. 그가 동생과 형을 찾아다녔다.
③ 수식어의 범위
예) 아름다운 소녀의 옷 ⇒ 소녀가 아름답다. 옷이 아름답다.
확실히 그는 대답을 하지 않았다. ⇒ 문장 전체의 수식, 서술어의 수식
④ 부정의 범위
예) 사람들이 아직 다 오지 않았다.⇒ 전체부정. 부분부정
⑤ ‘-고 있다’ 구문의 중의성
예) 그는 양복을 입고 있다.
⇒ 지금 옷을 입고 있는 중이다, 현재 입고 있는 상태이다.
▣ 탐구 - 문장의 중의성
1. ‘그는 하루 종일 일하지 않는다.’
→ ‘그는 하루 종일 일하지는 않고, 몇 시간만 일한다.’,
‘그는 하루 종일 일하지 않고 다른 행위를 한다.’ (부정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2. ‘애
① 구조적 은유: 한 개념이 다른 개념에 의하여 은유적으로 구조화 되는 것.
예) 논쟁은 전투이다. - 논쟁은 전투라는 개념으로 은유적으로 구조화 됨.
② 존재론적 은유: 추상적 경험을 주체적인 존재(물체, 내용물)로 이해.
예) 마음은 그릇이다 → 마음이 크다, 마음을 닦다.
③ 방향적 은유: 공간적 방향이 상호 관계 아래 하나의 개념 구조를 이루는 것.
예) 상하 관계 - 위: 양의 많음, 평가의 좋음, 힘 있는 것.
- 아래: 양의 적음, 평가의 나쁨, 힘 없는 것.
▣ 탐구 - 은유의 경험적 근거
♣ 보통 위쪽 방향은 긍정적으로, 아래쪽 방향은 부정적으로 본다.
♣ 보통 ‘앞’의 방향은 진보를 생각하고 ‘뒤’의 방향은 ‘후퇴’를 생각한다.
♣ 인간의 활동이 오른팔에 의해 대다수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른쪽은 중요하다는 의미를 갖게 되었으나, 왼쪽은 덜 중요한 것처럼 생각한다.
3.3. 환유
3.3.1. 환유의 정의
# 실재물 e1의 명칭으로 인접한 다른 실재물 e2를 지칭하는 것.
# 환유의 인접성과 지칭성
① 인접성: 가까이 있는 두 사물간의 의미적 연상, 전이가 쉽게 일어남
예) 도시락→도시락의 내용물
② 지칭성: 작은 것이 큰 것을 지칭하는 경우/ 큰 것이 작은 것을 지칭하는 경우
예) 금배지→금배지를 단 국회의원/ 차가 고장 나다.→차의 엔진
▣ 탐구 - 환유의 효용성
♣ ¤ 라디오를 듣다 : ‘라디오’란 음향 가전제품의 일종인 라디오 자체를 듣는 것이 아니라, 인접성의 측면에서 ‘라디오에서 나오는 소리나 음악’을 의미한다.
¤ 밤을 먹다 : 이 표현을 문자 그대로 표현하면 단단한 껍질로 둘러싼 밤 전체를 먹는 것을 가리키지만, 인접성의 측면에서 ‘밤’은 ‘밤의 내용물’을 의미하게 된다.
¤ 그 식당은 맛이 없다 : 여기서 ‘식당’은 ‘식당의 음식’을 지칭하는 환유적 표현이다.
¤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다 : 정확히 우리는 ‘책상’에 앉는 것이 아니라 ‘의자’에 앉아서 공부한다. 여기서 ‘책상’은 ‘의자’를 지칭하는 환유적 표현이다.
3.3.2. 환유의 양상
① 확대지칭: 부분이 전체를 지칭
② 축소지칭: 전체가 부분을 지칭
▣ 탐구 - 환유의 양상
♣ 일손: 확대지칭 신체의 한 부분으로 사람 전체를 지칭
피 : 확대지칭 사람 전체를 지칭 (새 피 = 새 인물)
▣ 탐구 - 환유의 지칭성
♣ 요르단이 떨고 있다. : 요르단 국민
유럽이 울었다. : 유럽 국민
미 해변에 버려진 한국 : 한국 제품, 국민성
4. 문장의 의미
# 단어들의 의미, 통사 규칙/ 문장을 기술하는 주체자의 관점에 의해 문장의 의미 결정.
4.1. 동의성과 중의성
# 동의성: 의미상 동일한 개념 구조가 둘 이상의 표현구조로 나타난 것.
중의성: 의상상 상이한 개념 구조가 동일한 표현구조를 띤 것.
4.1.1. 동의성
# 문장의 동의성: 문장의 구성 방식이 다르지만 의미가 같은 것.
완전히 동일한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개념적 의미의 동질성이 전제됨.
문장에 사용된 단어나 어구의 의미가 같은 경우- 그는 내 생질이다: 그는 내 누이의 아들이다.
일상적 표현과 관용적 표현 사이의 동의성- 그녀는 자존심이 세다: 그녀는 콧대가 높다.
# 문장의 구조적 차이에 따른 동의성
① 장단형 사동문의 동의성
- 단형 사동문: 주어의 행위에 대한 직접성& 간접성
- 장형 사동문: 간접성만 나타남
예) 영수가 그 새를 {죽였다(단형)/죽게 했다.(장형)}
② 동일한 사태에 대한 문장 구성의 차이
- 진리조건상으로 동의적이나, 관점에 차이가 남
예) 사냥꾼이 사슴을 쫓는다./ 사슴이 사냥꾼을 쫓는다.
지훈이가 지영이를 닮았다./ 지영이가 지훈이를 닮았다.
③ 어순의 교체
예) 세월이 느리고도 빠르다./ 세월이 빠르고도 느리다.
▣ 탐구 - 문장의 동의성
♣ ‘-게’, ‘-이’에 의한 문장의 동의성
여기서의 ‘-게’는 용언의 어간에 붙어, 일의 진행(상태·성질)의 한계(정도)를 나타내는 보조적 연결 어미이며, ‘-이’는 자음으로 끝난 일부 용언의 어근에 붙어 그 형용사를 부사로 바꾸 할을 하는 접미사이다. 첫 문장에서 \'-게\'와 \'-이\'는 동의성의 기능을 갖기도 하지만, 두 번째, 세 번째 문장에서는 서로 다른 의미 기능을 하는데, 이 경우 \'-게\'는 상태 동사의 고유성과 호응되며, \'-이\'는 추상성과 호응된다. 이 경우 \'길이\'는 \'영원히\', \'곧이\'는 \'순순히\', \'쉬이\'는 \'곧장\'으로 대치가 가능하다.
♣ 능동문과 피동문에서 부사어, 수량사의 유무에 따라 의미 차이가 나타나는지.
1. 부사어 ‘일부러’가 없으면 ‘영수는 영희를 붙잡았다.’ ‘영희는 영수에게 붙잡혔다.’의 두 문장은 동의성을 가진다. 그러나 부사어 ‘일부러’가 들어가면 의도적인 행동이었다는 의미가 추가되어, 의도적인 행위의 주체가 누구인지 드러나게 된다.
2. 수량사 ‘모든’과 ‘두’가 있거나 없거나 두 문장의 개념적 의미는 거의 동일하다. 그렇지만 수량사가 첨가 될 경우 행위의 주체가 드러나서 약간의 의미의 차이가 생긴다. 첫 문장에서는 마을의 청년이 행위의 주체이고, 두 번째 문장에서는 아가씨가 주체가 된다.
4.1.2. 중의성
# 하나의 문장이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
① 주어부의 범위
예) 선생님이 보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 선생님이 보고 싶어 하는 학생이 많다. 선생님을 보고 싶어 하는 학생이 많다.
② 목적어의 범위
예) 그는 형과 동생을 찾아 다녔다.
⇒ 그와 형이 동생을 찾아다녔다. 그가 동생과 형을 찾아다녔다.
③ 수식어의 범위
예) 아름다운 소녀의 옷 ⇒ 소녀가 아름답다. 옷이 아름답다.
확실히 그는 대답을 하지 않았다. ⇒ 문장 전체의 수식, 서술어의 수식
④ 부정의 범위
예) 사람들이 아직 다 오지 않았다.⇒ 전체부정. 부분부정
⑤ ‘-고 있다’ 구문의 중의성
예) 그는 양복을 입고 있다.
⇒ 지금 옷을 입고 있는 중이다, 현재 입고 있는 상태이다.
▣ 탐구 - 문장의 중의성
1. ‘그는 하루 종일 일하지 않는다.’
→ ‘그는 하루 종일 일하지는 않고, 몇 시간만 일한다.’,
‘그는 하루 종일 일하지 않고 다른 행위를 한다.’ (부정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2. ‘애
키워드
추천자료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수-학습 유형 7가지
7차교육과정 국어과 요약
어휘 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안
[교육평가][초등교육평가]초등학교1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국어교육평가, 초등학...
국어교육평가(국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영어과평가),수학교육평가(수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 편제,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와 교수학습, 중학교(중...
국어과(국어교육) 성격과 교수학습주안점, 중학교(중등) 국어과(국어교육) 학년별내용체계, ...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국어(국어과교육) 홀리스틱학습과 창의성계발학습, 국어(국어과교육) 가치탐구학습과 총체적...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의미,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영역, ...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의미와 성격,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
국어 음운 연구 과제물 - 고등 학교 문법 교과서 검토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수·학습 모형 활용시 고려해야 할 변인은 무엇인가
어휘 교육의 과제
소개글